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청소년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와 동기강화상담(Motivational Interviewing: MI) 및 동기강화인지행동치료(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MI-CBT)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와 중재변인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가운데, 청소년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연구 19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19편의 연구에서 산출된 72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청소년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0.773으로 효과크기 값이 중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에서는 흡연행동과 관련한 인지적 요인(흡연요인)에서 평균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종속변인 중 흡연량(생리측정 및 개비수)에서 인지행동치료와 동기강화인지행동치료가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동기강화상담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나머지 주요 종속변인인 흡연요인과 자기개념은 이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대상자 특성과 운영 특성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행동치료와 동기강화상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the difference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nd regulation effects by moderator variables among three programs which ate developes as the non- smoking group programs for youth: the Cognitive-Behavior Therapy(CBT), Motivational Interviewing(MI)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MI-CBT). To this end, all the domestic papers and thesis about the programs of youth non-smoking group are reviewed from all studies published in Korea until May, 2015 from the time the data base, 19 of them are selected and meta-analyzed. The result are as below. firstly, the average value of effect size of 72 samples from 19 studies is 0.773. This value is middle. Secondly, the cognitive variables which i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has the largest average value of the effect size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Thirdly, CBT and MI-CBT has the large effect size whereas MI has the middle effect size about the amount of smoking which is one of major dependent variables. In the case of other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moking factor and self-concep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programs. Fourthly, difference of effects which is depend on property of recipient and property of operating constitute the group programs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rom these results, this paper cover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on-smoking program for youth which is based on the CBT and 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