본 연구는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집된 전국범죄피해조사 자료에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전체 자료 중 범죄피해경험이 있는 사례 및 관심 변인을 선별하여 분석자료를 구성하였으며, 총 3080건 자료의 성별, 연령(생애주기단계), 범죄유형, 가해자 면식여부, 반복피해 여부, 심리적 피해내용(우울함, 고립감, 극심한 두려움, 신체증상, 대인관계 문제, 사람을 피해 이사, 자살 충동, 자살 시도) 및 범죄피해 후 감정변화(자기보호 자신감, 자존감, 타인에 대한 신뢰감,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감 및 사법제도와 법에 대한 존중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인들이 분석자료에 포함되었다. 전통적 통계기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범죄피해 내용(심리적 피해내용과 감정변화)을 이용하여 범죄 및 피해자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다섯 번 실행하고, VSURF 함수를 이용하여 범죄 및 피해자 특성을 잘 예측하는 범죄피해 내용 변인들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범죄유형과 우울함, 극심한 두려움 및 신체증상의 관련성, 가해자 면식여부와 신체증상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련성, 반복피해 여부와 사법제도와 법에 대한 존중감 변화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성별과 생애주기단계(청소년/성인/노인)는 각각 극심한 두려움과 자기보호 자신감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 경험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죄피해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교육과정에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에 관한 지식과 사례교육의 제공 및 면담전략과 법률지식에 관한 교육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applied the random forest algorithm to Korean crime victim survey data collected biennially between 2010 and 2018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victim characteristics and the victim’s criminal damages. A total of 3,080 cases including gender, age (life cycle stage), type of crime, perpetrator acquisition, repeated victimization, psychological damage (depression, isolation, extreme fear, somatic symptoms, interpersonal problems, moving out to avoid people, suicidal impulses, suicide attempts), and emotional changes after victimization (changes in self-protection confidence, self-esteem, confidence in others, confidence in legal institutions, and respect for Korean legal system/law)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data that are difficult to apply traditional statistical techniques, this study implemented random forest algorithms to predict crime and victim characteristics using the victim’s criminal damages (psychological damage and emotional change) and selected good predictors using VSURF function in VSURF package for 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rime and depression, extreme fear, somatic sympto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perpetrator acquisition and somatic sympto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between repeated victimization and changes in respect for Korean legal system/law. Gender and life cycle stage (youth/adult/elderl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extreme fear and changes in self-protection confidence, respectively. However, more empirical evidence should be aggregated to explain the results as meaning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xperts’ knowledge and educate them on cas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victim characteristics and criminal damage. Strengthening their interview strategy and knowledge about law/rules were also nee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victim assess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