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거짓말은 손가락도 멈추게 한다
정호진(한림대학교) ; 최훈(한림대학교) pp.169-184 https://doi.org/10.53302/kjfp.2022.11.13.3.169
초록보기
초록

범죄자들의 거짓말, 예를 들어 허위진술을 변별하는 문제는 범죄 수사에서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거짓말은 거짓 현실을 생성하고, 거짓이 탄로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등 인지부담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짓말의 인지 부담이 증가한다는 것은 뇌파, fMRI와 같은 신경학적 기법 외에도, 2014년 이후부터 키보드 스트로크(키보드 입력 패턴) 분석법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키보드 스트로크를 이용한 거짓말탐지는 검사의 제약이 적고, 진술 내용의 질적분석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거짓말을 할 때 어떤 키보드 스트로크 지표가 변화하는지 조사하였다. 온라인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N=38)들을 대상으로 일기 작성 과제를 기록된 키보드 스트로크와, 범행 후 뒷처리를 암시하는 동영상 내용을 회상하는 동안 기록된 키보드 스트로크를 비교했다. 목격집단(n=22)은 목격한 내용을 솔직하게 작성해달라는 안내문을, 거짓집단(n=16)에는 가해자의 범행이 없었던 것처럼 내용을 꾸며서 작성해달라는 안내문을 제공했다. 분석 결과, 목격집단은 기저선과 자유회상 과제에서 키보드 스트로크 지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거짓집단은 초당 키입력 횟수, 첫 입력 시간, 정지시간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됐다. 구체적으로, 거짓말을 해야하는 자유회상 과제에서 초당 키입력 횟수와 첫 입력 시간이 느려지고, 정지 시간은 길어졌다. 이 결과는 허위 진술을 작성할 때 인지부담의 증가로 키보드 입력 행동이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키보드 스트로크가 효과적인 거짓말탐지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Discriminating the lie of suspec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criminal investigations. Lie are known to induce cognitive loads due to additional cognitive task such as creating a false reality ord monitoring their statements. The increase of the cognitive load during lying has been observed in studies using neurophysiological measures (e.g., EEG and fMRI), but also observed in keyboard strokes (keyboard input patterns) during writing their statement. Lie detection using keyboard strokes has the advantage of having fewer test restrictions and enabling qualitative analysis of statements, but it is a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keyboard stroke measures were changed during lying in Korean population. Participants (N=38) typed their diary (baseline) and contents of the video they watched (free recall task). The witness group (n=22) provided a instruction to honestly write what they witnessed, and the lie group (n=16) provided a instruction to write the content as if the suspect had never committed a crime. When comparing the keystroke measures of baseline and free recall, any significant change was not observed in the witness group whereas number of keystrokes per second,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average pause time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ie group. Specifically, the number of keystrokes per second and the first input time slowed down, and the pause time increased during lying. This result shows that keyboard type behaviors were affected with the increase of cognitive burden when writing deceptive statements, suggesting that keyboard stroke could be an effective indexes for detecting lying.

청소년기 우울수준이 비행경험에 미치는 영향: 종단적 변화를 중심으로
이지원(경기대학교) ; 김범준(연세대 심리과학 이노베이션 연구소) ; 김보경(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pp.185-204 https://doi.org/10.53302/kjfp.2022.11.13.3.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종단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수준과 비행경험의 관계와 변화를 알아보고 우울수준의 변화가 비행경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울수준과 비행경험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자료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패널의 제 3차(중학교 3학년)와 제 6차(고등학교 3학년)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960명(남자 1,000명, 여자 960명)을 대상으로 각 학년의 우울수준이 비행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과 학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3학년 보다 고등학교 3학년의 우울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성별의 경우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우울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경험의 경우 중학교 3학년보다 고등학교 3학년의 비행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모두 남학생이 더 높은 비행경험을 보였다. 우울수준과 비행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우울수준은 비행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같은 시기의 경우에만 한정적이었으며, 과거의 우울수준은 미래의 비행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우울수준의 변화가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중학교 3학년이 고등학교 3학년이 되었을 때 우울수준의 변화량이 증가할수록 비행의 변화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among adolescenc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tudy(KCYPS) data conducted from 2010 to 2016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year 2012 and 2015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which consisted total of 1,960 individuals including 1,000 male and 960 femal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to answer 10 questions for their subjective depression, and 14 questions for their past delinquent behavior. Results from the year of 2012 and 2015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time-varying changes of depression and delinquent behavior were analyzed. As a result, measured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 adolescents, and delinquency score was higher for male adolescents for both of the period.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delinquency, but only for the concurrent period. Past depressive feeling was not able to predict future delinquent behavior. Changes in depression predicted changes in delinquent behavior and the future delinquent behavior.

스토커-피해자 관계에 따른 사건 판단 차이: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혜민(숙명여자대학교) ; 박지선(숙명여자대학교) pp.205-225 https://doi.org/10.53302/kjfp.2022.11.13.3.205
초록보기
초록

스토킹 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스토킹 사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스토커-피해자 간 관계(서로 모르는 관계, 전 연인관계, 전 고용관계)에 따라 스토킹 사건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지 조사하고, 판단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라 사건 판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더불어, 그간 대인관계 문제 및 데이트 폭력과의 연관성이 높다고 알려진 내면화된 수치심이 스토킹 사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 고용관계보다 서로 모르는 관계에서 발생한 스토킹 사건에서 가해자의 책임이 더 크고 더 무겁게 처벌해야 한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피해자의 책임은 전 고용관계보다 전 연인관계일 때, 전 연인관계일 때보다 서로 모르는 관계일 때 각각 더 적다고 평가되었으며, 피해자에 대한 비난은 전 고용관계보다는 전 연인관계나 서로 모르는 관계일 때 더 적게 나타났다. 더불어, 판단자 나이가 스토킹 사건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나이가 적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고,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피해자의 책임이 더 크다고 판단하고 피해자를 더 비난하였다. 본 연구는 같은 스토킹 사건이라도 스토커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에 따라 사건에 대한 판단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내면화된 수치심이 스토킹 사건에서 피해자의 책임과 비난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s stalking rises as a serious public matter, we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udgment of stalking. We investigated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the judgment of stalking by stalker-victim relationships(i.e., strangers, ex-partners, and ex-colleagues), and by people’s gender and age. We also explored if internalized shame, known to be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dating violence, affected the judgment of stalking. As a result, the offender responsibility was evaluated higher in the stalking occurred between strangers than ex-colleagues, and more severe punishment was evaluated for the stalking occurred between strangers than ex-colleagues. The victim was held less responsible for the stalking occurred between ex-partners than ex-colleagues, and for the stalking occurred between strangers than ex-partners, and the victim blame was evaluated less for the stalking occurred between strangers and ex-partners than ex-colleagues.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stalking judgment was significant. The less the people’s age,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more likely to hold the victim responsible and to blame the victim for the stalk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udgment of stalking differed by stalker-victim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age and judgment of victim responsibility and victim blame was significan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