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이 연구는 Mn과 Pb의 노출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성 근로자 42 명으로, 대상자 중 13명은 사무직 근로자(실험군 I), 21 명은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실험군 II), 8명은 용접 작업자(실험군 III)였다. 대상자의 혈액 중 Mn과 Pb 농도는 실험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 I 대상자의 CD19+와 total lymphocytes 농도는 기타의 실험군 대상자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다른 T lymphocytes subpopulation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Mn과 Pb 농도는 T lymphocytes subpopulation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Mn은 CD4+CD45RO+와 자연살해세포를 제외한 T lymphocytes subpopulation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b 농도는 단지 total lymphocytes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Mn과 Pb의 직업적인 노출은 세포성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Mn과 Pb의 노출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성근로자 42 명으로, 대상자 중 13명은 사무직 근로자(실험군 I), 21 명은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실험군 II), 8명은 용접 작업자(실험군 III)였다. 대상자의 혈액 중 Mn과 Pb 농도는 실험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 I 대상자의 CD19+와 total lymphocytes 농도는 기타의 실험군 대상자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다른 T lymphocytes subpopulation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Mn과 Pb 농도는 T lymphocytes subpopulation과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Mn은 CD4+CD45RO+와 자연살해세포를 제외한 T lymphocytes subpopulation과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b 농도는 단지 total lymphocytes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Mn과 Pb의 직업적인 노출은 세포성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1. H. Yuan, S. He, M. He, Q. Niu, L. Wang and S. Wang, Life Sci., 78, 1324-1328 (2006).
2. K. P. Mishra, Toxcol in Vitro, 23, 969-972 (2009).
3. P. Coelho, J. Garcia-Leston, S. Costa, C. Costa, S. Silva, D. Fuchs, S. Geisler, V. Dall’Armi, R. Zoffoli, S. Bonassi and E. Pasaro, Sci. Total Environ., 475, 1-7(2014).
4.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7: Manganes’, WHO, Geneva, 1981.
5. J. R. Prohaska, Physical Review, 67, 858-901 (1987).
6. D. Milatovic, S. Zaja-Milatovic, R. C. Gupta, Y. Yu, M. Aschner, Toxicol. Appl. Pharmacology, 240, 219-225 (2009).
7.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 Lead’, WHO, Geneva, 1977.
8. B. H. Alexander, H. Checkoway, C. van Netten, C. H. Muller, T. G. Ewers, J. D. Kaufman, B. A. Mueller, T. L. Vaughan and E. M. Faustman, Occup. Environ. Med., 53(6), 411-6 (1996).
9. B. T. Stollery, Neurotox. Teratol., 18, 477-483 (1996).
10. C. Y. Hsiao, H. D. I. Wu, J. S. Lai and H. W. Kuo, Sci. Total Environ., 279, 151-158 (2001).
11. M. B. Rabinowitz, G. W. Wetherill and J. D. Kopple, J. Lab. Clin. Med., 90, 238-248 (1977).
12. K. P. Mishra, V. K. Singh, R. Rani, V. S. Yadav, V. Chandran, S. P. Srivastava and P. K. Seth, Toxicology, 188, 251-259 (2003).
13. P. M. Lutz, T. J. Wilson, J Ireland, A. L. Jones, J. S. Gorman, N. L. Gale, J. C. Johnson and J. E. Hewett, Toxicology, 134, 63-78 (1999).
14. L. Fang, F. Zhao, X. Shen, W. Ouyang, X. Liu, Y. Xu, T. Yu, B. Jin, J. Chen and W. Luo, Toxicol. Appl. Pharmacology, 265, 272-278 (2012).
15. 양정선, 강성규, 이미영, 박인정, ‘건강진단 기준상 유해물질 분석법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I)’ 연구보고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7.
16. S. Jang, Y.-J. Choi, K.-W. Kim,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3(3), 266-27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