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작은 사치(자기보상, 자기위안, 과시)와 역기능적 소비행동(충동구매, 강박구매)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억제요인으로 작용하는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작은 사치 동기와 자기통제력의 관계에서 자기보상 동기는 자기통제력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자기위안 동기와 과시 동기는 자기통제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과 역기능적 소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충동구매와 강박구매를 감소시키는 억제요인으로써의 기능을 보여주었다. 셋째, 작은 사치와 역기능적 소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보상은 충동구매와 강박구매 모두에 직접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자기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위안 동기는 충동구매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통제력 감소를 통한 간접효과만을 보여주었고, 강박구매에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보여주었다. 과시는 충동구매와 강박구매 모두에서 직접효과는 물론 자기통제력 감소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는 현실적인 경제적 제약 하에서 억제되던 소비욕구를 해소하는 방편으로서 개인에게 만족과 즐거움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작은 사치’ 소비형태가 다른 해소방안 없이 반복되게 될 경우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결과적으로 역기능적 소비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작은 사치가 과시 동기에 의해 반복될 경우 그러한 부정적 효과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하겠다. 논의에서는 작은 사치 하위 동기들이 자기통제력 및 역기능적 소비행동과의 관계에서 보여준 상이한 관련성에 대한 해석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luxury (self-reward, self-comfort, show-off)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impulsive buying, compulsive buying)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which acts as a deterrent factor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small luxury motivations and self-control, self-reward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control, but self-comfort and show-off reduced self-control significantl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self-control showed the function as a deterrent factor to reduce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luxury and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self-reward showed direct effect on both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but not all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ntrol. And, self-rewar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impulse buying, only indirect effect through reduction of self-control,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obsession buying. Especially, show-off showed indirect effect through the reduction of self-control as well as direct effect in both impuls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f ‘small luxury’, which is considered to provide satisfaction and pleasure to individuals who were under realistic economic constraints, is repeated without any other solution, it can be developed into dysfunctional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direct or indirect paths. In the discussion, we interpreted the because of the different influences of small luxury motivations to self-control, impulsive buying, and compulsive buying, and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강이주, 이영애 (2010). 20~30대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강박적 구매성향과 인터넷 중독성향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1), 67-81.
권오숙, 문성호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 31-46.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2017). 트렌드 코리아. 미래의 창.
김완석, 유연재 (2015). 역기능적 소비행동에 대한 마음챙김 소비의 영향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6(1), 125-145.
김은정 (2005). 패션제품의 인터넷 구매중독성향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숙 (2002). 한, 일 여자대학생들의 보상소비성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 (12), 31-48.
김현숙 (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 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화동 (2006). 가격인하와 품질저하의 생산원산지이동 효과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기술집약도 및 상표친숙도의 상호작용상황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4, 1-22.
김희정 (2007).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57-80.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수현, 박요한, 최고봉 (2015). 왜 소비자들은 점심보다 비싼 디저트를 구매하는가?: 작은 사치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15(4), 83-83.
부수현, 최고봉 (2017). 자기-통제가 작은사치에 미치는 효과: 정당화 단서와 수량-한정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8(3), 461-486.
부수현, 한금만 (2016). 재정적 박탈감이 희소한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가격할인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17(4), 619-643.
서문식, 거원원, 노태석 (2011). 소비자의 심리적 일탈, 라이선싱 효과. 소비자학연구, 22(1), 219-243.
성행남, 권진택 (2018). 대학생의 작은 사치 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4), 129-142.
송인숙 (1993). 소비자의 구매중독성향 및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인숙 (2003). 소비자의 구매충동 제어전략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2), 103-116.
송인숙, 이기춘 (1994). 구매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5(2), 157-172.
오수연 (2009). 작은 사치족을 유혹하라!. 마케팅, 43(2), 77-80.
오인희, 정명선 (2002). 고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성별 및 계열이 의복 유행성과 과시소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학회지, 5(1), 28-41.
유현정 (2008). 여성 소비자의 소비경험을 통해 본 사치의 의미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115-130.
윤남희, 문희강 (2009). 충동구매 시 긍정적 감정형성과정에서 구매위험지각과 비구매위험지각의 역할. 한국의류학회지, 33(9), 1398-1408.
이수현, 이유재 (2013). 나를 위한 선물: 셀프기프트(Self-Gift) 소비행동에 대한 정성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24(3), 123-155.
이승희, 정진원 (2005). 인터넷 쇼핑 중독구매에 관한 연구모형: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 167-176.
