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청소년의 강점, 성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Strengths and Personality to Life Satisfaction

초록

본 연구는 강점의 구성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된 청소년 강점척도와 청소년의 성격, 청소년 강점 척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청소년의 성격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1,746명(중학생 485명, 고등학생 123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강점검사와 NEO청소년성격검사, 청소년 삶의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점과 성격 요인들 간에 상관은 보였으나 상관계수 크기가 큰 요인 보다 작은 요인들이 많았다. 둘째, 강점과 삶의 만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성격과 강점 모두 삶의 만족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셋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격 요인 이외에 강점요인들이 포함된 회귀모형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dolescents Strengths, adolescent personality, constructs of strengths, life satisfaction, 청소년 강점, 강점의 구성개념, 청소년 성격, 청소년 삶의 만족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tructs of Korean adolescents' strength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strengths and personality to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NEO adolescent personality inventory and KLSSA(Korean Life Satisfaction Scale for Adolescence) were measured. Data were obtained from 1,746 students (middle school 485, high school 123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gener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20 strength factors and 5 personality factors, siz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stly rather small. Second,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strengths and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trengths explained an additional significant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above the effect of personality. Last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adolescents Strengths, adolescent personality, constructs of strengths, life satisfaction, 청소년 강점, 강점의 구성개념, 청소년 성격, 청소년 삶의 만족도

참고문헌

1.

곽금주 (1995).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삶의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5-16.

2.

구본용, 유제민 (2005). 성격 및 환경요인과 행복과의 관계. 상담학 연구, 6(1), 1-7.

3.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4.

국승희 (2004).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성격의 5요인 모델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84-998.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6.

김기년, 탁진국 (2013). 청소년 강점척도 개발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4), 803-828.

7.

김남정, 임영식 (2012). 청소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청소년활동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9(8), 219-240.

8.

김미선, 박성희, 김진영 (2013).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행복추구경향 간의 관계: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치료학회, 5(1), 53-71.

9.

김미진, 홍혜영 (2011). 성격강점과 행복과의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청소년 시설환경, 9(4), 84-95.

10.

김영민, 임영식 (2013).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2), 343-366.

11.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청소년의 심리, 행동 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12.

김현정, 고영건 (2014). 성격강점 및 덕목 그리고 행복 간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317-334.

13.

모화숙, 박미라, 하대현 (2013). Big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7(3), 761-781.

14.

민경환 (2002). 성격심리학. 법문사

15.

문재우 (2012). 청소년의 비만, 우울, 자아존중감 및 신체이미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3(2), 119-146.

16.

서경현 (2012).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2), 137-157.

17.

서경현, 김정호, 유제민 (2009). 성격과 주관적웰빙 간의 관계: Big 5 성격요인과 BAS/BIS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69-186.

18.

서진숙, 이동혁 (2010).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안녕감을 매개하는 자아정체감. 상담학연구, 11(4), 1599-1622.

19.

신 미, 전성희, 유미숙 (2010). 청소년의 삶의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7(9), 131-150.

20.

안창규ㆍ채준호 (1997). NEO-PI-R의 한국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9(1), 443-473.

21.

안현의, 김동일, 안창규 (2006). 청소년 NEO 성격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한국가이던스.

22.

원두리 (2011) 성격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151-167.

23.

윤성민, 신희천 (2013). 행복증진을 위한 개입활동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5(2), 275-308.

24.

이화령, 임낭영, 류초롱, 서은국, 박수진 (2008).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유발하는 정적 정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59-175.

25.

인보영, 김인옥 (2012). 아동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7(1), 81-95.

26.

임그린, 김기년, 탁진국, 김태은, 임광모, 김거도, 방준석, 임슬기 (2014). 청소년 강점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미발표논문.

27.

임영진 (2012). 성격강점과 웰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13-730.

28.

장혜주 (2012). 청소년의 진로 스트레스, 분노표현방식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부모교육연구, 9(1), 75-93.

29.

조선일보 (2014. 6. 1). 행복의 조건, 청소년 행복지수 OECD 국가 중 최하.

30.

차경호 (2001).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 9, 7-26.

31.

Ben-Zur, H. (2003). Happy adolescent the link between subject well-being, internal resources, and parental facto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2), 67-79.

32.

Black, B. (2001). The road to recovery. Gallup Management Journal, 1(4), 10-12.

33.

Boehm, J. K., Lyubomirsky, S. (2009).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 J. Lopez(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667-67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

Clifton. D. O., & Nelson. P. (1992). Soar with your strengths: A Simple Yet Revolutionary Philosophy of Business and Management, New York: Delacorte Press.

3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36.

Costa, P. T. Jr., & McCrae, R. R. (1980). Influence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Happy and un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668-678.

37.

Costa, P. T. Jr., & McCrae, R. R. (1992).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6), 635-665.

3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39.

Diener, E., & Seligman, M. E.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10), 81-84.

40.

Diener, E., Oishi, S., & Lucas, R. E. (2003).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 403-425.

41.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42.

Fordyce, M. W. (1998). A review of research on the happiness measure: a sixty second index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55-382.

43.

Furnham, A., & Lester, D. (2012). The Development of a Short Measure of Character Strength.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8, 95-101.

44.

Govindji, R., & Linley, P. A. (2007). Strengths use, self concordance and well-being: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2, 143-153.

45.

Greenspoon, P. J. & Saklofske, D. H., (2001). Toward an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pathology. Social Indictors Research, 54(1), 81-108.

46.

Harter, J. K. (1988). Gage Park High School research study. Princeton, NJ: The Gallup Organization.

47.

Huebner, E. S. (1994).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6, 149-158.

48.

Huebner, E. S. (2004).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 3-33.

49.

Linley, A. P., &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37-46.

50.

Lopez, S. J., Harter, J., Juszkiewicz, P., & Carr, J. (2006). Clifton Youth Strengths Explorer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Princeton, NJ: The Gallup Organization.

51.

Lopez, S. J. (2008).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Volume 1, Discovering Human Strengths,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권석만, 정지현 역, 2011). 서울: 학지사.

52.

Macdonald, C., Bore, M., & Munro, D. (2008). Values in action scale and the Big 5.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 787-799.

53.

Norman, W. T. (1963). Toward an adequate taxonomy of personality attributes: Replicated factor structure in peer nomination personality rating.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6, 574-583.

5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5.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6.

Seligman, M. E. P., Steen, T.,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