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한라산 1100 고지 총부유분진(TSP)의 조성 및 오염 특성

Compositions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at 1100 Site of Mt. Halla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4, pp.304-315
김원형 (제주대학교)
강창희 (제주대학교)
정덕상 (제주대학교)
고희정 (제주대학교)
이원 (제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라산 1100 고지에서 채취한 대기 부유분진의 조성은 인위적 기원의 성분들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해양 기원 성분과 토양 기원 성분들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계절별로는 봄철에 토양 성분인 nss-<TEX>$Ca^{2+}$</TEX>, Al, Fe, Ca 성분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인위적 기원의 <TEX>$NH{_4}^+$</TEX>, <TEX>$K^+$</TEX>, nss-<TEX>$SO{_4}^{2-}$</TEX>은 6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TEX>$NO{_3}^-$</TEX>은 봄철에 nss-<TEX>$Ca^{2+}$</TEX>과 함께 농도가 상승하였고, 이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황사와 비황사 때의 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황사 때에 nss-<TEX>$Ca^{2+}$</TEX>, Al, Ca, Fe 농도가 7.2~9.5배 증가하였고, nss-<TEX>$SO{_4}^{2-}$</TEX>과 <TEX>$NO{_3}^-$</TEX>은 각각 1.3, 3.8배 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분석법으로 분진성분의 발생기원을 조사해 본 결과, 한라산 1100 고지 부유분진은 토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다음으로 인위적 영향과 해염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궤적분석에 의해 분진 성분의 유입경로를 조사한 결과, 공기덩어리가 중국대륙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이동한 북서풍 계열의 풍향일 때 주요 인위적 기원의 성분과 토양 성분의 농도가 상승하고, 공기가 북태평양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유입되었을 때 이들 성분들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1100 site of Mt. Halla, pollution characteristics, asian dust, factor analysis,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Abstract

한라산 1100 고지에서 채취한 대기 부유분진의 조성은 인위적 기원의 성분들이 가장 높고, 다음 으로 해양 기원 성분과 토양 기원 성분들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계절별로는 봄철에 토양 성분인 nss-Ca2+, Al, Fe, Ca 성분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인위적 기원의 NH4 +, K+, nss-SO4 2−은 6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NO3 −은 봄철에 nss-Ca2+과 함께 농도가 상승하였고, 이는 중국으로부터 장 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황사와 비황사 때의 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황사 때에 nss-Ca2+, Al, Ca, Fe 농도가 7.2~9.5배 증가하였고, nss-SO4 2−과 NO3 −은 각각 1.3, 3.8배 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확 인되었다. 요인분석법으로 분진성분의 발생기원을 조사해 본 결과, 한라산 1100 고지 부유분진은 토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다음으로 인위적 영향과 해염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궤적 분석에 의해 분진 성분의 유입경로를 조사한 결과, 공기덩어리가 중국대륙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이동한 북서풍 계열의 풍향일 때 주요 인위적 기원의 성분과 토양 성분의 농도가 상승하고, 공기가 북태평양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유입되었을 때 이들 성분들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1100 site of Mt. Halla, pollution characteristics, asian dust, factor analysis,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참고문헌

1

1. T. Takamura, N. Sugimoto, A. Shimizu, A. Uchiyama, A. Yamazaki, K. Aoki, T. Nakajima, B.J. Sohn and H.Takenaka, J. Geophys. Res., 112(D22S36), doi: 10.1029/2007JD008506. 1-12(2007).

2

2. J. S. Lighty, J. M. Veranth and A. F. Sarofim, J. Air waste Manag. Assoc., 50, 1565-1618(2000).

3

3. 신훈중, 이태정, 김동술,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1),67-77(1996).

4

4. R. L. Arndt, G. R. Carmichael and J. M. Roorda, Atmos.Environ., 32(8), 1397-1406(1998).

5

5. A. Takami, T. Miyoshi, A. Shimono, N. Kaneyasu, S.Kato, Y. Kajii and S. Hatakeyama, J. Geophys. Res.,112(D22S31), doi: 10.1029/2006JD008120. 1-11(2007).

6

6. 김용표, 김성주, 진현철, 백남준, 이종훈, 김진영, 심상규, 강창희, 허철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3),297-306(1996).

7

7. L. L. Chen, G. R. Carmichael, M. S. Hong, H. Ueda, S.Sang, C. H. Song, Y. P. Kim, R. Arimoto, J. Prospero,D. Savoie, K. Murano, J. Park, H. G. Lee and C. Kang,J. Geophys. Res., 102(D23), 28551-28574(1997).

8

8. 문길주, ‘동북아 대기오염 장거리이동과 환경보전협력방안에 관한 조사 (IV)’, 국립환경연구원 연구보고서, 1999.

