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소음과 대기오염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 일반주거지역의 도로 및 비도로지역의 비교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air pollution levels in Residential areas: comparison between roadside and non-roadside site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1, v.24 no.5, pp.368-377
https://doi.org/10.5806/AST.2011.24.5.368
이민희 (세종대학교)
김기현 (세종대학교)
박찬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류인철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기오염도와 소음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행정구역 중에서 6 개 구에서 각 1 지점씩 6 개 지점을 택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세부적인 조사는 도로(road: RD)와 비 도로지점(nonroad:NR)으로 구분한 후 다시 활동 시간대(06:00-22:00)와 비 활동 시간대(22:00-06:00)로 나눈 후 비교하였다. 소음 주파수 자료와 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양자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시간대별 분석을 통해서는 양자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반면, 공간적 규모를 기준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시간대에서 도로지역의 소음도와 대기질의 연관성은 비 도로지역에 비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활동기와 비 활동기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도로지역의 경우 활동기에서 비 활동기로 접어들면서 소음도와 대기질의 상관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udio frequency, air pollutants, noise pollution, non-road, road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air pollution from 6 residential sites from 6 districts in Seoul. The survey of all noise date obtained from 6 sit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road and nonroad area and between active (06:00-22:00) and inactive time bands (22:00-06:00). Comparison of the data between two time bands indicates that their differences are not large enough. On the other hand, if comparison of data is made by correlation analysis for road and non-road areas, strong correlations between noise levels and air pollution tend to be prevalent consistently in road area relative to the non-road area. In contrast, a correlation between noise levels and air pollution tends to decrease at the road area in inactive period relative to active period.

keywords
audio frequency, air pollutants, noise pollution, non-road, road


참고문헌

1

1. Onuu, M. U., J. Sound Vibration, 233(3), 391-405 (2000).

2

2. Ouis, D., J. Environ. Psychology, 21, 101-120 (2001).

3

3. Kim, J.-S, E.-H. Choi, C.-W. Ahn, C.-S. Lee, C.-Y. Moon and J.-H. Kim, Korean J. Sanitation, 17(2), 55-62 (2002).

4

4. Kook. C., G.-S. Chang, K.-Y. Chung and S.-W. Kim,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 53-56 (1991).

5

5. Hur, D.-J., K.-S. JO, D.-S. Hwang and Y. Cho,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7(5), 398-404 (2007).

6

6.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statistics (2009).

7

7.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Noise, vibration test method process (2010).

8

8. Cho, D.-M., W.-T. Kwon and Y. N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07).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