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주류 중 에틸카바메이트 분석

Analysis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1, pp.53-57
박성국 (식품의약품안전청,신종유해물질팀)
윤태형 (식품의약품안전청,신종유해물질팀)
최동미 (식품의약품안전청,신종유해물질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주류 중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시료를 고체상 정제컬럼(충진제: 규조토)에 흡착시켜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시킨 후 GC/MS-SIM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적용된 분석법의 회수율은 85.2-87.9% 이었으며 변이계수는 0.7-1.9%, 검출한계는 <TEX>$2{\mu}g/kg$</TEX>, 정량한계는 <TEX>$10{\mu}g/kg$</TEX>이었다.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대상 주류의 유형에 따라 검출수준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평균 검출수준은 리큐르 <TEX>$194{\mu}g/kg$</TEX>, 과실주 <TEX>$105{\mu}g/kg$</TEX>, 일반증류주 <TEX>$62{\mu}g/kg$</TEX>, 청주 <TEX>$28{\mu}g/kg$</TEX>, 약주 <TEX>$15{\mu}g/kg$</TEX>, 기타 주류 <TEX>$12{\mu}g/kg$</TEX>, 소주 불검출 이었다.

keywords
ethyl carbamate, alcoholic beverages, GC/MS

Abstract

주류 중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시료를 고체상 정제컬럼(충 진제: 규조토)에 흡착시켜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시킨 후 GC/MS-SIM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적용된 분석법의 회수율은 85.2-87.9% 이었으며 변이계수는 0.7-1.9%, 검출한계는 2 μg/kg, 정량한계는 10 μg/ kg이었다.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대상 주류의 유형에 따라 검출수준에 차이를 나타냈 으며, 평균 검출수준은 리큐르 194 μg/kg, 과실주 105 μg/kg, 일반증류주 62 μg/kg, 청주 28 μg/kg, 약주 15 μg/kg, 기타 주류 12 μg/kg, 소주 불검출 이었다.

keywords
ethyl carbamate, alcoholic beverages, GC/MS


참고문헌

1

1. K. J. Field and C. M. Lang, Lab. Anim., 22, 255-262(1988).

2

2. S. S. Mirvish, Advances in Cancer Research, 11, 1-42(1968).

3

3. IARC Monographs, 7, 111-140(1974).

4

4. IARC Monographs, 96(2007).

5

5. C. S. Ough, J. Agric. Food Chem., 24, 323-328(1976).

6

6. R. Battaglia, H. B. S. Conacher and B. D. Page,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4, 477-496(1986).

7

7. H. B. S. Conacher and B. D Page, Proceedings of Euro Food Tox. II,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on Natural Toxicants in Food, Zurich, 237-242(1986).

8

8. G. Walker, W. Winterlin. H. Fouda and J. Seiber, J.Agric. Food Chem., 22, 944-947 (1974).

9

9. F. L. Joe, Jr. D. A. Kline. E. M. Miletta. J. A. G. Roach,E. L. Roseboro and T. Fazio, J. Assoc. Off. Anal. Chem.,60(3), 509-516(1977).

10

1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14-15(2000).

11

11. D. W. Lachenmeier, W. Frank and T. Kuballa, Rapid Commum. Mass Spectrom., 19, 108(2005).

12

12. Y. Hasegawa, Y. Nakamura, Y. Tonogai, S. Terasawa, Y.Ito and M. Chiyama, J. Food Prot., 53, 1058(1990).

13

13. C. Fauhl and R. Catsburg. Food. Chem., 48, 313-316(1993).

14

14. C. Fauhl and R. Wittkowski, J. High-Resol. Chromatogr.,203-205(1992).

15

15. B. J. Canas, D. C. Havery, L. R. Robinson, M. P. Sullivan,F. L. Joe and G. W. Diachenko, J. AOAC, 72(6),873-876(1989).

16

16. B. J. Canas, F. L. Joe, G. W. Diachenko and G. Burns, J.AOAC, 77(6), 1530-1536(1994).

17

17. R. H. Dyer, J. AOAC Int., 77(1), 64-66(1994).

18

18. G. B. Park and S. G. Lee, Anal. Sci. Tech., 15, 26-30(2002).

19

19. 64th FAO/WHO JECFA Report(2005).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