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중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불안에 이르는 경로 탐색: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비합리적 신념’의 순차적 매개효과
설희정(연세대학교) ; 이동귀(연세대학교) ; 배병훈(연세대학교) pp.335-353 https://doi.org/10.16983/kjsp.2014.11.2.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명세화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의 유의성 및 매개순서를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강남구 소재의 2개 중학교 1, 2, 3학년 남녀 267명(남학생 107명, 여학생 158명, 무응답 2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비합리적 신념, 대인불안 척도를 실시하고 매개변인의 순서에 따른 두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선행모형(사회부과 완벽주의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비합리적 신념 → 대인불안)’의 순차적 경로가 유의한데 반해, ‘비합리적 신념 선행모형(사회부과 완벽주의 → 비합리적 신념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 대인불안)’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교장면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에 기인한 대인불안 수준이 높은 중학생을 상담·교육할 때 정서적인 요인(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인지적인 요인(비합리적 신념)의 순서로 개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purpose to specify the path fro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P) to interpersonal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ticularly intended to test the significance and the directionality of the effect between the two mediators (i.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rrational beliefs). For this, a research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rrational beliefs, and interperson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o 267 students (107 men, 158 women) enrolled at two middle schools in Gangnam-gu, Seoul who included freshmen, sophomores, and senio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e., the hypothesized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on model 1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receeding irrational beliefs) was significant, while the mediation model 2 (irrational beliefs preceeding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ain target for intervention should be the emotional aspect (i.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at can be followed by the second target, the cognitive aspect (i.e., irrational beliefs) when school counselors work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ho suffer from high level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anxiety.

초등학생의 내·외재적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노현종(경북대학교) ; 손원숙(경북대학교) pp.355-375 https://doi.org/10.16983/kjsp.2014.11.2.3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생애목표,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에 따른 차이,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418명(남학생 232명, 여학생 186명)이며,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생애목표와 관련해서는 내재적 생애목표와 외재적 생애목표에서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내재적 생애목표는 기본심리욕구, 안녕감과 대체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던 반면 외재적 생애목표는 안녕감과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생애목표와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에서 내재적인 생애목표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능감과 관계성을 매개로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인 생애목표는 기본심리욕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고, 안녕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성은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유능감과 관계성을 매개하여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재적 생애목표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이 유능감, 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인 생애목표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에게 있어서 보다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삶을 위한 내재적 생애목표의 수립과 추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mary school students' life goals on their well-being mediated by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o evaluate consistency of their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cross gender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8 5th or 6th graders(232 male and 186 femal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primary schools located in D-City.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for its validity through SEM analyse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primary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life goals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e intrinsic life goals showed only indirect effects on well being through medi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hereas the extrinsic life goals had only direct effects on i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group SEM analyses showed that intrinsic life goal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ree kind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both gender groups. However, extrinsic life goal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well-being only for the male group. Finally, importances of establishing and pursuing intrinsic life goal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사회불안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의 이중매개효과검증
구훈정(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377-402 https://doi.org/10.16983/kjsp.2014.11.2.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이 사회불안과 사회자본형성에의 이중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였다. 서울과 지방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16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고 총 3차에 걸쳐 사회불안척도, 자기불일치척도, 의사소통유능감척도, 사회자본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 모형과 대안 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연구 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었다. 연구 모형에 기반하여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불안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를 부분매개로 하여 의사소통유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는 의사소통유능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사회불안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사회자본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불안 청소년의 온라인 사회공간 활용방안에 대한 교육적 지침에 대한 제언과 더불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ocial capital for adolescents. A total of 316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ocial Anxiety and Distress Scale, Self-Discrepancy Scale modified for measuring online and offline self-present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and Social Capital Scale, along with a consent form three tim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o compare the fit of the research and alternative models, and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Results showed that social anxiety had directly a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indirectly a effect on social capital via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which also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anxie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also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on-offline self-discrepancy and social capital. Limitations, future research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풍랑을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기: 학교폭력 피해 극복 학생 어머니의 경험
