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뇌신경절의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장남섭(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 한종민(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pp.1-11
초록보기
초록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뇌신경절을 AB/AY 염색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프리카 왕달팽이의 뇌신경절은 2 x 1 mm 정도 크기의 흰색 타원형체로 중앙은 직경 1 mm 정도의 대뇌교련부(cerebral commissure)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뇌신경절(cerebral ganglion)의 종단면은 나비모양으로, 세포의 분포형태에 따라 중배부위(medio-dorsal part), 측배부위(latero-dorsal part), 미배부위(caudo-dorsal part) 그리고 측엽부위(lateral lobe)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배부위와 측배부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LG 세포와 약간의 DG 세포로서, 이들은 혼재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측엽부위에서는 LG 세포와 DG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주로 Y 세포만이 관찰되었다. LG 세포는 크기가 20-70 <TEX>$\mu\textrm{m}$</TEX> 정도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세포로서 AB/AY 염색시 밝은 녹색으로 염색되고 핵질속에서는 과립상의 염색질이 고르게 분비되어 있으며, 1-3 개의 인이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분비성과립들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다. DG 세포는 대부분 장타원형의 세포로서 LG 세포에 비해 약간 작았다. 이들은 m-b 이중염색에서 강한 methylenophilia를 보였고, AB/AY 염색에서는 진한 녹색으로 염색되었다. 이 세포는 rabbit anti-somatostatin antibody를 이용한 염색에서 노란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eosinophilia를 보여 호산성세포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G 세포는 위의 세포들과는 달리 뇌신경절의 주변 부위 결합조직에서 관찰된 매우 드문 세포였다. 이들은 AB/AY 염색시 청녹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hematoxylin 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Abstract

An immunohis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B/AY staining and the avidin-bovine-peroxidase complex staining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out the study. The cerebral ganglion of Achatina fulica is an ellipsoidal body of 2 x 1 mm in size, which is connected by the cerebral commissure of 1 mm in diameter. The cross-section through the cerebral ganglion, shaped like a butterfly, is divided into the medio-dorsal parts, the latero-dorsal parts, the caudo-dorsal parts, and the lateral lobes. In the medio-dorsal and latero-dorsal parts,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found mixed, although the LG cells are dominant. In lateral lobe, however, the Y cells are quite dominant, while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seldom found. The LG cells are 20-70 <TEX>$\mu\textrm{m}$</TEX> in sizes and circular or ellipsoidal in shapes. They are stained light green with the AB/AY. 1 - 3 nucleoli are found in karyolymph, where granular chromantins are evenly distributed. In cytoplasm, it is found that the secretory granules are evenly developed.

다슬기속 3종(Prosobranchia: Pleuroceridae)에서의 도위효소 변이
정영헌(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박준우(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정평림(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박갑만(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하교실) ; 김재진(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민득영(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pp.13-2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horizontal starch gel electrophoresis for enzyme proteins extracted from three Korean species and one Chinese species of Semisulcospir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lucidate their genetic relationships. A total of 10 enzymes were employed in three different of buffer systems. Two loci from each enzyme of GAPDH, GOT, ICDH, IDH and PEP(VL); three loci from each of three enzymes, EST, PEP(LGG) and PGDH; and five loci from GPI were observed. Most of the loci in three pleurocerid species employed showed homozygous monomorphic banding patterns and some of them were specific as genetic markers between two different species. However, EST-2, PEP(LGG-3) and PGDH-1 loci in Korean S. libertina and PEP(LGG-3), PGM-1 and PGM-2 loci in Chinese S. libertina showed polymorphic banding patterns. Three Korean Semisulcospira species including S. libertina were more closely clustered in a dendrogram within the range of genetic identity values of 0.818-0.936, and these clusters were lineated with Chinese S. libertina at the value of 0.621.

