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논문 상세

    세프록사딘 캡슐 시험에 사용되는 유해시약인사염화탄소 대체 공정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lternative assay method without hazardous reagent, carbon tetrachloride, for cefroxadine capsules in Korean Pharmaceutical Codex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4, v.27 no.3, pp.161-166
    https://doi.org/10.5806/AST.2014.27.3.161
    서나래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강여울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박영신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이종민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정명진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전상설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안재형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김경호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가공정서 중 하나인 대한민국약전외의약품기준에는 세프록사딘 캡슐의 정량법으로 유해시약인 사염화탄소를 사용하는 산화환원분석법이 수재되어 있다. 세프록사딘 캡슐의 환경 친화적인 대체 시험법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친환경용매를 사용하는 HPLC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직선성은 상관계수(<TEX>$r^2$</TEX>)가 0.999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일내 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0.30~0.69%, 일간 정밀도는 0.47~0.82%로, 회수율은 100.20~100.56%로 나타났다. 개발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 중인 세프록사딘 캡슐 중 세프록사딘의 함량측정에 응용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대한민국약전외의약품기준의 개정에 기여가 될 것이다.

    keywords
    Korean Pharmaceutical Codex, hazardous reagents, alternative testing methods, valid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bstract

    국가공정서 중 하나인 대한민국약전외의약품기준에는 세프록사딘 캡슐의 정량법으로 유해시약인 사염화탄소를 사용하는 산화환원분석법이 수재되어 있다. 세프록사딘 캡슐의 환경 친화적인 대체 시험법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친환경용매를 사용하는 HPLC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직선성은 상관계수(r2)가 0.999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일내 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0.30~0.69%, 일간 정밀도는 0.47~0.82%로, 회수율은 100.20~100.56%로 나타났다. 개발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 중인 세프록사딘 캡슐 중 세프록사딘의 함량측정에 응용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대한민국약전외의약품기준의개정에 기여가 될 것이다.

    keywords
    Korean Pharmaceutical Codex, hazardous reagents, alternative testing methods, valid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참고문헌

    1

    1. ICH Guideline. Q3C(R4): Impurities: Guideline for residual solvents Q3C(R4) in ICH harmonised tripartite guideline (2009).

    2

    2. K. Alfonsi, J. Colberg, P. J. Dunn, T. Fevig, S. Jennings, T. A. Johnson, H. P. Kleine, C. Knight, M. A. Nagy, D. A. Perry and M. Stefaniak, Green Chem., 10, 31-36 (2008).

    3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B1-2011-2-031(2011.01.01), Republic of Korea.

    4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2012-142(2012.03.07), Republic of Korea.

    5

    5. N. Iwai, A. Sasaki, Y. Taneda, K. Inokuma and H. Nakamura, J. Antibiot., 34, 1663-1678 (1981).

    6

    6. O. Zak, W.A. Vischer, W. Tosch and F. Kradolfer, Drugs Exp. Clin. Res., 1, 11-20 (1977).

    7

    7. D. Greenwood, J. Antibiot., 31, 697-702 (1978).

    8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2009-173(2009.12.15), Republic of Korea.

    9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 C0-2012-2-005(2012.09.19), Republic of Korea.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