방기연(고려사이버대학교) pp.403-428 https://doi.org/10.16983/kjsp.2014.11.2.4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극복 학생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어머니를 상담하고 교육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어머니를 심층 면접하였고, 면접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어머니들은 피해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자녀의 어려움을 인식하게 되었고, 자신의 양육방법이 잘못되어 자녀가 괴롭힘을 당한다는 생각으로 죄책감을 느꼈다. 또래 친구들이 자녀를 괴롭힌 이유를 알지 못하고, 자녀를 도울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어머니들은 혼란스러웠다. 피해 사건 초기에는 자녀와의 관계가 일시적으로 나빠졌다. 하지만 어머니가 자녀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시작하면서 관계가 회복되었고, 어머니는 자녀의 권리를 찾기 위한 옹호 활동을 시작하였다. 자신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변화하고, 어머니가 자신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며 자녀는 심리적으로 안정되었다. 피해사건이 종결되어도 자녀와 어머니 모두 언제 다시 학교폭력 사건이 발생할지 몰라 불안하기도 하지만, 이 경험을 통해 자신과 자녀 모두 강인해졌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이 위기를 통해 가족 응집력이 높아졌으며, 특히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가 가까워진 것을 가정의 긍정적인 변화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학교폭력에 대한 고정관념, 회복탄력성의 의미, 그리고 학교심리학자의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s of six mothers whose children were victims of school violence. Mothers were confused since they did not understand the reasons behind the school violence and did not know how to help their children. Initially, they looked for reasons of school violence in their children, but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deteriorated as a result. However, soon, the mothers accepted and empathized with their children, and made efforts to advocate for their rights to the assailants and teachers. The children stabilized after their mothers changed their initial attitudes toward them and school violence. The mothers felt angry with the aggressors who harassed their children and with the teachers who were not active in protecting their children. The mothers lost their confidence as care-takers since their children had become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they don't know how to intervene at first. They got help from books and other media sources regarding child-rearing and school violence to help their children. They go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members of the immediate family, but did not seek help from the mothers of the children's friends. After seeing their children became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mothers were always alert regarding and observed detail's of their child's school life. Even though it was hard experience, they found positive changes. Both mothers and children perceived that they got stronger by getting through the experiences, and the family became more cohesive than before. Furthermore, some mothers looked for career paths in helping adolescents since they came to realize that victims of school violence did not get help from their own parents o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data in order to educate and counsel the mothers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are discussed with the myth of school violence, family resilience, and the role of school psychologists.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지혜(덕성여자대학교) ; 이종숙(덕성여자대학교) pp.429-454 https://doi.org/10.16983/kjsp.2014.11.2.4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관여, 구조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소재 3곳의 초등학교에서 5, 6학년 남․여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 측정된 5, 6학년의 자기결정성 수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외적 조절 동기였고, 확인/통합된 조절, 내재적 동기, 내사된 조절, 무동기 순으로 자기결정성 수준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중 자기결정성이 높은 내재적 동기, 확인, 통합된 동기 등은 아동이 지각한 모의 자율성지지, 관여, 구조 양육태도와 대부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결정성이 낮은 외적 조절 동기, 내사된 동기 등은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동의 학업적 실패내성도 대체로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자기결정성이 낮은 동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모의 자율성지지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를 학업적 실패내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모의 관여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를 학업적 실패내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이 지각한 모의 구조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를 학업적 실패내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하고, 온정적이고 민감하며, 규칙이 있고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를 제공한다는 아동의 지각이 자녀의 높은 실패내성을 매개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 between their self-determinated learning motivation and their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autonomy support, involvement and structur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352 students sampled from 5th and 6th grade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eon, Gyeongg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veal that children’s most frequent response of their learning motivation level was the external regulation. Second, in terms of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integrated regulation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autonomy support, involvement and structure.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show nega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arenting attitude in general. Children’s academic failure tolerance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integrated regula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ivations of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in general. Third, in the examin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mother’s autonomy support, involvement, and structure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for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enhancing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rough mothers’ parenting attitude of autonomy supporting, involving and structuring help students to have high self-determined motivation to overcome frustration caused by the pressure of achievement, comparison, and competition.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