9

9. D. Topping, H. Coe, G. McFiggans, R. Burgess, J. Allan,M. R. Alfarra, K. Bower, T. W. Choularton, S. Decesari and M. C. Facchini, Atmos. Environ., 38(14), 2111-2123(2004).

10

10. 환경부, ‘우리나라에 쌓이는 대기오염물질 20%가 중국에서 날아와’, 뉴스레터(제23호, 2004. 11. 19.),2004.

11

11. S. K. Guttikunda, N. Thongboonchoo, R. L. Arndt, G.Calori, G. R. Carmichael and D. G. Street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31, 383-406(2001).

12

12. R. Akimoto and H. Natria, Atmos. Environ., 28(2),213-225(1994).

13

13. G. R. Carmichael, M. S Hong, H. Ueda, L. L Chen, K.Murano, J. K. Park, H. Lee, Y. Kim, C. Kang and S.Shim, J. Geophy. Res., 102(D5), 6047-6061(1997).

14

14. M. H. Park, Y. P. Kim, C. H. Kang and S.G. Shim, J.Geophy. Res., 109(D19S13), 1-7(2004).

15

15. 김원형, 강창희, 신찬성, 고선영, 홍민선,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2), 145-156(2003).

16

16. 김원형, 강창희, 홍상범, 고희정, 이 원, 분석과학,20(5), 383-392(2007).

17

17. C. H. Kang, W. Kim and W. Lee, Bull. Korean Chem.Soc., 24(3), 363-368(2003).

18

18. USEPA,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in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MethodIO-3)’, EPA/625/R-96/010a, June 1999..

19

19. K. F. Ho, S. C. Lee, C. K. Chan, J. C. Yu, J. C. Chow and X. H. Yao, Atmos. Environ., 37, 31-39(2003).

20

20. M. Nishikawa and S. Kanamori, Analytical Science, 7,1127-1130(1991).

21

21. 강병욱, ‘수용모델을 이용한 PM2.5의 배출원 추정-청주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2

22. B. J. Huebert, T. Bates, P.B. Russell, G. Shi, Y.J. Kim,K. Kawamura, G. Carmichael and T. Nakajima, J. Geophys.Res., 108(D23), 8633, doi: 10.1029/2003JD003550(2003).

23

22. 김나경, 김용표, 강창희, 문길주, 한국대기환경학회지,20(1), 119-128(2004).

24

23. J. A. Aardenne, G. R. Carmichael, H. LevyII, D. Streers and L. Hordijk, Atmos. Environ, 33, 633-646 (1999).

25

24. Z. Han, H. Ueda and T. Sakurai, Atmos. Environ, 40(13),2360-2373(2006).

26

25. X. Huang, I. Olmez, N. K. Aras and G. E. Gorden,Atmos. Environ., 28(8), 1385-1391(1994).

27

26. K. Oravisjarvi, K. L. Timonen, T. Wiikinkoski, A. R.Ruuskanen, K. Heinanen and J. Ruuskanen, Atmos.Environ, 37, 1013-1022(2003).

28

27. G. C.Fang, Y. S. Wu, S. H. Huang and J. Y. Rau,Atmos.Environ, 39, 3003-3013(2005).

29

28. 안승구, 김경남, 김무훈, 동종인, 명소영, 박대원, 원양수, 정종태, 조완근, 차준석, ‘최신환경화학’, 동아출판사, p277, 2001.

30

29. H. S Lee and B. W. Kang, Atmos.Environ, 35, 739-746(2001).

31

30. Y. Wang, Zhuang. G. Zhuang, X. Zhang, K. Huang, C.Xu, A. Tang, J. Chen and A. An, Atmos. Environ., 40,2935-2952(2006).

32

31. M. H. Park, Y. P. Kim and C. H. Kang, Water, Air, & Soil Pollution: Focus, 3(2), 117-128(2003).

33

32. R. A. Arimoto, D. L. Duce, S, J. M. Prospero., R. Talbot,J. D. Cullen, U. N. Tomza, F. Lewis and B. J. Ray, J.Geophys. Res., 101(D1), 2011-2023(1996).

34

33. 김용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2), 211-217(1999).

35

34. 박민하, 김용표, 강창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3),247-252(2002).

36

35. 선우영, ‘장거리이동 입자상 물질의 화학적 특성과 거동에 관한 연구(III)’, 국립환경과학원보고서, p166,2007.

37

36. S. G. Yeatman, L. J. Spokes and T.D. Jickells, Atmos.Environ., 35, 1321-1335(2001).

38

37. S. Seto, M. Oohara and Y. Ikeda, Atmos. Environ., 34,621-628(2000).

39

38. 황인조, 김동술,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1), 11-23(1998).

40

39. 선우영, ‘배경농도지역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 집중조사(V)’, 국립환경연구원 보고서, p301, 2005.

41

40. S. Seto and H. Hara, Atmos. Environ., 40(8), 1538-1549 (2006).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