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투여될 수 있는 천연호르몬과 합성 호르몬제 등의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하여 기존의 분석 방법을 개선 및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에 유통 중인 육류 및 내장부위 중소간에 대해 호르몬 성분의 분포정도를 확인하였다. Estrogens (17β-estradiol, 17α-estradiol, estrone), androgens (17β-testosterone, 17α-testosterone), gestagens (progesterone)의 천연호르몬 6종과 합성호르몬 3종 DES, RALs (zeranol, taleranol)을 모니터링 대상 호르몬으로 GC-MS로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호르몬의 background level을 측정하고, 상대적으로 호르몬제 등이 잔류될 수 있는 간 등의 장기에 대한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150건의 시료 중 합성 호르몬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천연호르몬제는 내인성으로 존재하는 progesterone이 일반적인 농도 범위를 보였다.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투여될 수 있는 천연호르몬과 합성 호르몬제 등의 내분비계장애물 질에 대하여 기존의 분석 방법을 개선 및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에 유통 중인 육류 및 내장부위 중 소간에 대해 호르몬 성분의 분포정도를 확인하였다. Estrogens (17β-estradiol, 17α-estradiol, estrone), androgens (17β-testosterone, 17α-testosterone), gestagens (progesterone)의 천연호르몬 6종과 합성호르몬 3종 DES, RALs (zeranol, taleranol)을 모니터링 대상 호르몬으로 GC-MS로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호르몬의 background level을 측정하고, 상대적으로 호르몬제 등이 잔류될 수 있는 간 등의 장기에 대한 분포조사 를 실시하였다. 전체 150건의 시료 중 합성 호르몬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천연호르몬제는 내인성으로 존재하는 progesterone이 일반적인 농도 범위를 보였다.
1. A. Andersson and N. E. Skakkebaek, European J. of Endocrinology, 140, 477-485(1999).
2. A. Daxenberger, D. Ibarreta and H. H. H. Meyer, Human Reproduction Update, 7(3), 340-355(2001).
3. D. Ibarreata, A. Daxenberger and H. H. D. Meyer, APMIS,109, 161-184(2001).
4. J. G. Liehr Human Reproduction Update, 7(3), 273-281(2001).
5. R. L. Guevel, and F. Pakdel, Human Reproduction,16(5), 1030-1036(2001).
6.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uncil Directive 96/22/EC, Off. J. Eur. Communities: Legis.L125, 3, (1996).
7.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CODEX COMMITTEE ON RESIDUES OF VETERINARY DRUGS IN FOODS, Twelfth Session Washington, D.C., 28-31 March 2000 “Methods of analysis for veterinary drugs” (Prepared b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 서정주, 김혜영, 홍종기, 분석과학, 15(4), 39A-49A(2002).
9. J. J. Seo, H.-Y. Kim, B. C. Chung, and J. K. Hong,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067, 303-309(2005).
10. B. Shao, R. Zhao, J. Meng, Y. Xue, G. Wu, J. Hu and X. Tu, Analytica Chimica Acta 548, 41-50(2005).
11. S. Fritsche, G. Schmidt and H. Steinhart, Eur. Food Res. Technol., 209, 393-399(1999).
12. L. Starka, M. Bicikova and R. Hample, J. Steroid Biochem.,33, 1019-1021(1989).
13. JECFA-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Residues of some veterinary drugs in animals and foods. Food and Nutrition Paper No. 4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a1998.
14. T. G. Dunn, C. C. Kaltenbach, D. R. Koritnik, D. L. Turner and G. D. Niswender, J. Anim. Sci., 46, 659-73(1979).
15. P. N. Rao, R. H. Purdy, M. C. Williams, P. H. Moore,Jr, J. W. Goldzieher and D. S. Layne, J. Steroid Biochem., 10, 179-185(1979).
16. L. A. P. Hoogenboom, L. De Haan, D. Hooijerink, G., Bor, A. J. Murk and A. Brouwer, Acta Pathologica,Microbiologica et Immunologica Scandinavia 109, 101-107(2001).
17. M. T. Lin, V. L. Estergreen, G. E. Moss, J. D. Willett and W. Shimoda, Steroids , 32, 547-561(1978).
18. V. L. Estergeen, M. T. Lin, E. L. Martin, G. E. Moss,A. L. Branen, L. O. Luedecke and W. Shimoda, J Anim Sci., 46, 642-651(1977).
19. G. W. Ivie, R. J. Christopher, C. E. Munger and C. E.Coppock, J. Anim. Sci., 62, 681-690(1986).
20. S. Fritsche and H. Steinhart, J. Anim. Sci., 76, 1621-1625(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