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자외선 흡광도가 거의 없는 농작물의 생장 조절용 농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베렐린(GAs) 중 하나인 지베렐린 산(<TEX>$GA_3$</TEX>)은 발색단이 미약해서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기가 어려운 물질이다. 액체-액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과일류로부터 지베렐린 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시료의 pH와 추출용매에 대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페나실 브로마이드를 유도체화 시약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검출기에 선택적이며 감도가 좋은 <TEX>$GA_3$</TEX>-유도체 화합물을 만들었으며, 최적의 유도체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 반응온도 및 시간, 유도체화 시약의 양, 염기의 양 등을 변화시켜주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유도체화 된 <TEX>$GA_3$</TEX>는 C18 컬럼을 사용하여 방해물질이 없이 HPLC/UV-vis로 효과적으로 분석되었으며, HPLC/E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사과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8 mg/kg, 0.027 mg/kg로, 배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3 mg/kg, 0.012 mg/kg로 낮은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보였다. 확립된 유도체화 방법은 과일류 중에 존재하는 <TEX>$GA_3$</TEX>의 효과적이고 편리한 분석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외선 흡광도가 거의 없는 농작물의 생장 조절용 농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베렐린(GAs) 중하나인 지베렐린 산(GA3)은 발색단이 미약해서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기가 어려운 물질이다. 액체-액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과일류로부터 지베렐린 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시료의 pH와 추출용매에 대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페나실 브로마이드를 유도체화 시약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검출기에 선택적이며 감도가 좋은 GA3-유도체 화합물을 만들었으며, 최적의 유도체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 반응온도 및 시간, 유도체화 시약의 양, 염기의 양 등을 변화시켜주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유도체화 된 GA3는 C18 컬럼을 사용하여 방해물질이 없이 HPLC/UV-vis로 효과적으로 분석되었으며, HPLC/E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사과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8 mg/kg, 0.027 mg/kg로, 배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3 mg/kg, 0.012 mg/kg로 낮은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보였다. 확립된 유도체화 방법은 과일류 중에 존재하는 GA3의 효과적이고 편리한 분석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W. Xie, C. Han, Z. Zheng, X. Chen, Y. Qian, H. Ding, L. Shi and C. Lv, Food Chem., 127, 890-892 (2011).
Z. Ma, L. Ge, A. S. Y. Lee, J. W. H. Yong, S. N. Tan and E. S. Ong, Anal. Chim, Acta., 610, 274-281 (2008).
S. W. Johnson and C. R. Coolbaugh, Plant Physiol., 94, 1696-1701 (1990).
P. Tansupo, P. Suwannasom, D. L. Luthria, S. Chanthai and C. Ruangviriyachai, Phytochem, Anal., 21, 157-162 (2010).
G. Castillo and S. Martinez, J. Chromatogr. A, 782, 137-139 (1997).
M. Kelen, E. C. Demiralay, S. Sen and G. Ozkan, Turk J Chem., 28, 603-610 (2004).
D. Weiss, A. Luit, E. Knegt, E. Vermeer, J. N. M. Mol and J. M. Kooter, Plant Physiol., 107, 695-702 (1995).
T. Moritz, J. J. Philipson and P. C. Oden, Plant Physiol., 93, 476-1481 (1990).
P. C. Oden, L. Schwenen and J. E. Graebe, Plant Physiol., 84, 516-519 (1987).
C. Birkemeyer, A. Kolasa and J. Kopka, J. Chromatogr. A, 993, 89-102 (2003).
X. Pan, R. Welti and X. Wang, Phyochem., 69, 1773- 1781 (2008).
M. Stephan, F. Bangerth and G. Schneider, Plant Growth Regul., 28, 55-58 (1999).
S. D. S. Chiwocha, S. R. Abrams, S. J. Ambrose, A. J. Cutler, M. Loewen, A. R. S. Ross and A. R. Kermode, The Plant J., 35, 405-417 (2003).
Y-H Li, F. Wei, X-Y Dong, J-H Peng, S-Y Liu and H Chen, Phytochem. Anal., 22, 442-449 (2011).
M. I. A. Flores, R. Romero-Gonzalez, A. G. Frenich and J. L. M. Vidal. J. Sep. Sci., 34, 1517-1524 (2011).
S. Hou, J. Zhu, M. Ding and G. Lv, Talanta, 76, 798- 802 (2008).
S. Fan, X. Wang, P. Li, Q. Zhang and W. Zhang, J. Sep. Sci., 34, 640-650 (2011).
A. Kazmierczak, Acta Physioligiae Plantarum, 21, 345- 348 (1999).
L. Ge, C. Y. C. Peh, J. W. H. Yong, S. N. Tan, L. Hua and E. S. Ong, J. Chromatogr. A, 1159, 242-249 (2007).
Y. Izumi, A. Okazawa, T. Bamba, A. Kobayashi and E. Fukusakl, Anal. Chem. Acta., 648, 215 (2009).
K-H Park,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8, 2 (1985).
S. D. Seeley and L. E. Powell, Anal. Biochem, 58, 39- 46 (1974).
T. Stephen, M. Paul E. and H. Charles L., J. Chromatogr. A, 299, 365-376 (1984).
C. Federica, G. Carfagnini, C. Antonio Di and S. Roberto, J. Chromatogr. A, 362, 47-53 (1986).
E. Metatsi, M. C. Gennaro, C. Baiocchi and M. Savigliano, J. Chromatogr. A, 322, 177-189 (1985).
A. Mehta, A. M. Oeser and G. Carlson, J. Chromatogr. B, 719, 9-23 (1998).
M-S. Shiao and Y-Y. Hao, Bot. Bull. Academia Sinica, 26, 105-111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