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Focusing on 'Escape Theory Model'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 Korean Journal of Addiction Psychology, (P)2508-3082;
2016, v.1 no.1, pp.31-53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31
진미령(Mi Ryoung Jin) (한동대학교 심리학과)
신성만(Sung-man Shin) (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과정이 Baumeister의 자기도피이론모형의 경로와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도피이론은 자기파괴적 행동이라는 최종 결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는 방식과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이론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피이론모형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감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의 '중1 패널' 5차년도(2014년) 자료 중 스마트폰을 보유한 고등학교 2학년 1,851명이었으며, SPSS 19.0, Amos 18.0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도피이론모형의 구성 변인인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감, 스마트폰 중독 모두에서 대부분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모든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가장 높은 상관을 보여준 변인은 자기통제감이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국내 청소년 패널자료가 도피이론모형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umeister의 이론과 일관되게, 이상과 실제 사이의 괴리에서 비롯된 낮은 자아존중감은 도피경향을 유도하는 우울 정서로 이끌어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게 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자기도피이론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며,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과 현실로부터 도피하려는 시도로 스마트폰에 중독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자기도피이론 모형의 단계를 재배치한 대안모형의 적합도가 기존 모형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도피이론모형의 단계와 순서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개입 시에는 인지적 요소에 우선하여 정서를 중점으로 다룬 예방․치료방법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기도피이론, 자기파괴적 행동,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 정서중심치료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rocess of Smart phone addiction accords with Baumeister's escape from self theory among Korean adolescents. Escape theory has been made good use of accounting operating mechanism and causal link of diverse factors that lead to ultimate self-destructive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each stage corresponds with 'Escape Theory Model'.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2014)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by the use of SPSS 19.0, Amos 18.0. Subject of analysis was 1,851 2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who answered having Smart ph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 phone addi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other variables. Especially, self-regulation showed highest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results of path analysis with domestic data indicated that the 'original escape theory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Consistent with escape theory, a path model yielded significant paths from attachment trauma to self-esteem, self-esteem to depression, depression to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to Smart phone addiction. Third, results of path analysis with domestic data indicated that the modified 'alternative model(depression precedes low self-esteem)',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than a original model. This path model yielded significant paths from attachment trauma to depression, depression to self-esteem, self-esteem to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to Smart 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not only Smart phone addiction of Korean adolescents can be explained as self-destructive behavior by escape theory, but also the stages and orders of escape model can appear in different guises in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emotion-focused prevention and treatment preceding cognitive factor for Smart phone addiction would be more effective for Korean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useful and practical method for conducting interventions for the Smart phone addiction of youth.

keywords
Smart phone addiction, Pathological Smart phone use, Escape from self theory, Self-destructive behavior, Adolescence,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Emotion-focused therapy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04-18
수정일Revised Date
2016-06-0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6-06-13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