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미이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으로 생애 주기에 따른 식생활 변화 추적

Unveiling dietary lifestyle of a Joseon-era mummy by extracting isotopic information from hair and bone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2, v.25 no.5, pp.300-306
https://doi.org/10.5806/AST.2012.25.5.300
강다영 (국립문화재연구소)
신지영 (국립문화재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미라는 뼈, 머리카락, 피부, 손톱 등 서로 다른 시기를 반영하는 생체 조직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식생활, 환경 등 당시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경 흥덕동 회곽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미라에서 추출한 뼈 콜라겐과 머리카락 케라틴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 출토 미라에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적용한 첫 사례이다. 우리가 섭취하는 식료의 종류에 따라 뼈와 머리카락 등 인체 조직에는 그 특유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가 기록되며, 그 비율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뼈에서 추출된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은 생애 전주기의 평균 식생활을 추적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의 케라틴의 경우 길이에 따라 죽기 전 몇 달에서 몇 년의 식생활 정보를 담고 있다. 미라 조직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그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뼈 콜라겐(<TEX>${\delta}^{13}C$</TEX>

keywords
bone collagen, hair keratin, Joseon-era mummy, palaeodiet, stable isotope analysis

Abstract

미라는 뼈, 머리카락, 피부, 손톱 등 서로 다른 시기를 반영하는 생체 조직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식생활, 환경 등 당시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경흥덕동 회곽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미라에서 추출한 뼈 콜라겐과 머리카락 케라틴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 출토 미라에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적용한 첫 사례이다. 우리가 섭취하는 식료의 종류에 따라 뼈와 머리카락 등 인체 조직에는 그 특유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가 기록되며, 그 비율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뼈에서 추출된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은 생애 전주기의 평균 식생활을 추적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의 케라틴의 경우 길이에따라 죽기 전 몇 달에서 몇 년의 식생활 정보를 담고 있다. 미라 조직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그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뼈 콜라겐(δ13C=-19.0‰, δ15N=11.4‰), 머리카락 케라틴(δ13C=-21.3‰, δ15N=14.3‰). 탄소 안정동위원소 값으로부터 생애 주기 동안 주로 C3 작물 위주의 식생활을 하였다는 것을 예측할 수있었으며, 특히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의 경우 머리카락의 값이 뼈 콜라겐의 값보다 2.9‰ 높게 나타난것으로 미루어 볼 때 생애 전반에 걸친 영양 상태보다 죽기 전 몇 달 동안 육류 섭취 등으로 인한 단백질 섭취량이 높았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bone collagen, hair keratin, Joseon-era mummy, palaeodiet, stable isotope analysis


참고문헌

1

1. L. Ermini, C. Olivieri, E. Rizzi, G. Corti, R. Bonnal, P. Soares, S. Luciani, I. Marota, G. D. Bellis, M. B. Richards and F. Rollo, Current. Biology, 18, 1687-1693 (2005).

2

2. A. Keller, A. Graefen, M. Ball, M. Matzas, V. Boisguerin, F. Maixner, P. Leidinger, C. Backes, R. Khairat, M. Forster, B. Stade, A. Franke, J. Mayer, J. Spangler, S. McLaughlin, M. Shah, C. Lee, T. T. Harkins, A. Sartori, A. M. Estrada, B. Henn, M. Sikora, O. Semino, J. Chiaroni, S. Rootsi, N. M. Myres, V. M. Cabrera, P. A. Underhill, C. D. Bustamante, E. E. Vigl, M. Samadelli, G. Cipollini, J. Haas, H. Katus, B. D. O'Connor, M. R. J. Carlson, B. Meder, N. Blin, E. Meese, C. M. Pusch and A. Zink, Nature Commun., 3, 698 (2012).

3

3. F. Rollo, M. Ubaldi, L. Ermini and I. Marota, Proc. Natl. Acad Sci., 99, 12594-12599 (2002).

4

4. P. Gostner, P. Pernter, G. Bonatti, A. Graefen and A. R. Zink, J Archaeol Sci., 38, 3425-3431 (2011).

5

5. J. Hoogewerff, W. Papesch, M. Kralik, M. Berner, P. Vroon, H. Miesbauer, O. Gaber, K. Kunzel and J. Kleinjans, J. Archaeol Sci., 28, 983-989 (2001).

6

6. B. C. Finucane, J. Archaeol Sci., 34, 2115-2124 (2007).

7

7. J. S. Williams and M. A. Katzenberg, J. Archaeol Sci., 39, 41-57 (2012).

8

8. C. D. White, A. J. Nelson, F. J. Longstaffe, G. Grupe and A. Jung, J. Archaeol Sci., 36, 1527-1537 (2009).

9

9. 장병수,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p87-108,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10

10. 김종열,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p109-115,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11

11. 윤민영,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p171-186,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12

12. 신경진,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p117-134,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13

13. 김명주, 동양학, 40, 139-159 (2006).

14

14. D. H. Shin, C. S. Oha, T. Chung, Y. S. Yi, J. Y. Chai and M. Seo, J. Archaeol Sci., 36, 2534-2539 (2009).

15

15. D. H. Shin, C. S. Oha, S. J. Lee, E. J. Lee, S. G. Yim, M. J. Kim, Y. S. Kim, S. D. Lee, Y. S. Lee, H. J. Lee and M. Seo, J. Archaeol Sci., 39, 1103-1110 (2012).

16

16. L. Z. Gannes, C. M. Rio and P. Koch, Comp. Biochem Physiol., 119A, 725-737 (1998).

17

17. J. Höefs, ‘Stable Isotope Geochemistry’, 4th Ed., Springer-Verlag, Berlin, 1997.

18

18. S. H. Ambrose and L. Norr, In ‘Prehistoric human bone - Archaeology at the molecular level’, J. B. Lambert, G. Grupe, Eds., p1, Springer-Verlag, Berlin, 1993.

19

19. L. Tieszen and T. Fagre, In ‘Prehistoric human bone - Archaeology at the molecular level’, J.B. Lambert, G. Grupe, Eds., p121, Springer-Verlag, Berlin, 1993.

20

20. J. Y. Shin and J. J. Lee, J. Kore. Archaeological Soc., 70, 84-109 (2009).

21

21. S. Jim, S. H. Ambrose and R. P. Evershed, Geochim Cosmochim Acta., 68, 61-72 (2004).

22

22. J. Y. Shin and R. E. M. Hedges, J. Archaeol. Sci., 39(4), 1123-1130 (2012).

23

23. J. Y. Shin, Bull. Korean Chem. Soc., 32(1), 83-88 (2011).

24

24. J. Y. Shin, Bull. Korean Chem. Soc., 32(10), 3618-3623 (2011).

25

25. M. Stenhouse and M. Baxter, Nature, 267, 828-832 (1977).

26

26. S. Manolagas and R. Jilka, New Engl. J. Med., 332, 305-311 (1995).

27

27. T. C. O'Connell and R. E. M. Hedges, Am. J. Phys. Anthropol., 108, 409-425 (1999).

28

28. G. J. van Klinken, J. Archaeol Sci., 26, 687-695 (1999).

29

29. G. Y. Lee and B. S. Chang, Kor. J. Electron Microscopy, 35(4), 1-8 (2005).

30

30. S. Y. Kang, E. S. Kwon, E. J. Moon, E. M. Cho, M. S. Seo, Y. J. Kim and S. H. Jee, J. Conservation Sci., 26(1), 95-107 (2010).

31

31. H. J. Bok, Korean J. Food Culture, 22(6), 721-741 (2007).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