한성희 (2012). 소비자 욕구 충족과 쾌락소비 후 감정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5(1), 45-72.
홍은실 (2011). 과거와 현대적 관점에서 본 사치소비: 사치소비의 주․객체, 욕망, 사치소비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77-389.
Ahn, E., Chae, J., & Lee, H. H. (2016). Shopping for Oneself: Motives and Orientations of Small Luxury Purchase as Self-Gi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16(1), 87-107.
Applebaum, W. (1951). Studying customer behavior in retail stores. Journal of marketing, 16(2), 172-17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1986.
Baumeister, R. F. (2002). Yielding to temptation: Self-control failure, impulsive purchas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4), 670-676.
Baumeister, R. F., & Vohs, K. D. (2007). Self Regulatio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1), 115-128.
Cantor, N., & Langston, C. A. (1989). Ups and downs of life tasks in a life transition.
d’Astous, A. (1990). An inquiry into the compulsive side of “normal”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Policy, 13(1), 15-31
Duan, X. (2017). 충동구매와 강박구매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심적 시뮬레이션과 자기 통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Faber, R. J., & O’Guinn, T. C. (1989). Classifying compulsive consumers: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ool. ACR North American Advances.
Faber, R. J., & O’guinn, T. C. (1992). A clinical screener for compulsive buy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3), 459-469.
Gillison, S., & Reynolds, K. (2016). Shopping for yourself versus shopping for someone els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33(4), 225-234.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Hill, S. E., Rodeheffer, C. D., Griskevicius, V., Durante, K., & White, A. E. (2012). Boosting beauty in an economic decline: mating, spending, and the lipstick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3(2), 275.
Hoch, S. J., & Loewenstein, G. F. (1991). Time-inconsistent preferences and consumer self-contro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4), 492-507.
Karoly, P. (1999). A goal systems-self-regulatory perspective on personality, psychopathology, and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4), 264-291.
Khan, U., & Dhar, R. (2006). Licensing effect in consumer choi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3(2), 259-266.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
Lee, S. H., Lennon, S. J., & Rudd, N. A. (2000). Compulsive consumption tendencies among television shopper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8(4), 463-488.
Loewenstein, G. (2000). Willpower: A decision- theorist’s perspective. Law and Philosophy, 51-76.
Logue, D. E. (1995). When theory fails: Globalization as a response to the (hostile) market for foreign exchange. Journal of Applied Corporate Finance, 8(3), 39-48.
Mick, D. G., & DeMoss, M. (1990). Self-gifts: Phenomenological insights from four contex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3), 322-332.
Myrseth, K. O. R., & Fishbach, A. (2009). Self-control: A function of knowing when and how to exercise restrain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8(4), 247-252.
Nesbitt, S. (1959). Today’s Housewives plan menus as they shop. Nesbitt Associates Release, 2(3).
O’Guinn, T. C., & Faber, R. J. (1989). Compulsive buying: A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2), 147-157.
Patrick, V. M., & Hagtvedt, H. (2012). “I don’t” versus “I can’t”: When empowered refusal motivates goal-directe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2), 371-381.
Piron, F. (1991). Defining impulse purchasing.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 509-514.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189-199.
Rook, D. W., & Fisher, R. J. (1995).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3), 305-313.
Rook, D. W., & Hoch, S. J. (1985). Consuming impuls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 23-27.
Sharma, E., & Alter, A. L. (2012). Financial deprivation prompts consumers to seek scarce goo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3), 545-560.
Sherry, L. (1995). Issues in distanc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1(4), 337-365.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2), 59-62.
Thompson, C. J., Locander, W. B., & Pollio, H. R. (1990). The lived meaning of free choice: An existential-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everyday consumer experiences of contemporary married wome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3), 346-361.
Trope, Y., & Fishbach, A. (2000). Counteractive self-control in overcoming temp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4), 493.
Tynan, C., McKechnie, S., & Chhuon, C. (2010). Co-creating value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11), 1156-1163.
Veblen, T. (2017).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Routledge.
Vohs, K. D., & Faber, R. J. (2007). Spent resources: Self-regulatory resource availability affects impulse buy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3(4), 537-547.
Vohs, K. D., & Heatherton, T. F. (2000). Self-regulatory failure: A resource-depletion approach. Psychological science, 11(3), 249-254.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1), 43-57.
Wilcox, K., Vallen, B., Block, L., & Fitzsimons, G. J. (2009). Vicarious goal fulfillment: When the mere presence of a healthy option leads to an ironically indulgent deci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3), 380-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