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제품 디자인의 심리사회적 의미 연구

Psychological and social meanings of product desig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디자인(product design)이 소비자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디자인이 소비자에게 단순히 미적 역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의 의미는 구매적 의미, 심미적 의미, 심리적 의미, 사회적 의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람들은 제품의 디자인을 통해 제품에 주의를 기울이고, 디자인을 하나의 정보로 이용해 제품에 대한 첫인상을 형성하며, 제품의 내용과 질을 예상한다. 또한 실제로 디자인이 좋은 제품이 사용하기에도 편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사람들은 제품의 디자인을 보는 것 자체를 즐기고 그림을 감상하듯 소장하여 늘 감상하길 원한다. 셋째, 디자인은 자기 자신을 제품과 동일시하게 하고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며, 마치 친구처럼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 의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은 사회적 자기 이미지를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고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게 해주며, 사회적으로 자신을 좀 더 우월하게 만들어 주는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심층적인 심리를 끌어내어 소비자 관점에서 제품의 디자인을 이해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는 디자이너와 마케터들의 디자인 경영과 광고 전략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product design, qualitative method, in-depth interview, psychological meaning, 제품 디자인,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심리사회적 의미, product design, qualitative method, in-depth interview, psychological mean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product design. Consumers' subjective experiences were collected by qualitative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alyzing their verbal protocol and classifying them through interpre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product design has an aesthetic meaning as well as va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meanings to consumers. The results show four aspects of the design: functional meaning, aesthetic meaning, psychological meaning, and social meaning. First, consumers focus on products depending on the design which forms the first impression. Using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design of the product, consumers presume the contents and quality of the product. Second, they enjoy looking at the design itself and tend to possess and appreciate it like other artworks. Third, the design forms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sumer whom owns the product. Consuming product designs is a way to express one's thoughts. It also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similar to which generated by social intercourse. Last, the design is a way to express one's self image to the society. It helps form sympathy among the people who lives the same age. Owning a product with great design can make that person socially superior then others. This study has extended the domain of consumer psychology by examining the depth of consumer experience which concerns product designs. Also, designers and marketers will be able to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words
product design, qualitative method, in-depth interview, psychological meaning

참고문헌

1.

Ikuo Daibo (2002). 화장행동의 사회심리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3), 223-228.

2.

김경환 (1998). 요인분석을 이용한 디자인 개발의 마켓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휴대전화기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동하 (2003). 굿디자인(Good design)의 재해석: 람스(Rans)와 노만(Norman)의 굿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6(4), 413-422.

4.

김윤희 (1993). 제품의 감성적 인식 구조에 관한 연구: 주방기기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지언 (2007). 3D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7(2), 45-58.

6.

김호곤 (2007). 경쟁전략으로서의 디자인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브랜드경영학회, 제 9회 경영관련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

7.

성영신, 정수정 (2003). 신(新)기술 제품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4(1), 1-23.

8.

성영신, 정수정, 김미나.(2005). 한국적 vs 서구적 광고의 효과 비교. 광고학연구, 16(5), 233-248.

9.

성영신, 정수정 (2005). “제품디자인에 대한 미적 민감성이란 무엇인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 발표 대회 논문집, 292-293.

10.

성영신, 김보경, 이주원, 손 민, 최광열 (2008). 디자인 선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 연구: 뉴로이미징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9(2), 239-261.

11.

송지성, 방장혁 (2007). 디자인차별화와 브랜딩을 통한 신용카드 성공사례 연구-현대카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4), 108-117.

12.

신택균 (2005). 소비자 구매행동과 디자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6(4), 63-71.

13.

신화경 (2006). 여성 소비자의 가구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연령별 가구디자인 선호 비교를 중심으로-. 자연과학연구, 16, 1 -10.

14.

아주경제 (2009). 레인콤, 2년 연속 실적 호조… 영업익 121% 증가. 2009년 2월 20일자.

15.

양기태, 이해만 (2007).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프리폼 신용카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24, 3-16.

16.

양정희, 김선영, 이준기 (2006). 지식경영과 전략, 지식에 대한 심리적 소유감이 지식 소유 애착과 공유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2006, 185-192.

17.

염지훈, 박경진 (2006). 소비자 구매행동에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휴대폰 구매과정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6(4), 447-456.

18.

유명의 (2007). 전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10(2), 15-22.

19.

유창조, 김상희 (1994). Ethnographic 접근 방식을 통한 쇼핑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확장된 개념, 감정의 다양성, 동기의 다양성. 소비자학 연구, 5(2), 45-62.

20.

윤종영, 윤현노 (2001).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Fusion Trend와 반투명디자인과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반투명디자인이 적용된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디자인과학연구, 2001 4월(2), 19-30.

21.

이혜주 (2004). 패션브랜드디자인을 위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트렌드 연구. 생활과학논집, 19, 29-43.

22.

장영주 (2002). 아르누보 양식의 가구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5(1), 25-32.

