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동양달팽이의 눈에 대한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정계헌(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현(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pp.1-8
초록보기
초록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알려진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성체의 눈에 대하여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동양달팽이의 눈은 각막, 무세포성의 수정체, 망막및 신경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가장 복잡한 구조를 보이는 부분은 망막으로서 이의상피는 2종의 원주세포로 구성되어있다. 그 하나는 광수용세포로서 세포의 상부세포질이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의 돌기를 이루었고 그 유리표면에는 긴 감간(microvilli)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돌기를 이룬 세포질 내에는 용해소체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광수용세포들의 상부세포질에는 이웃해 있는 색소세포들의 세포질 돌기들이 여러개 침입해 들어와 있다. 그리고 핵 주변의 세포질에는 수많은 photic vesicle들이 군집을 이루어 존재한다. 다른 한 종류의 세포는 색소세포들로서 광수용세포들과는 달리 세포의 상부에 원추형의 세포질 돌기가 없고 다만 그 유리표면을 따라 광수용세포의 것보다는 굵고 짧은 많은 감간이 존재하는데 두 종류의 세포들에서 뻗어나온 감간들은 서로 만나 때로 파상을 이루고 있다. 망막 상피세포층의 기저막 아래에는 신경망이 컵모양의 망막을 따라 존재한다.

Abstract

한국산 달팽이과 14종의 생식기관에 관한 연구
이준상(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권오길(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pp.9-1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enital organs of 14 land snail species belonging to family Bradybaenidae in Korea. The species used for present experiment were characterized by well developed dart sac, accessory sacs and two mucous glands between accessory sacs. No flagellum in the snails of three species employed(Acusta despecta sieboldiana, Koreanohadra kurodana, K. koreana) was observed in this study. The similarity value between Koreanohadra kurodana and Koreanohadra koreana (S=0.834) was more higher than the other species pairs. The higher value followed was recorded between Aegista gottschei and Aegista pyramidata (S=0.761). The clustering type by anatomical genital organs was similar to that analysed by the shell morphologies.

쇠우렁이과 ( Birthyniidae ) 패류 8종에 대한 수리분류학적 연구
김재진(배재대학교 생물학과) pp.19-2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ight species of the family Bithyniidae, Bithynia tentaculata, B. leachi, B. siaminsis, B manchourica, B misella, B. kiusiuensis, Gabbia australis and a Bithynia wp. collected from Nepal, were studied for their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Total 20 characters were employed for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taxonomic distance. G. misella and B. kiusiuensis were closely related and similar to G. australis. B. manchourica, B. tentaculata and B. siamensis relatively closed group, and taxonomic distance of B. leachi was far from the other species.

한국산 또아리물탈행이과 3종 내의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
Pyung-Rim Chung() ; Younghun Jung() ; Eung-Kyung Jung() ; Dae-Soon Kim() pp.27-37
초록보기
초록

한국산 담수 또아리물달팽이과(Planorbidae)에 속하는 또아리물달팽이(Gyraulus convexiusculus),수정또아리물달팽이(Hippeutis cantori) 및 배꼽또아리물달팽이(Segmentina hemisphaerula)3종에 대한 종간 유전적 변이와 이들 상호간의 분류학적 유연 관계를 생화학적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즉, 모계유전으로 자손에 유전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mitochondrial DNA; mt DNA)의 변이를 보기위하여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를 처리하고 잘라진 mtDNA절편들을 상호 비교하는 restriction fragmint length polymorphism(RFLP)기법을 응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10개의 제한효소 중 CIa I, Dra I, Eco RI, Hin dIII, Kpn I및 pst I의 6개 제한효소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종간의 공통절편(shated fragmints)을 비교하였고, 염기분화율(nucleotide divergince rate)을 각각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크기(genome size)는 또아리물달팽이가 12.08 kb,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14.4 kb, 그리고 배꼽또아리물달팽이가 12.93 kb로 관찰되었다. 염기분화율(p)는 또아리물달팽이/수정또아리물달팽이 군에서 p

