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상담교육과 관련된 긍정적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School Teachers’ Positive Experiences of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A Qualitative Study

초록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에 진학하는 배경과 이를 통해 얻은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함으로써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의 성과와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0명의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유능하게 활동하는 상담전공 졸업자들의 모습을 접했고 그들의 권유로, 학생들을 보다 잘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기 위해서, 그리고 상담공부를 하면 상담지식 및 기술이 향상되고 자기성장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면서 진학했다. 교육대학원 상담교육과 관련된 긍정적인 경험의 전형적인 범주로는 자기변화, 관계변화,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 반응 등을 들었다. 자기변화에는 상담 지식 및 능력의 향상, 자기이해 및 수용, 학생을 보는 시각 및 태도 변화, 자신의 감정 변화, 타인의 이해가 포함되어 있다. 관계변화에는 가족관계, 학급 분위기, 대인관계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원가족 관계의 미해결감정을 완화 또는 해결한 경험을 한 사례가 9사례로 나타났다. 교사의 긍정적인 변화는 학생, 학부모, 배우자로부터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확인되었고, 구체적으로 주변에서 상담을 의뢰해 오거나 상담결과에 만족하는 반응을 전하는 등 상담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이어졌다.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education, CQR, school counseling, teach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education, CQR, school counseling, teachers, 교육대학원, 상담교육, 합의에 의한 질적분석, 학교상담, 교사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eachers’ positive experiences related to counseling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ten teachers and the data from interview was analyzed by CQR. Some examples of the positive experiences the teachers had during the counselor education progra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luded self-changes, relation-changes, and positive responses from others. Self-changes included counseling knowledge acquisition,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changes of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students, changes of their own emotion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s. Relation-changes included relationship with family, the classroom atmosphe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ere were nine cases that expressed feeling relief or solving unresolved emotion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Teachers’ positive changes were identified by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parents, and spouses. The importance of counselor education and studying counselor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discussed.

keywor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education, CQR, school counseling, teach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unseling education, CQR, school counseling, teachers, 교육대학원, 상담교육, 합의에 의한 질적분석, 학교상담, 교사

참고문헌

1.

김영실 (2005). 교육연수원의 상담연수 교육과정의 표준화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재춘, 박정순 (2010).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96-120.

3.

김정섭, 강영심, 강승희, 신경숙, 이영만, 정면화, 황희숙, 허승희 (2004).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경기도: 서현사.

4.

박경애, 방기연 (2007).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8(3), 1185-1204.

5.

박미진 (2002).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변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성희 (2004). 초등학교 상담의 나아갈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7-40.

7.

신상묵 (2004).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활동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연부옥 (2002). 상담전공교사와 비전공교사 간의 초등학교 상담활동 및 인식비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정근 (2003).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교사의 상담활동에 관한 중학생의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임문수 (2008). 중등 수학과 교사 현직연수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전국교육대학원장협의회 (2009). 전국교육대학원일람.

12.

정우현 (1983). 현대교사론. 서울: 배영사.

13.

주동욱 (2004). 부모와 교사의 기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최미경 (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기대가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시영 (2001). 학생의 교사기대수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Baker, J. A. (2006).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3), 211-229.

17.

Clunies-Ross, P., Little, E. & Kienhuis, M.. (2008). Self-reported and actual use of proactive and reactive classroom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ress and stud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y, 28(6), 693-710.

18.

Dockett, S., Perry, B., & Whitton, D. (2010). What will my teacher be like? Picture storybooks about starting school,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5(3), 33-41.

19.

Hill, C. E. (Ed.) (2011).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phenomena,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unseling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21.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22.

Kokkinos, C. M., Panayiotou, G., & Davazoglou, A. M. (2005). Correlates of teacher appraisals of student behaviors, Psychology in the School, 42(1), 79-89.

23.

Meyers, A. & Swerdlik, M.. (2003). School-based health center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school psychologists. Psychology in Schools, 40, 253-264.

24.

Pledge, D. (2004). Counseling Adolescents and Children: Developing your clinical style, Belmont, CA: Thomson Learning.

25.

Shi, Q., & Leuwerke, W. C. (2010). Examination of Chinese homeroom teachers’ performanc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ctivitive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4), 515-523.

26.

Wang, G. (1997). The Homeroom teacher's rol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t school, Caring in an Age of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unseling in the 21st Century (6th, Beijing, China, May 29-30). 7-7.

27.

Yoon, J. S. (2002). Teacher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0(5), 485-494.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