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발굴된 유골에서 DNA 추출은 DNA신원확인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지만 유골에 오염된 미생물 DNA와 사람 DNA가 동시에 추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발굴된 10명의 유골 시료를 페놀-ultrafiltration 후 <TEX>$QIAquick^{(R)}$</TEX> PCR Purification Kit (ultrafiltration법)와 <TEX>$QIAamp^{(R)}$</TEX> DNA Mini kit(Column-affinity법)를 적용하여 전체(미생물+사람) DNA정량 및 사람 DNA정량 후 각각 STR마커를 분석하므로서 DNA 분리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회수된 전체 DNA양은 Column-affinity법(<TEX>$19.6ng/{\mu}L$</TEX>)이 ultrafiltration법(<TEX>$16.0ng/{\mu}L$</TEX>) 보다 1.2배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사람 DNA 정량 결과로는 Column-affinity 법(<TEX>$0.034ng/{\mu}L$</TEX>) 보다 ultrafiltration법(<TEX>$0.498ng/{\mu}L$</TEX>)이 14.6배 더 많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유골에 있던 다량의 미생물 DNA가 사람 DNA와 섞여있을 경우, 사람 DNA가 실리카 친화성 컬럼에 부착되는 것이 미생물 DNA의 영향을 받으나, 필터의 경우는 미생물 DNA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ultrafiltration법이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발굴된 유골에서 DNA 추출은 DNA신원확인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지만 유골에 오염된 미 생물 DNA와 사람 DNA가 동시에 추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발굴된 10명의 유골 시 료를 페놀-ultrafiltration 후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ultrafiltration법)와 QIAamp® DNA Mini kit(Column-affinity법)를 적용하여 전체(미생물+사람) DNA정량 및 사람 DNA정량 후 각각 STR마커를 분 석하므로서 DNA 분리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회수된 전체 DNA양은 Column-affinity법(19.6 ng/μL)이 ultrafiltration법(16.0 ng/μL) 보다 1.2배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나 사람 DNA 정량 결과로는 Column-affinity 법(0.034 ng/μL) 보다 ultrafiltration법(0.498 ng/μL)이 14.6배 더 많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유골에 있던 다 량의 미생물 DNA가 사람 DNA와 섞여있을 경우, 사람 DNA가 실리카 친화성 컬럼에 부착되는 것이 미 생물 DNA의 영향을 받으나, 필터의 경우는 미생물 DNA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ultrafiltration법이 높은 회 수율을 보였다.
1. B. M. Kemp and D. G. Smith, Forensic Sci. Int. 154,53-61(2005).
2. J. M. Butler, 2nd ed., Elsevier Academic Press,Burlington (2005).
3. M. T. Bourke, C. A. Scherzinger, C. Ladd and H. C.Lee, J. Forensic Sci. 44, 1046-1050(1999).
4. B. M. Kemp, G. Monroe and D. G. Smith, J. Archaeological Sci. 33, 1680-1689(2006).
5. B. C. Smith, D. L. Fisher, V. W. Weedn, G. R. Warnock and M. M. Holland, J. Forensic Sci. 38, 1194-1209(1993).
6. M. M. Holland, D. L. Fisher, L. G. Mitchell, W. C. Rodriquez, J. J. Canik, C. R. Merril and V. W. Weedn, J. Forensic Sci. 38, 542-553(1993).
7. B. Herrmann, and S. Hummel, Springer-Verlag, New York (1994).
8. D. Primorac, S. Andelinovic, M. Definis-Gojanovic, I, Drmic, B. Rezic, M. M. Baden, M. A. Kennedy, M. S.Schanfield, S. B. Skakel and H. C. Lee, J. Forensic Sci.41, 891-894(1996).
9. M. Graw, H.-J. Weisser and S. Lutz, Forensic Sci. Int.113, 91-95(2000).
10. K. Crainic, F. Paraire, M, Leterreux, M. Durigon and P.de Mazancourt, J. Forensic Sci. 47, 1025-1027(2002).
11. C. Cattaneo, D. M. Smillie, K. Gelsthorpe, A. Piccinini,A. R. Gelsthorpe, and R. J. Sokol, Forensic Sci. Int. 74,167-174(1995).
12. E. Meyer, M. Wiese, H. Bruchhaus, M. Claussen, and A. Klein, Forensic Sci. Int. 113, 87-90(2000).
13. Tissue and hair extraction kit (for use with DNA IQTM)protocol, Promega (2006).
14. QIAamp® DNA Mini kit and QIAamp DNA Blood Mini Kit Handbook, QIAGEN (2003).
15. A. Alonso, S. Andelinoviæ, P. Martín, D. Sutloviæ, I.Erceq, E. Huffine, L. F. de Simón, C. Albarrán, M. Definis-Gojanoviæ, A. Fernández-Rodriquez, P. García, I. Drmiæ, B. Reziæ, S. Kuret, M. Sancho and D. Primorac, Croat. Med. J. 42, 260-266(2001).
16. S. H. Kim, K. W. Park, S. B. Hong, K. S. Kim, H. J. Kim, H. J. Ahn, M. S. Han and W. Kim, Korean J. Forensic Sci. 8, 1-6(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