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플라스틱 재료를 생활 필수품 등 많이 사용하는 재료이지만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유해 가스가 발생하면서 많은 인명 사고가 발생 한다. 이러한 화재 발생 할 때 나오는 가스 물질을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open path FT-IR spectrometer로 측정함으로 해서 유해 가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open path FT-IR spectrometer는 원거리 측정이 가능한 푸리에 변환을 사용한 spectrometer와 원거리용 적외선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 모니터링 open path FT-IR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CO, NO2, HCl, HF에 대한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 분석 방법으로는 다중 회귀 곡선(MLR, multiple linearity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정량 분석 결과 결정 계수(R2)가 0.95이상의 선형성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플라스틱 재료 중 Urethane과PVC를 사용하여 연소 시킨 후 원거리 원격으로 예측을 실시하여 원거리를 통해서 각 가스의 오염 물질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였다.
It is to use many plastic materials as living essential goods. But when the fire is happened, owing to noxious gases, many men should be injured. Therefore as the noxious gases are measured by open path FT-IR spectrometer as remote monitoring, the demage of men could be minimized. Such this system consists of a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and infrared lamp fitted to long length. The study was to do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CO, NO2, HCl, HF gas by remote monitoring open path FT-IR spectrometer. And the method of it should use MLR (multiple linearity regression) method. As result, It was confirmed to be more than 0.95as R2 of MLR. And then Urethane and PVC of plastic materials selected was burned, the concentration of polluted gases were measured by remote monitoring method.
1. W. Lindberg, J. A. Persson and S. Wold, Anal. Chem., 55, 643-647 (1983).
2. W. F. Herget and J. D. Brasher, Opt. Eng., 19, 508-514 (1980).
3. S. N. Williams, S. J. Schaefer, V. M. L. Calvache and D. Lopez, Geochim. Cosmochim. Acta., 56, 1765-1770 (1992).
4. E. L. Dreniak and G. D. Boreman, ‘Infrared Detectors and Systems’, John Wiley & Sons (1996).
5. A. Hadni, ‘Essentials of Modern Physics Applied to the Study of the Infrared’, Pergamon (1967).
6. P. M. McCormick, L. W. Thomason and C. R. Trepte, Nature, 373, 399-404 (1995).
7. P. W. Francis, C. Chaffin, A. J. H. Maciejewski and C. M. M. Oppenheimer, Geophys. Res. Lett., 23, 249-252 (1996).
8. H. Martens and T. Naes, ‘Multivariate Calibration (2nd edn), Vol. 1. Wiley’, Chichester (1989).
9. A. Savitsky and M. J. E. Golay, Anal. Chem., 36, 1627-1639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