광양만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 생물학. I. 성장과 서식환경
신현출(여수대학교 해양학과) ; 신상호(여수대학교 해양학과) pp.21-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1995년 7월까지 광양만의 조화조간대와 덕산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성장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화조간대의 평균입도, 표층퇴적물내 유기물 함량, 저서미세조류의 엽록소-a 량은 각각 2.50-4.46 , 4.99-5.11%, 14.53-19.90 <TEX>$\mu\textrm{g}$</TEX> <TEX>$cm^{-3}$</TEX>이었으며, 덕산조간대는 각각 0.83-1.66 , 2.22-2.34%, 6.20-6.90 <TEX>$\mu\textrm{g}$</TEX> <TEX>$cm^{-3}$</TEX>이었다. 바지락의 각장은 봄-여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가을로 가면서 서서히 둔화되다가, 겨울에 멈추었다. 반면에 육질부 중량은 봄과 가을에 증가하고, 여름과 겨울에 감소하였다. 상태지수 역시 육질부 중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4개 연령군의 각장의 연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에 잘 적용되었고, 중량은 Gompertz 성장모델에 잘 적용되었다. 초기 각장 성장률 w, 최대 각장 성장률 AGR<TEX>$_{max}$</TEX>는 조화조간대가 덕산조간대보다 높았으며, 동일 조간대내에서는 하부조간대가 상부조간대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즉 개체군 서식밀도가 높은 조화조간대에서 이용가능한 잠재적 먹이량, 서식공간에 대한 경쟁이 심하여 개체 성장률이 낮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cribe the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on Chohwa and Toksan tidal flat in Kwangyang Bay, from June 1994 to July 1995. On the Chohwa tidal flat, the mean gran size, organic content and chlorophyll-a of the surface sediment were the range of 2.50-4.46 , 4.99-5.11%, 14.53-19.90 <TEX>$\mu\textrm{g}$</TEX> cm<TEX>$\^$</TEX>-3/, and on the Toksan tidal flat, 0.83-1.66 , 2.22-2.34%, 6.20-6.90 <TEX>$\mu\textrm{g}$</TEX> cm<TEX>$\^$</TEX>-3/, respectively. The shell length of R. philippinarum increased rapidly from spring to summer, and gently from summer to autumn, and ceased during winter. Fresh weight increased during spring and autumn, and decreased during summer and winter. condition factors also showed the same variations of weights. Synthesized annual growth pattern of 4 year classes in shell length fitted the von Bertalnffy growth model well. The annual growth of weight fitted the Gompertz model relatively well. The values of w, initial shell growth rate, and AGR<TEX>$\sub$</TEX>max/, maximum weight growth rate, on the Chohwa tidal flat were lower than those on the Toksan tidal flat. Comparing the growth patterns in the same tidal flat, growth rate was higher on the lover tidal flat than those on the higher tidal flat. In conclusion, the Chohwa tidal flat maintaining higher density showed lover growth rate, because of relatively insufficient food supply and inhabiting space.

광양만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 생물학. II. 성장과 서식환경
신현출(여수대학교 해양학과) ; 신상호(여수대학교 해양학과) pp.3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7월까지 광양만의 조화조간대와 덕산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동태와 이차생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994년 6월부터 1995년 4월까지 각장 빈도분포는 이중모드형을 보였으며, 이 후 단일모드형으로 변하였다. 중앙값은 시간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각장의 성장을 의미한다. 평균서식밀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Chohwa A에서 가장 서식밀도가 높았으며, Chohwa B, Toksan C, Toksan D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새로운 연령군의 가입은 상부조간대에서 먼저 일어나고, 이후 하부조간대로 이동하였다. 각 연령군의 육질부 생물량은 춘계의 산란기 직전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연평균생물량은 Chohwa A에서 170.7 g m<TEX>$^{-2}$</TEX> , Chohwa B에서 220.7 g m<TEX>$^{-2}$</TEX> , Toksan C에서 21.8 g m<TEX>$^{-2}$</TEX> , 그리고 Toksan D에서 45.2 g m<TEX>$^{-2}$</TEX> 를 기록하였다. 육질부 연간 생산량은 Chohwa A에서 259.72 g m<TEX>$^{-2}$</TEX> yr<TEX>$_{-1}$</TEX>, Chohwa B에서 359.79 g m<TEX>$^{-2}$</TEX> yr<TEX>$_{-1}$</TEX>, Toksan C에서 45.02 g m<TEX>$^{-2}$</TEX> yr<TEX>$_{-1}$</TEX>, Toksan D에서 68.88 g m<TEX>$^{-2}$</TEX> yr<TEX>$_{-1}$</TEX>를 기록하여 조화조간대의 연생산량이 덕산조간대보다 높았다. 반면에 P:B ratio는 덕산조간대가 1.70으로 조화조간대의 1.58보다 높았다. 즉 잠재적 먹이원의 총량이 많은 조화조간대에 바지락의 서식밀도, 생물량, 생산량이 많았으나, 단위개체당 이용가능한 먹이양과 공간의 관점에서 경쟁이 적은 덕산조간대가 개체의 성장과 P:B ratio가 양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scribe the population dynamic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apes philppinarum on Chohwa and Toksan tidal flats in Kwangyang Bay, from June 1994 to July 1995. The size distributions in shell length showed bimodal patterns from June 1994 to April 1995. Thereafter the distribution changed to the passage of time, indicating an increase in shell length. The mean densities decreased gradually with month. Chohwa A sustained highestdensity, followed by Chohwa B, Toksan C, and Toksan D. The recruitment of new year class occurred first on the upper tidal flat, and then moved to the lower tidal flat. The mean biomass in flesh dry weight of each year class increased in spring just before the spawning period, and thereafter decreased progressively. Annual mean biomass wasrecorded as 170.7 g m<TEX>$\^$</TEX>-2/ at Chohwa A, 220.7 g m<TEX>$\^$</TEX>-2/ at Chohwa B, 21.8 g m<TEX>$\^$</TEX>-2/ at Toksan C, and 45.2 g m<TEX>$\^$</TEX>-2/ at toksan D. Annual productions of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estimated as 259.72 g m<TEX>$\^$</TEX>-2/ yr<TEX>$\_$</TEX>-1/ at Chohwa A, 359.79 g m<TEX>$\^$</TEX>-2/ yr<TEX>$\_$</TEX>-1/ at Chohwa B, 45.02 g m<TEX>$\^$</TEX>-2/ yr<TEX>$\_$</TEX>-1/ at Toksan c, 68.88 g m<TEX>$\^$</TEX>-2/ yr<TEX>$\_$</TEX>-1/ at Toksan D. Annual productions were much higher on Chohwa tidal flat than those on Toksan tidal flat. While P:B ratio were higher on Toksan tidal flat as 1.70 than those on Chohwa tidal flat as 1.58. In conclusion, the Chohwa tidal flat showed higher biomass and produc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whereas the Toksan tidal flat showed higher P:B ratio. The total amount of potential food might influence on the density, biomass nad produciton, whereas the amount of food and space per individual might influence on the growth rate and P:B ratio.

