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UPLC를 이용한 염모제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대한 품질검사

Quality inspections of active components in oxidative hair coloring products by UPLC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3, v.26 no.1, pp.99-105
https://doi.org/10.5806/AST.2013.26.1.099
김동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박승국 (경희대학교)
김유경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윤은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홍미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신지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정윤경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김정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염모제품 중 유효성분의 품질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제품에 표기된 산화염료들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TLC방법)으로 확인시험을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TLC방법은 원료분량이 미량이거나, <TEX>$R_f$</TEX> 값이 비슷한 성분들이 존재하면 확인시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량성분 검출이 용이하며 분석시간이 짧다고 보고된 UPLC를 이용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을 탐색하였다. 유효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는 검출한계는 6.7-77.9 <TEX>${\mu}g/L$</TEX>, 정량한계는 22.3-259.7 <TEX>${\mu}g/L$</TEX> 이었으며, 회수율은 <TEX>${\alpha}$</TEX>-naphthol를 제외하고는 96.2-101.5%로 양호하였다. 유효성분 추출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에는 헥산-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시료 전처리 시 복잡한 추출과정을 거치지 않고, UPLC방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염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을 동시에 분석 할 수 있었다.

keywords
oxidative hair dyes, hair coloring products, quality inspection, TLC, UPLC

Abstract

염모제품 중 유효성분의 품질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제품에 표기된 산화염료들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TLC방법)으로 확인시험을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TLC방법은 원료분량이 미량이거나, Rf 값이 비슷한 성분들이 존재하면 확인시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량성분 검출이 용이하며 분석시간이 짧다고 보고된 UPLC를 이용하기 위한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을 탐색하였다. 유효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는 검출한계는 6.7-77.9 μg/L, 정량한계는 22.3-259.7 μg/L 이었으며, 회수율은 α-naphthol를 제외하고는 96.2-101.5%로 양호하였다. 유효성분 추출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에는 헥산-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시료 전처리 시 복잡한 추출과정을 거치지 않고, UPLC방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염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을 동시에 분석 할 수 있었다.

keywords
oxidative hair dyes, hair coloring products, quality inspection, TLC, UPLC


참고문헌

1

 B. J. Ha, J. Beau. Tricho., 4(2), 197-201 (2008).

2

 B. Peytavi, A. Tosti, D. A. Whiting and R. Trueb, ‘Hair growth and disorders’, p505,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8.

3

 D. H. Johnson, ‘Hair and Hair Care’, p191,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7.

4

 G. S. Kass and L. Hoehm, J. Soc. Cosm. Chem., 12, 146-156 (1961).

5

 R. Tucker and H. Harold, J. Soc. Cosm. Chem., 19, 361-369 (1968).

6

 H. Sosted, S. C. Rastogi, K. E. Andersen, J. D. Johansen and T. Menne, Contact Dermatitis, 50, 344- 348 (2004).

7

 M. L. Lind, A. Boman, J. Surakka, J. Sollenberg and B. Meding, Ann. Occup. Hyg., 48, 533-539 (2004).

8

 D. Koh, C. Tan, B.T. Tan, Y.H. Leow and C. L. Goh, Contact Dermatitis, 43, 182-183 (2000).

9

 N. Tanada, M. Kageura, K. Hara, Y. Hieda, M. Takamoto and S. Kashimura, Forensic Sci. Int., 52(1), 5-11 (1991).

10

 M. L. D. Gioia, A. Leggio, A. L. Pera, A. Liguori, A. Napoli, F. Perri and C. Siciliano, J. Chromatogr. A, 1066, 143-148 (2005).

11

 A. P. Natalia and N. N. Pavel, Analyst, 125, 1249-1254 (2000).

12

 B. H. Shao, X. Z. Xu, J. W. Yan and X. Y. Fu, J. liq. Chrom. & Rel. Technol., 24(2), 241-249 (2001).

13

 L. H. Wang and S. J. Tsai, Anal. Biochem., 312, 201- 207 (2003).

14

 M. Narita, K. Murakami and J. M. Kauffmann, Anal. Chim. Acta, 588, 316-320 (2007).

15

 C. E. Lin, Y. T. Chen and T. Z. Wang, J. Chromatogr. A, 837, 241-252 (1999).

16

 S. Dong, L. Chi, S. Zhang, Q. Wang and Y. Fang, Anal. Bioanal. Chem., 391, 653-659 (2008).

17

 G. J. Nohynek, R. Fautz, B. K. Florence and H. Toutain, Food Chem. Toxicol., 42, 517-543 (2004).

18

 KFDA, ‘Korean Quasi-drug Codex’, p81, KFDA press, Seoul, 2010

19

 L. Novakova, L. Matysova and P. Solich, Talanta, 68, 908-918 (2006).

20

 E. Mariani, A. Bargagna, M. Longobardi and S. Dorato, Int. J. Cosm. Sci., 16, 17-27 (1994).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