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국산 해조류의 납, 수은 및 카드뮴 함량

Content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in seaweeds collected in coastal area of Korea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7, v.20 no.3, pp.227-236
김수정 (제주시 보건환경연구원)
황영옥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김무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박석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우리나라 연안에서 생산되며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품인 김, 미역, 다시마, 파래 등 식용 해조류의 중금속 오염실태를 파악하여 연안산 해조류의 식품 위생학적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수은, 납, 카드뮴 등을 대상으로 그 함량을 분석하였다. 해조류 총 169건의 시료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김은 수은의 경우 동해안이 <TEX>$0.0085{\pm}0.0035mg/kg$</TEX>, 납은 남해안이 <TEX>$0.0509{\pm}0.0635mg/kg$</TEX>, 카드뮴은 남해안이 <TEX>$1.3785{\pm}0.7754mg/kg$</TEX>으로 검출되었다. 미역은 수은의 경우 남해안이 <TEX>$0.0152{\pm}0.0116mg/kg$</TEX>, 납은 동해안이 <TEX>$0.1633{\pm}0.2888mg/kg$</TEX>, 카드뮴은 남해안이 <TEX>$0.7141{\pm}0.4952mg/kg$</TEX>으로 나타나 중금속별로 해안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다시마의 경우 수은은 남해안이 <TEX>$0.0177{\pm}0.0118mg/kg$</TEX>, 납은 동해안이 <TEX>$0.0728{\pm}0.1025mg/kg$</TEX>, 카드뮴은 남해안이 <TEX>$0.1640{\pm}0.1253mg/kg$</TEX>으로 높게 나타났다. 파래는 수은, 납 그리고 카드뮴 모두 서해안이 높은 분석치를 나타냈고 톳은 서해안은 수은과 카드뮴이 남해안은 납의 결과치가 높았다. 각 해조류들을 분류별로 살펴보았을 때 수은, 납의 경우 갈조류에서, 카드뮴은 녹조류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중금속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녹조류에서 Hg와 Cd의 상관계수는 0.513(p<0.01), Cd와 Pb의 상관계수는 0.420(p<0.05)으로 중금속간의 분석 값이 서로 비례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해조류를 통해 섭취하는 Hg, Pb, Cd 등의 중금속 주간섭취량은 FAO/WH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17~10.3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heavy metals,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sea lettuce, fusiforme, PTWI.... .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Hg, Pb, and Cd) in seaweeds (n

keywords
heavy metals,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sea lettuce, fusiforme, PTWI


참고문헌

1

F. G. Lowman, (1971) NationalAcademy of Sciences,

2

해양수산부, (2006) 어업생산통계,

3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Code, Moonyoung press

4

(1995) ‘Supplemented Chemical Composition ofMarine Products in Korea’,

5

황영옥, (2006) 한국분석과학회,

6

(1994)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7

기술표준원, (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산업자원부

8

식품의약품안전청, (1999) 식품과 중금속; 식품중 중금속은 과연 안전한가,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