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DSM-5 준거에 기초한 성중독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Sex Addiction Scale based on DSM-5 criteria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 Korean Journal of Addiction Psychology, (P)2508-3082;
2018, v.3 no.1, pp.41-5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3.1.41
김성희(Sung Hee Kim)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김예나(Yena Kim)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권선중(Sun Jung Kwon)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DSM-5(APA, 2013)의 물질사용장애와 도박장애 준거, 그리고 Section-III에 제시된 인터넷 게임 장애의 진단준거를 참고하여 성중독 척도를 개발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세 개의 기존 중독 관련 장애에 공통으로 포함되어 있는 5개의 준거(금단, 내성, 집착, 조절실패, 일상생활 장애)와 적어도 두 개의 장애에 공통으로 포함된 3개의 준거(회피, 계속적인 사용, 흥미상실)를 반영하고, 최근 물질사용장애 준거에 추가된 '갈망'을 포함하여 총 9개의 준거를 최종 선정한 후, 일상생활장애를 측정하는 문항을 2개로 구성한 총 10문항의 도구를 개발했다. 인터넷 조사업체가 보유한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지난 1년 간 성적 욕구 해소를 위해 월 2~3회 이상 성적 대상을 활용했다고 응답한 성인 남성 7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중독 척도는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신뢰도 또한 높았으며(Cronbach's α=.93), 성행동 빈도 및 성인지, 온라인 성중독 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적절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척도가 성중독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keywords
성중독, 척도개발, 신뢰도, 타당도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ex Addiction Scale(SAS) based on Substance Use Disorder criteria, Gambling Disorder criteria,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criteria in the DSM-5. There are five criteria('Withdrawal', 'Tolerance', 'Preoccupation', 'Unsuccessful efforts to control', 'Jeopardizing relationship/ job/education') that are common criteria to three existing addiction-related disorders and three criteria('Use for escape or relieve from negative mood', 'Loss of interests/hobbies/entertainment', 'Continued use despite negative results') that are common criteria to at least two disorders. In addition, we included 'craving' criterion in Substance use disorder, and finally developed SAS consisting of 10 items in 9 criteria. SAS was developed with one item per criterion, but only the criterion of "Jeopardizing relationship, job, or education" was developed as two items. Using an online panel of Internet researchers, we collected data on 712 adult males who answered that they used their sexual object more than two or three times a month in order to solve their sexual craving over the past ye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x Addiction Scale showed a stable one-factor structure and high reliability(Cronbach's α=.93),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Sexual behavior frequency scale', 'Irrational sexual beliefs scale', and 'Online addiction scale'. This suggests that this scale can reliably and adequately assess the level of sex addi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in the discussion.

keywords
Sex addiction, Scale Development, DSM-5, Reliability, Validity
투고일Submission Date
2018-05-0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8-06-10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