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ZnO 나노결정을 담지한 TMA-A 제올라이트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TMA-A zeolite incorporated by ZnO nanocrystal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1, pp.58-63
이석주 (한서대학교)
임창성 (한서대학교)
김익진 (한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수열합성법으로 합성 제조한 TMA-A 제올라이트 내부에 이온교환법을 이용하여 나노 사이즈의 ZnO 결정을 성공적으로 담지하였다. TMA-A 제올라이트의 최적 합성 조성비로는 <TEX>$Al(i-pro)_3$</TEX> : 2.2 TEOS : 2.4 TMAOH : 0.3 NaOH : 200 <TEX>$H_2O$</TEX>로 된 용액이었다. ZnO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위하여 0.3g의TMA-A 제올라이트와 5몰의 <TEX>$ZnCl_2$</TEX> 용액을 사용하였다. ZnO 결정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결정화 과정을 X-ray diffraction (XR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담지된 나노 크기의 ZnO결정과 TMA-A 제올라이트의 결정성을 투과전자현미경과 고배율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담지된 ZnO 나노 결정의 크기는 3~5 nm이었으며, 합성된 TMA-A 제올라이트의 크기는 60~100 nm 이었다. FT-IR분석으로 열처리 전 및 열처리 후 ZnO결정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 결합구조를 확인하였으며, ZnO 및 TMA-A 제올라이트의 흡수 스펙트럼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자외선분광기의 측정에서, ZnO결정를 담지한 TMA-A 제올라이트가 330~260 nm과 260~230 nm 두 파장의 범위에서 형광학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ZnO, TMA-A zeolite, nanosize, incorporation, photoluminescency

Abstract

수열합성법으로 합성 제조한 TMA-A 제올라이트 내부에 이온교환법을 이용하여 나노 사이즈의 ZnO 결정을 성공적으로 담지하였다. TMA-A 제올라이트의 최적 합성 조성비로는 Al(i-pro)3: 2.2 TEOS: 2.4 TMAOH : 0.3 NaOH : 200 H2O로 된 용액이었다. ZnO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위하여 0.3 g의TMA-A 제올라이트와 5몰의 ZnCl2 용액을 사용하였다. ZnO 결정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 결 정화 과정을 X-ray diffraction (XR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담지된 나노 크기의 ZnO결정 과 TMA-A 제 올라이트의 결정성을 투과전자현미경과 고배율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평가하였다. 담지된 ZnO 나노 결정의 크기는 3~5 nm이었으며, 합성된 TMA-A 제올라이트의 크기는 60~100 nm 이었다. FT-IR분석으로 열처리 전 및 열처리 후 ZnO결정를 담지시킨 TMA-A 제올라이트의 결합구조를 확인하였으며, ZnO 및TMA-A 제 올라이트의 흡수 스펙트럼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자외선분광기의 측정에서, ZnO결정를 담지한 TMAA 제올라이트가 330~260 nm과 260~230 nm 두 파장의 범위에서 형광학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ZnO, TMA-A zeolite, nanosize, incorporation, photoluminescency


참고문헌

1

1. A. van Dijken, E. A. Meulenkamp, D. Vanmaekelbergh and A. Meijerink, J. Lumin., 90, 123-129(2000).

2

2. M. Pera-Titus, R. Mallada, J. Llorens, F. Cunill and J. Santamaría, J. Memb. Sci., 278(1-2), 401-409(2006).

3

3. H. J. Lee, Y. M. Kim, O. S. Kweon and I. J. Kim, J. Euro. Cer. Soc., 27(2-3), 561-564(2007).

4

4. P. R. Patil and S. S. Joshi, Mat. Chem. and Phys., 105(2-3), 354-361(2007).

5

5. W. Fan, S. Shirato, F. Gao, M. Ogura and T. Okubo,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89(1-3), 227-234(2006).

6

6. I. L. Li, P. Launois and Z. K. Tang, App. Surf. Sci.,226(1-3), 36-40(2004).

7

7. A. Pak and T. Mohammadi, Desalination, 200(1-3), 68-70(2006).

8

8. M. Pera-Titus, R. Mallada, J. Llorens, F. Cunill and J.Santamaría, J. .Mem. Sci., 278(1-2), 401-4095(2006).

9

9. P. R. Patil and S. S. Joshi, Mat. Chem. and Phys., 105(2-3), 354-361(2007).

10

10. M. N. R. Ashfold, R. P. Doherty, N. G. Ndifor-Angwafor,D. J. Riley and Y. Sun, Thin Solid Films, 515(24), 8679-8683(2007).

11

11. C. Bouvy, W. Marine, R. Sporken and B. L. Su, Colloid. and Surf. A, 300(1-2), 145-1491(2007).

12

12. F. Meneau, G. Sankar, N. Morgante, S. Cristol, C. R. A. Catlow, J. M. Thomas and G. N. Greaves, Nucl. Instr. Meth. in Phys. Res. Sec. B, 199, 499-503(2003).

13

13. T. Türk, F. Sabin and A. Vogler, Mat. Res. Bull., 27(8),1003-1008(1992).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