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burnout)의 관계를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 효능감,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 효능감이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는데, 특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의 하위요인과 관련을 보였다. 이는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 수준이 낮아져 소진 정도가 덜함을 추론하게 한다. 둘째, 교사 효능감은 소진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소진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는 교사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교사 효능감이 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예측변인인 기능적 완벽주의가 종속변인인 소진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기능적 완벽주의가 매개변인인 교사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 기능적 완벽주의와 교사 효능감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교사 효능감은 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과의 관계를 완전매개(full mediating)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을 완화하는 긍정적 기능을 하고, 교사 효능감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검증하여, 관련변인에 대한 개입을 통해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nctional perfectionist tendency,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test the effects on teacher burnout with the mediating elements of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teacher efficacy, and search for solutions for teacher burnout. For those purpose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nctional perfectionist tendency and burnout were examined; secondly,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were investigated; and finally, it was tested if teacher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their functional perfectionist tendency and burnout. A total of 300 teacher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ow level of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nctional perfectionism and burnout. Their functional perfectionism was also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humanization and loss of personal achievement. Secondly, teacher efficacy had explanatory power for teacher burnout. Specifically, self-regulating efficacy and confidence of its subvariables provided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teacher burnout. Lastly, it was tested if teacher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eacher burnout. As a result, functional perfectionism, a prediction variable, provided significant explanations for teacher burnout, a dependent variable, and teacher efficacy, a mediating variable. When both 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eacher efficacy were entered simultaneously, teacher 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eacher burnout.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functional perfectionist tendency and burnout and proved that teacher 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이 시험을 대비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탐색하고, 확인된 성취전략 유형을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계 고등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자유응답조사를 통해 시험을 준비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감정, 사고, 행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내용분석하여, 103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103개 문항에 대한 고등학생 497명의 응답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최종 47개 문항(감정 15개 문항, 사고 18개 문항, 행동 14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확인된 성취전략의 요소는 감정 4요소(우울, 거부, 기대감/자신감, 불안), 사고 4요소(걱정, 회피적 상상, 부정적 상상, 긍정적 상상), 행동 3요소(시험준비행동, 시험무관행동, 자기관리행동)이었다. 셋째, 47개 문항에 대한 고등학생 410명의 응답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탐색하였다. 확인된 성취전략은 낙관주의 전략, 많은 생각과 노력 전략, 자기손상 전략, 방관적 전략이었다. 넷째, 확인된 성취전략 유형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취전략 유형 간 성차와 자아존중감, 성취목표지향성,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를 교차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전략 유형 간 성차가 유의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은 생각과 노력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낙관주의 전략과 방관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성취전략 유형 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시험을 앞 둔 상황에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근거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이 적응적 성취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개입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explore achievement strategies us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academic contexts and the other was to validate the types of achievement strategies.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how they feel, think and behave while they prepare for upcoming examination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a free respons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58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ntent analysis yielded 103 items describing their feelings, thoughts and behaviors in situations where school examinations were near at hand. Secon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103 items was administered to 497 high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47 items, which were grouped into 11 components. Feeling scale was composed of four components (i.e., depression, rejection, sense of expectation and confidence, anxiety). Thought scale was composed of four components (i.e., worry, evasive imagination, positive imagination, negative imagination). Behavior scale wa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i.e., examination- preparatory behavior, examination-unrelated behavior, self-management behavior). The classification of such components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ach scale (i.e., feeling, thought, behavior). Thir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47 items was administered to 410 high school students.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tract distinct clusters and revealed four types of achievement strategies (i.e., strategic optimism, thoughtful-effortful strategy, self-handicapping strategy, onlooking strategy). Finally, differences in gender, self-estee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achievement strategy were tested through chi-square analyses and analyses of variance. Differences in gender, self-estee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achievement strategy were found significan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sen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청소년 리더십 관련 변인들을 알아보고 효과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현행 입학사정관 리더십 전형제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되었던 청소년 리더십연구는 주로 어떤 변인들을 다루어왔으며, 이들 변인들을 선행연구의 범주대로 분류할 수 있는가? 둘째, 청소년 리더십 관련 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관련 변인군의 하위요인들의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0년간의 청소년 리더십 관련 연구 20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각 영향변인의 92개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리더십 관련 변인은 인구학적 변인, 조직활동 변인, 가정환경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둘째,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은 사회심리적 변인군이었으며(ES=.9624) 셋째, 하위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ES=1.3231), 생활만족도(ES=1.1737)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국내 입학사정관 리더십 전형의 학생선발방법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observe the related variables; to compare the effect size; and make suggestions for leadership selection by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 and comparison through meta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craf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variables were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can these variables be classified as the categories of the existing studies? Second, how are the effect sizes of the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 groups? Third, how are the effect sizes of sub factors of the related variable group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s can be classified as demographic, organization-activities, home environment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econd, sociopshycological variable group shows the largest effect size. Third, among the sub factors, self esteems (ES=1.3231) and degree of satisfaction for life (ES=1.1737) show two largest effect siz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an alternative for a method to select students through admission counseling leadership selection system.
본 연구는 집단게임 놀이치료에서 ‘말하고, 느끼고, 행동하기’ 보드게임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생활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초등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C시 G초등학교, D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을 각각 선정하여 3명씩으로 구성된 집단별로 연구자와 함께 ‘말하고, 느끼고, 행동하기’ 보드게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체계로 유목화하고 8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하였다. 반응빈도를 살펴보면, 사회체계의 또래관계에 관한 보고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가족체계, 개인체계, 문화체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체계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형제자매 관계, 집안 분위기 중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반응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개인체계에서는 외모와 능력 중 외모로 자신을 평가하는 빈도수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문화체계에서는 종교로 내용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fe-cult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efine and underst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fe- culture and collect resources avail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nseling, guidance.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were 57 second-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wo class, who were divided into the nineteen group consisting of three children and played the talking, feeling, doing game with researcher. and the data was qualitatively analysed.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 life-culture for lower grad of elementary school were related to friend. and it showed family system, personal system, culture system.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지닌 아동 및 청소년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학업문제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ADHD를 지닌 아동 및 청소년의 학업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개입을 개관하고 이를 토대로 추후 발전방향 및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국내외에서 발표된 논문을 행동적 개입, 학업적 개입, 인지행동치료, 자기조절절차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개관한 결과, 대체로 ADHD 아동 및 청소년들의 학업문제를 개선하는데 비약물적 개입은 효과적이었다. 행동적 개입이 주로 학업행동에 대해 효과를 보인 반면, 학업적 개입은 학업수행에 대해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치료에 비해서 학업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연구가 ADHD 남자 아동에 대해서 이루어져, 향후 연구에서는 ADHD 청소년과 여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DHD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개입할 때 교사, 부모, 또래, 컴퓨터가 개입의 매개자가 되는 것은 효과적이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연구들이 안고 있는 방법론적인 문제를 언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One of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is academic impairment. This review examined non-medication intervention studies on the academic impairment of students with ADHD in the general categories including behavioral interventions, academic intervention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 self-reg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non-medication intervention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academic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ADHD. Behavioral interventions have demonstrated an impact on academic behavioral variables while academic interventions on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Efficacy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improving academic outcomes is limited.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over preadolescent boys. Thus, the extent to which these results might generalized to girls and adolescents should be examined. Studies which used teacher, parents, peers & computers as mediators for interventions showed effective. The majority of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are limited by methodological flaw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are delin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