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원적외선 방사물질 제조 및 물질의 특성분석

Manufacture of the far infrared ray emission materials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4, pp.279-283
조봉희 (수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혈토와 규사토, 맥반석, 혈토를 혼합한 물질을 <TEX>$1100^{\circ}C$</TEX>에서 소형 및 소결하여 원적외선 방사물질 볼로 사용하였다. 각각 제조된 볼의 방사에너지는 <TEX>$8{\sim}12{\mu}m$</TEX> 파장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혼합 볼의 이온용출은 소량이고, 혼합 볼로 처리된 활성수와 에너지수의 중금속인 <TEX>$Cd^{2+}$</TEX> 이온 제거능력은 높았다. 활성수와 에너지수는 음용수보다는 상대적으로 UV 차단효과가 높았다.

keywords
far infrared ray, activated water, energy water, boll, cadmium

Abstract

Blood soil and the mixture of blood soil, elvan soil and, silica soil materials were molded, then they were sintered in 1100oC and were used for the emission of the far infrared ray boll. The emission from the manufactured bolls was relatively high in the range of 8~12 μm wavelength each. The elution of minerals from mixture bolls was very low, but the elimination of heavy metal cadmium ion in activated water and energy water treated with mixture bolls was very high. Activated water and energy water had a high to the UV protected ability in comparison to drinking water.

keywords
far infrared ray, activated water, energy water, boll, cadmium


참고문헌

1

1. 박종옥, 최태섭, 조명, 전기설비학회지, 135, 32-40(1999).

2

2. 진갑덕, 이신웅, 이수근, 자원문제연구, 5, 55-68(1986).

3

3. 이영은,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4

4. 황진봉, 양미숙, 구민성, 한국분석과학회지, 9, 210-219(1996).

5

5. 최성민, 이정희, 이서래, 한국식품과학회지, 26, 745-749(1994).

6

6. 최성민, 이정희, 이서래, 한국식품과학회지, 26, 740-744(1994).

7

7. 황진봉, 양미옥, 구민아, 박성훈, 한국분석과학회지,9, 310-319(1996).

8

8. A. M. Pahlsson, Water, Air and Soil Pollut. 47, 28-70(1989).

9

9. T. Bazzynski, L. Wajda, M. Krol, D. Wolinska, Z. Krupaand A. Tukenforf, Physiol. Plant, 48, 365-374(1980).

10

10. R. J. Lamoreaux and W. R. Chaney, J. Environ. Qual.6, 201-207(1977).

11

11. H. Crisjsters and F. V. Assche, Photosynth. Res. 7, 31-40(1985).

12

12. B. L. Vallee and D. D. Ulmer, Annu. Rev. Biochem. 41,91-99(1972).

13

13. F. A. Bazzaz, G. L. Rolfe and R. W. Carlson, Physiol.Plant, 32, 373(1974).

14

14. 박선영, 박면용, 조봉희, 한국분석과학회지, 9, 134-138(1996).

15

15. 덕 원, 명당의 원리, 정신세계사, 26, 1-278(2005).

16

16. 윤윤열, 권영인, 조수영, 이길동, 한국분석과학회지,20, 468-473(2007).

17

17. 맥반석 이온용출 및 흡착효과평가, 국립보건원 (1991).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