23.

전영호, 백인기, 신정태 (2000).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한 자동차 내장디자인의 고객만족 감성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28(4), 151-160.

24.

제일기획 (2001). 2001 한국 대표 세대들의 특성. 제일기획 사보, 11월호, 9-25.

25.

조선일보 (2002). 내년세제개편내용: 기업입장에서 보면. 2002년 8월 28일자.

26.

조선일보 (2009). 아이리버, 도미노 ‘2009 D&AD 어워드’ 수상. 2009년 5월 20일자.

27.

최영옥 (2002). 패키지디자인과 소비트렌드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10, 131 -146.

28.

한귀자 (2007). 패션트렌드와 컬러기획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1), 96-105.

29.

허성철 (2005). 디자인 요소의 상대적 주목성과 제품 선호 반응의 상관관계. 한국감성과학회, 8(3), 253-263.

30.

헤럴드경제 (2009). 에스원, 獨 이프디자인상. 2009년 2월 11일자.

31.

홍경희 (2006). 장신구트렌드 분석을 통한 디자인 개발 시스템방안 연구. 한국공예논총, 9(1), 237-263.

32.

Amstrong, L. (1991). It started with an egg. Business Week, 142-146.

33.

Bloch, P. H. (1995). Seeking the ideal form: Product design and consumer response. Journal of Marketing, 59, 16-29.

34.

Bruce, M., & Whitehead, M. (1988). Putting Design into the Picture: the Role of Product Design in Consumer Purchase Behaviour. Journal of the Market Research Society, 30(2), 147–162.

35.

Brunel, F. F. (1998). The psychology of product aesthetics.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정수경, 홍정표 (2006). 국가 간 선호 디자인의 심미성요소 비교 연구 -한․중 소비자 선호휴대폰의 심미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9(1), 49-61.에서 재인용.

36.

Cox, D., & Cox, A. (1994). The effect of arousal seeking tendency on consumer. preferences for complex product desig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 554–559.

37.

Davis, M. L. (1987). Visual design in dres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8.

Fogleman (1965). What is good design?. In AMA management Bulletin, 60, 1-4.

39.

Furby, L. (1978). Possession in humans: An exploratory study of its meaning and motiva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6(1), 49-65.

40.

Gardiner, P., & Rothwell, R. (1985). Tough customers: good designs. Design Studies, 6(1), 7-17.

41.

Geissler, G. L., Zinkhan, G. M., & Watson, R. T. (2006). The Influence of Home Page Complexity on Consumer Attenti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35(2), 69-80.

42.

Glaser, M. (1995). Good design is good business. Domus, 772, 55-58.

43.

Hale, N. C. (1963). The value of good design. In AMA management Bulletin, 36, 1-3.

44.

Hassin, R., & Trope, Y. (2000). Facing Faces: Studies on the Cognitive Aspects Physiognom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5), 837-852.

45.

Heninger, O. E. (1981). Poetry therapy. In S. Arieti. (Ed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2nd. ed.), 7, 553-563. New York: Basic books.

46.

Hicinbothom, J. (2003). User Interaction Testing of the User Interface. NASA Conference Publication, 3225, 115.

47.

Hiltunen, E. (1998). What Is Design About?: The 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 programme IDBM links skills in design, marketing and technology. Form Function Finland, 1(2), 44-48.

48.

Holbrook, M. B., & Robert B. Zirlin (1985). Artistic Creation, Artworks, and Aesthetic Appreciation: Some Philosophical Contributions to Nonprofit Marketing. Advances in Nonprofit Marketing, 1, 1-54.

49.

Holbrook, M. B. (1986). Aims, concepts, and methods for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esthetic response the design featur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3), 337-347.

50.

Holbrook, M. B., & Schindler, R. M. (1989). Some exploratory findings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tast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119-124.

51.

Hollins, B., & Stuart, P. (1990). Successful product design. London: Butterworths.

52.

Hopfinger, J. B., Schubotz. R. I., Hofel, L., & Craman D. Y. (2005). Brain correlates of aesthetic judement of beauty. Neuroimage, 29, 276-285.

53.

Kellaris, J. J., & Kent, R. J. (1993). Exploring responses elicited by music varying in tempo, tonality, and textur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4), 381-401.

54.

Kron, J. (1983). Home-psych: the social psychology of home and decoration. New York: Clarkson N. Potter.

55.

Norman, D. A. (1988).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New York & London: Doubleday.

56.

Pye, D. (1978). The nature and aesthetics of design. Barrie and Jenkins: London.

57.

Rams, D. (1993). The priciples for a good design. Domus, 748, 21-28.

58.

Schutte, T. F. (1975). The uneasy coalition. Philade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9.

Soloman (1983). Ritual costumes and status transition. Advanced on Consumer Research, 10, 319-329.

60.

Veryzer, Robert W., & J. W. Hutchinson (1998). The Influence of unity and prototypicality on aesthetic responses to new product desig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 374-39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