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8778
본 연구는 대안제시형태(시각적 이미지/언어적 텍스트), 대안수의 크기(6개/30개), 정보처리양식(시각처리자/언어처리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과부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삼원 요인설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제시형태의 경우,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보다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안 수의 경우, 6개보다 30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 조건에서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으며,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 조건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또한 대안 수가 6개이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일 때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그러나 대안 수가 6개이고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일 때는 언어처리자와 시각처리자간의 선택과부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가 언어처리자보다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effect of two depiction ways of assortment(visual/verbal), the size of assortment, and the SOP(style of processing) on the consumer's choice overload level. Therefor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depiction way of assortment: visual/verbal) X 2(size of assortment: 6/30) X 2(SOP: verbal processing/visual processing)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first, in the case of assortment depiction way, verbal depiction resulted in more choice overload than visual depiction. Second, in the case of assortment size, participants in size of 6 experienced low choice overload than participants in size of 30. Third,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isu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and verbalizers also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erb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Fourth,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Also, verb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ice overloads of visualizers and verbalizers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But,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김세리, 임정훈, 한승연 (2010). 정보처리습관에 따른 IPTV 활용 교수․학습 효과성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1(3), 129-153.
양 윤 (2014). 소비자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양 윤, 김수희 (2000). 광고 불일치성과 광고기억: 정보처리양식의 조절적 역할. 광고학연구, 11(1), 7-33.
전희성 (2011).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적용에 따른 정보제시양식의 차이가 웹사이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3), 281-290.
최철재, 류철호 (2006). 관여수준에 따른 시각정보와 언어정보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14, 441- 454.
Bradac, J. J. (1989). Message effects in communication science. CA: Sage Annual Reviews of Communications Research.
Chernev, A., Böckenholt, U., & Goodman, J. (2015). Choice overload: A conceptual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5(2), 333-358.
Childers, T. L., Houston, M. J., & Heckler, S. E. (1985).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versus verbal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125-134.
Hutchinson, J. (2005). Is more choice always desirable? Evidence and arguments from leks, food selection, and environmental enrichment. Biological Reviews, 80(1), 73-92.
Iyengar, S. S., & Lepper, M. R. (2000). When choice is demotivating: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6), 995-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