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1%, 2%, 6% 및 12%의 가교도를 가진 스틸렌(제4류 위험물)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8-crown-6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중량 분석, 전자 현미경, 그리고 IR-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의한 우라늄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우라늄 이온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시간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TEX>$UO{_2}^{2+}$</TEX> > <TEX>$Zn^{2+}$</TEX> > <TEX>$Lu^{3+}$</TEX>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착력은 1%, 2%, 6% 및 12%의 가교도 순 이었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1%, 2%, 6% 및 12%의 가교도를 가진 스틸렌(제4류 위험물)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8- crown-6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중량 분석, 전자 현미경, 그리고 IR-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의한 우라늄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우라늄 이온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시간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UO2 2+ > Zn2+ > Lu3+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 착력은 1%, 2%, 6% 및 12%의 가교도 순 이었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1. J. Kim. T. H. Ahn, M. R. Lee, M. H. Cho, and S. J.Kim, J. Kor. Chem. Soc., 43(2), 167-171(1999).
2. K. W. Chi, Y. S. Ahn, K. T. Shim, H. Huh, and J. S.Ahn, Bull. Kor. Chem. Soc., 23(5), 688-694(2002).
3. H. K. Frensdorff, J. Am. Chem. Soc., 93(3), 4684-4692(1971).
4. H. C. Lip, L. F. Lindoy, J. H. Rea, R. J. Smith, K. Henrick,M. Mcpartin, and P. A. Tasker, Inorg. Chem.19(11), 3360-3365(1980).
5. L. F. Lindoy, K. R. Adam, D. S. Bladwine, A. Bashall,M. McPartlin, and H. R. Powell, J. Chem. Soc., Dalton Trans., 237-246(1994).
6. M. A. Ahearn, J. Kim, A. J. Leong, L. F. Lindoy, G. V.Meehan, and O. A. Mattews, J. Chem. Soc., Dalton Trans., 3591-3599(1996).
7. P. G. Grimslery, L. F. Lindoy, H. C. Lip, R. J. Smith and J. T. Baker, Aust. J. Chem., 30, 2095-2100(1977).
8. K. S. Huh and S. G. Sin, J. Kor. Ind. Eng. Chem., 9(5),680-687(1998).
9. Y. J. Park, K. K. Park, M. Y. Suh, S. K. Yoon, K. S.Choi, K. Y. Jee, and W. H. Kim, J. Kor. Chem. Soc.,44(4), 305-311(2000).
10. M. Y. Suh, S. C. Sohn, C. H. Lee, K. S. Choi, D. Y.Kim, Y. J. Park, K. K. Park, K. Y. Jee, and W. H. Kim, J. Kor. Chem. Soc., 44(6) 526-533(2000).
11. G. Bombieri and G. Depaoli, Inorg. Chem. Acta., 18,123-129(1976).
12. T. Hayashita, J. H. Lee, S. Chem, and R. A. Bartsch,Anal. Chem., 63(17), 1844-1851(1991).
13. E. Blasius and K. P. Janzen, Pure & Appl. Chem., 54,2115-2122(1982).
14. E. Blasius and P. G. Maurer, Makromol. Chem., 178,649-657(1977).
15. H. Otsuka, H. Najima, M. Takagi, and K. Ueno, Anal.Chim. Acta, 147, 227-233(1983).
16. H. Egawa, T. Nonaka, and M. Ikari, J. Appl. Poly. Sci.,29, 2045-2053 (1984).
17. S. K. Park and J. T. Kim, J. Kor. Ind. Eng. Chem.,13(8), 765-771(2002).
18. S. H. Lee, K. R. Kim, J. S. Shon, J. H. Yoo, and H. S.Chung, J. Ind. Eng. Chem., 5(4), 296-301(1999).
19. J. G. Oh, J. Kor. Chem. Soc., 48(2), 215-219(2004).
20. K. B. Chung, H. H. Kim, and S. H. Chang, J. Ind. Eng.Chem., 6(1), 8-12(2000).
21. M. Y. Suh, T. Y. Eom, I. S. Suh and S. J. Kim, Bull.Kor. Chem. Soc., 8(5), 366-371(1987).
22. Y. Marcus, “Introduction to liquid state chemistry”,John Wiley & Sons, London (1977).
23. C. J. Pederson, J. Am. Chem. Soc., 92(2), 386-391(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