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개체별 땀의 성분분포에 관한연구

Study on individual characterization of sweat component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7, v.20 no.5, pp.434-441
박성우 (충남대학교)
최미정 (충남대학교)
하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유석 (한국화학시험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땀 성분 중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로서 한국인의 땀 중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여 지문을 비롯한 현장증거물의 효율적인 검색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남성 5인을 대상으로 땀 시료를 얻고 지방산 37종의 methylester형태를 표준물질로 하여 GC-FID를 사용하여 조성비를 확인해 본 결과 20-30대 연령의 총지방산 함량은 56.4-72.0 %, 50대연령의 제공자의 경우 32.4-45.4%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땀으로 배출되는 지방산으로는 총 28종이 검출되었고 C16:0 (palmit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8:1n9c (oleic acid), C18:0 (stearic acid), C14:0 (tetradecanoic acid) 5종이 10-45%를 차지하면서 주성분임을 확인하였고 그 외의 C12:0 (lauric acid), C15:0 (pentadecanoic acid), C18:2n6c (linoleic acid), C18:2n6t (linolelaidic acid), C20:0 (arachidic acid), C24:0/C20:5n3 (lignoceric acid/eicosapentaeno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C14:1 (myristoleic acid), C15:1 (pentadecenoic acid), C21:0 (heneicosanoic acid), C22:1n9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개체별 특이한 검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에 있어서는 0.94:1에서 2.6:1의 비율을 보이면서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연령증가에 따른 총지방산의 감소는 주로 포화지방산과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배출감소에 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땀 중 아미노산의 경우 serine (<TEX>$0-31.9{\mu}L/mL$</TEX>), glycine (<TEX>$0-18.9{\mu}L/mL$</TEX>), threonine (<TEX>$0-26.2{\mu}L/mL$</TEX>)이 주로 검출되고 특히 20-30대 연령이면서 단백질의 섭취율이 높은 개체에서의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땀으로 배출되는 아미노산의 개체별 조성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sweat, faty acids, amino acids.... ... ... .., .., ...., ... .., ...., ..., ... ... .. ... ... .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sweat on purpose of latent fingerprint detectant developing and crime evidence searching. Fingerprint from 5 male donors (aged 29-50 years) were collected. We identified fatty acid components on sweat using methylester mixture (37species) as standard fatty acid and analyzed them by GC-FID. As donor was aged, the level of total fat was found to decrease markedly (aged 20-30 years: 56.4-72.0 %, aged 50 years : 32.4-45.4 %). We identifided 28 species fatty acid, primarilly C16:0(palmit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8:1n9c(oleic acid), C18:0 (stearic acid), C14:0 (tetradecanoic acid) and all sweats were found to contain C12:0 (lauric acid), C15:0 (pentadecanoic acid), C18:2n6c (linoleic acid), C18:2n6t (linolelaidic acid), C20:0 (arachidic acid), C24:0/C20:5n3 (lignoceric acid/eicosapentaenoic acid), but with differing frequencies and at varying levels. C14:1 (myristoleic acid), C15:1 (pentadecenoic acid), C21:0 (heneicosanoic acid), C22:1n9 (erucic acid) were often observed in sample. Ratio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was from 0.94:1 to 2.6:1. And decrease of total fatty acids components caused by los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In case of sweat amino acids, we detected serine (<TEX>$0-31.9{\mu}L/mL$</TEX>), threonine (<TEX>$0-26.2{\mu}L/mL$</TEX>), glycine (<TEX>$0-18.9{\mu}L/mL$</TEX>) and 20-30 years old, highly protein intake ratio individuals increased (10 times) than 50 years old. We observed greatly individual characterization of amino acid compounds in sweat.

keywords
sweat, fatty acids, amino acids


참고문헌

1

Hirokawa, T, (2007) Analytica chemica Acta,

2

Leite, M. F, (2002) J. hepatology,

3

Mehnert, P, (2002) International J. Industrial Ergonomics,

4

Malchaire, J, (2000)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5

Weber, J, (2006) Sensors and actuators. B,

6

Thieme, D, (2003) Analytica chemica Acta,

7

Verde, T, (1982) J. Appl. physiol,

8

Stoilovic, M, (1986) J. Forensic Sci.,

9

Yadav, J. S, (2007) Tetrahedron Letters,

10

Choi, M. J, (2007) Anal. Sci & Tech.,

11

Kim, S. G, (2007) Anal. Sci & Tech.,

12

Lee, Y. K, (2007) Macromolecular Research,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