북만의 양식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수하시기에 따른 육중량 변화
정우건(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양식학과, 해양산업연구소) ; 조상만(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양식학과, 해양산업연구소) ; 조창환(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양식학과, 해양산업연구소) pp.41-47
초록보기
초록

굴의 육중량 변화는 수온과 chlorophyll에 의해 지배되지만, chlorophyll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러한 경향은 다소 감소하였다. 수온에 따른 굴의 성장은 수온 하강 초기에는 강한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적정 수온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상관관계가 다소 낮아졌다. 각 수하시기에 따른 육중량 성장식을 6월은 3차 방정식의 성장곡선이 나타났고, 7, 8월에 수하한 경우 지수형 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9-11월의 경우 정량적인 성장을 하는 일차방정식의 성장패턴을 나타내었다. 성장 방정식으로부터 각 수하시기에 따라 목표중량 5 g까지 성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하면 9월이 123일로 가장 성장이 빨랐고, 8월이 220일로 가장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다. 굴 종패의 수하적기는 수온상승기 말기부터 수온하강기 초기인 8월말부터 9월 중순 사이가 적당한 시기로 추정되고, 상품크기 5 g까지 성장하는데 평균 4-5개월이 소요되며, 이 시기는 12-1월경에 해당한다.

Abstract

From September 1994 to April 1996, we observed the suspending time dependant meat increase (dry weight) for oysters at Pukman Bay in Korea. The oysters which suspended in September increased to 5 g in meat weight (dry weight) by January. Ones in June increased rapidly but lessened during summer and this stagnation of meat increase extended to autumn. It took long time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meat weight owing to spawning. Oysters suspended in July or August showed low growth or stagnation due to the high water temperature and spawning activities after suspending. However, meat weight showed sudden increasement after December and achieved 5 g at the late farm period. The meat increase of oysters suspended in October or November was very slow during entire growing period. Most of them did not achieved 5 g during farm perio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eat growth and water temperature in September. Als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meat growth and chlorophyll-a. It was believed that deficiency of food organisms in the water column lead slow growth in terms of meat growth, particularly right after transplanting seed oysters to the farm. Our study suggests that proper time for transplanting oysters is between August and mid-September. However, the data indicate that good growth of oysters is depending upon amount of food available in the water column.

소라(Batillus cornutus)의 비브리오균 감염에 의한 폐사
이정재(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산과학부) ; 허문수(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산과학부) pp.49-55
초록보기
초록

양식장에서 폐사하였거나 실활 상태의 소라를 채집하여 호염성 세균을 분리하고 이들 세균중 건강한 소라에 병원성을 나타내는 두 종의 세균에 대하여 형태, 생리적 시험을 행한 결과 Vibrio alginolyticus와 Vibrio anguillarum biovar 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두 종의 세균은 공히 25-3<TEX>$0^{\circ}C$</TEX> 부근에서 가장 잘 생육하였고, 염분농도는 해수보다 약간 낮은 3%내외가 최적 발육농도였다. 이들 두 종의 세균에 심하게 감염된 소라는 아가미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종 세균의 급작스런 증식과 소라자체의 환경변화에 따른 활력의 상실 등 복합적인 제반 요인이 동시에 작용될 때 발병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Mass mortality of the horned turban shell, Batillus cornutus was investigated using histological and bacteriological methods. Some pathogen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mortal or inactive individuals. The pathogenic agents causing mortality of the horned turban shells were as Vibrio alginolyticus and V. anguillarum. Laboratory experiment indicated that optimal growth temperature of two bacteria was 25 to 30<TEX>$^{\circ}C$</TEX> and 3% of NaCl.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horned turban shells showed that gill necrosis is one of the major symptom of infected individuals. It was believed that sudden increase of those two bacterial agents due to environmental change cause mortality of horned turban shells.