Abstract

금제연안에 서식하는 바지락 , Ruditapes philippinarum ( Pelecypoda : Veneridae ) 의 생식소발달과 연령 및 성장
Chung, Ee-Yung(Department of Marine Development, Kunsan National University) ; Ryou, Dong-Ki(Department of Aquaculture, Kunsan National University) ; Lee, Ju-Ha(Department of Biology, Jeonju University) pp.38-4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Gonadal developmint, age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from the intertidal zone of Simpo on the coast of Kimje, Korea, which were collected onthly for one year from Februaty 1993 to January 1994.Ruditapes philippinarum is diecious in sex. The gonads are located between the subregion of the midintestinal glands and reticular connective tissue of the foot. The ovary is composed of a number of ovarian sacs, and the testis is composed of numerous seminiferous tubules. The clam spawns once a year from early June to darly Octo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between July and August when the water temperature went above 23<TEX>$^{\circ}C$</TEX>. Ripe oocytes are about 65-70<TEX>${\mu}{\textrm}{m}$</TEX> in diameter. Gonadal phases of this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multiplicative(February to March), growing (April to May), mature(Aprilto Septimber), spent(June to October), and degenerative and resting(july to March). Spaw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sea water temperature.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s of marginal index (MI')of the shell, it was suggested that the annual ring mark formation occurred in March once a year and took approximately 8 months (0.67 year) for first ring to be formed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SL) and the total weight (TW) was represented by nonlinear equation; TW=1.208 x 10/ sup -4/ S <TEX>$L^{3.158}$</TEX>, and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the shell length (SL) and the shell height(SH), the shell length and the shell width (SW) were represented by the linear equations; SH=0.726 SL-0.483, SW=0.542 SL-0.803.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von Bertalanffs equation were expressed as: S <TEX>$L_{t}$</TEX> =68.34(1- <TEX>$e^{0.221}$</TEX>(t+0.418)) T <TEX>$W_{t}$</TEX> =75.16(1- <TEX>$e^{0.221}$</TEX>(t=0.418))<TEX>$^{3.158/3.158}$</TEX>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의 대사에 미치는 부니의 영향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개발학과) ; 신윤경(부산수산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이주하(전주대학교 생물학과) pp.55-63
초록보기
초록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개체크기(작은 개체: 1.0-1.3cm, 큰 개체:4-5 cm), 수온(10, 15및 2<TEX>$0^{\circ}C$</TEX>), 염분(7,13,19,26 및 32 <TEX>$\textperthousand$</TEX>)에 따른 일반적인 대사경향과, 수온 1<TEX>$0^{\circ}C$</TEX>와 2<TEX>$0^{\circ}C$</TEX> 그리고 부니 농도 25, 50, 100, 200, 400 600, 800및 1000ppm에서 15일간 노출시키면서 사망률, 산소소비율, 여수율 및 배설률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일반적으로 피조개의개체 크기는 작은 개체일수록, 그리고 수온이 높을수록 비체중 산소소비율, 비체중 여수율 및 비체중 배설률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염분을 제외하고는 산소 소비율과 여수율은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비체중 배설률은 염분농도가 낮아질수록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1<TEX>$0^{\circ}C$</TEX>의 경우 작은 개체에서 LC<TEX>$_{50}$</TEX>은 557.11 ppm, 큰 개체에서 856.03 ppm이었고, 20%C의 경우, 작은 개체에서의 LC<TEX>$_{50}$</TEX>은 274.55 ppm, 큰 개체에서 346.26 ppm이었으며 1<TEX>$0^{\circ}C$</TEX>에 비해 2<TEX>$0^{\circ}C$</TEX>에서 특히 1000 ppm이상의 농도에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부니에 의한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3.에 비해 2<TEX>$0^{\circ}C$</TEX>의 고수온구에서 부니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사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1<TEX>$0^{\circ}C$</TEX>와 2<TEX>$0^{\circ}C$</TEX>의 두 수온구에서 산소소비율과 여수율에 대한 각 농도별 부니의 영향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2<TEX>$0^{\circ}C$</TEX>에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부니농도 100ppm이상에서 산소소비율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암모니아태질소 배설률은 부니농도의 증가에 따라 차츰 증가를 보인후 600ppm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