추자도산 홍합, Mytilus coruscus (Gould, 1861) 의 Condition Index 산정에 대한 연구
강도형(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 최광식(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pp.57-62
초록보기
초록

Condition index(Cl)는 일반적으로 이매패류의 영양상태와 건강 등의 생리적인 상태를 알기 위한 중요한 지수이다. 이 연구는 제주도 추자 연안에 서식하는 홍합(M.coruscus)의 Cl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산출한 뒤, 이를 비교하였다: (1) Cl-vol=[tissue dry weight(g) 1000]shell cavity volume(ml). (2) Cl-wt=[tissue dry weight(g) 1000]internal shell cavith capacity(g). (3) Cl-size= tissue wet weight(g)/[shell length (mm)]<TEX>$^{3}$</TEX>. Cl-vol 산정을 위한 패각내 부피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였으며, 전체 부피와 육질을 제거한 패각의 부피 차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월 별 세 가지 Ci들의 변화는 Pearson의 상관계수, 분산분석(ANOVA)과 Duncan의 다중검정법을 사용하여 세 지수의 유의성과 처리평균간의 근사 정도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홍합의 크기는 각장 50-180 mm 이었다. 세 지수의 범위는 67.48-140.61(CL-vol), 74.67-118.02(Cl-wt), 1.40<TEX>$^{-5}$</TEX>-1.60<TEX>$^{-5}$</TEX>(Cl-size)였다. Cl-vol은 Cl-wt, Cl-size와는 다르게 계절에 따른 유의차를 보였으며(p<0.05) 8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므로 패각내 부피를 이용한 Cl는 홍합의 상태를 제시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Condition indices (Cl) are considered to be useful measurements of the nutritive and health status of bivalves although studies on Cl of bivalves are limited due to the lack of a standard formula for calculating Cl. This study attempts to generate Cl of the mussel, Mytilus coruscus inhabiting along the coastal area of Chuja Island in Cheju using three primary formulas. the formulas used in this study: (1) Cl-vol= [tissue dry weight (g) 1000] /shell cavity volume (ml). (2) Cl-wt= [tissue dry weight (g) 1000] / internal shell cavity capacity (g). (3) Cl-size= tissue wet weight (g)/[shell length (mm)]<TEX>$\^$</TEX>3/. Monthly condition indices calculated with the three formulas are compared using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 Chuja Island M. coruscus collected ranged from 50 to 180 mm in shell length. Monthly ranges of Cl-values were 67.48 to 140.61 (Cl-vol), 74.67 to 118.02 (Cl-wt) and 1.4 10<TEX>$\^$</TEX>-5) to 1.6 10<TEX>$\^$</TEX>-5/ (Cl-size). Cl-vol values in August were higher than two Cl-values in the other months. Monthly Cl-v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l-wt and Cl-size.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olumetric condition index (Cl-vol) used in this study is acceptable as a standard measure to evaluate conditions of M. coruscus.

한국산 가리비과(Pectinidae: Bivalvia) 패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동이원소
김재진(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박갑만(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pp.63-69
초록보기
초록

가리비류 4종 - 큰가리비(Patinopecten yessoenensis), 주문진가리비(Chlamys swifti), 비단가리비(Chlamys ferreri ferreri), 해가리비(Amusium japonicum japonicum) -을 한국 5개 지역에서 채집하였고 중국산 비단가리비를 시장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총 7개 동위요소에 대한 starch gel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8개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유전적 유사도는 비단가리비 3집단이 가장 가까운 관계를 보였고, 주문진가리비와 큰가리바가 유전적으로 서로 가까운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 그룹과 비단가리비가 0.595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해가리비가 나머지 3종과는 유사도가 0.541로 가장 멀었다.

Abstract

Electrophor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scallops, Patinopecten yessoensis, chlamys ferreri ferreri, Chlamys swifti and Amusium japonicum japonicum, and of a Chinese population of C. ferreri ferreri purchased form a market. Glucose phosphate isomerase banding pattern was highly varied among eight loci. Three populations of C. ferreri ferreri were more closely clustered in a dendrogram within the range of Nei's genetic similarity values of 0.730-0.830. P. yessoenensis and Chlamys swifti were clustered with genetic similarity value of 0.647. These two clusters were lineated at the value of 0.598. A. japonicum japonicum was clustered with other three species at value of 0.54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