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발달 및 유지에 기여하는 생물학적 취약성,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들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생물학적 취약성에 해당하는 행동억제 기질과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부정적 자기 개념 및 타인 인정 추구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5명이 회고적 자기보고식 행동억제 질문지, 심리적 통제 척도,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 척도, 승인 동기 척도 개정판, 사회 공포증 척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행동억제기질은 부정적 자기개념, 타인 인정 추구,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정적 자기개념과 타인 인정 추구를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통제의 경우에는 모의 심리적 통제가 부정적 자기개념과 타인 인정 추구를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미치는 간접 효과만이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불안의 치료에 있어 기질적 취약성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gative self-concept and need for reassurance from others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behavioral inhibit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o examine this hypothesis, 285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Retrospective Self-Report Inhibition(RSRI),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PCS-YSR),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NCSS), the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RMLAM), and Social Phobia Scale(S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had a direct effect on negative self-concept, need for reassurance from others and social anxiety; at the same time,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that was mediated by negative self-concept and need for reassurance from other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ly had an in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mediated by negative self-concept and need for reassurance from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significant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ocial anxiet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rious factors interacting with behavioral inhibition in the generation of social anxiety.
김소연 (2014). 행동억제 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불안 통제감과 경험 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송아 (2008).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세은 (2005). 발표불안집단과 사회불안 하위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연희 (2013). 자기애 취약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타인인정추구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유형의 기억편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지 (2014). 내현적 자기애, 수치심, 우울이 대학생의 폭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경현, 유제민, 안경미 (2008). 초등학생 사회불안의 예측 모형: 행동억제,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675-693.
신희수, 안명희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21- 641.
안명희 (2011). 모의 심리적 괴롭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무기력과 자기 부적절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2), 145-164.
양주경 (2007).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기제: 행동억제 기질, 가족환경, 역기능적 신념, 불안 통제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Ⅰ: 행동억제 기질, 부모 양육 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57-576.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Ⅱ: 행동억제 기질, 부모 양육 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77-597.
오윤희 (2006). 사회불안장애 발병요인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옥주희, 김은정 (2015). 부정적 자기 개념과 자기 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자기 초점적 주의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5(3), 619-637.
이경은, 하은혜 (2011).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인지행동치료, 11(2), 39-57.
이경희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소담 (2017).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성인진입기 자녀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시형, 신영철, 오강섭 (1994). 사회공포증에 관한 10년간의 임상연구. 신경정신의학, 33(2), 305-311.
이정숙 (2010).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정욕구, 자기강화, 성공-실패경험의 매개역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용래, 원호택 (1999). 사회공포증에 대한 임상적 평가 3: 역기능적 신념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1), 141-162.
최명진 (2010). 심리적 통제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미미 (2008).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행동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가희,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7(2), 161-179.
한민희 (2010). 여대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몰입의 관계에서 타인 및 자기인정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유정 (2002). 청소년의 행동억제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이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호유나 (2004). 청소년의 가족 사회적 환경, 부부갈등, 행동억제 기질과 사회불안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홍세희, 조용래 (2006).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Rasch 평정척도모형의 적용.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 865-880.
Abramowitz, J. S., & Moore, E. L. (2007). An experimental analysis of hypochondriasi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413-42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ition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rim, R. G., & Shapka, J. D. (2008). The impact of pubertal timing and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 445-45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Barber, B. K., Bean, R. L., & Erickson, L. D. (2002). Expanding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control. In B. K. Barber(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ce (pp. 263-2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Barlow, D. H. (2002). Anxiety and its disorders: The nature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anic(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Beidel, D. C. (1998). Social anxiety disorder: Etiology and early clinical present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9, 27-32.
Biederman, J., Rosenbaum, J. F., Bolduc-Murphy, E. A., Faraone, S. V., Chaloff, J. J., Hirshfeld, D. F., & Kagan, J. (1993). A 3 years follow-up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behavioral inhibi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2, 814-821.
Brown, G. K. (1990). A causal analysis of chronic pain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9(2), 127.
Burns, A. B., Brown, J. S., Plant, E. A., Sachs-Ericsson, N., & Joiner Jr, T. E. (2006). On the specific depressotypic nature of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135-145.
Browne,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Chronis-Tuscano, A., Degnan, K. A., Pine, D. S., Perez-Edgar, K. Henderson, H. A., Diaz, Y., Raggi, V. L., Fox, N. A. (2009). Stable early maternal report of behavioral inhibition predicts lifetime social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8(9), 928-935.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M. Liebowitz & R. G. Heimberg (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p. 69-93). New York: Guilford Press.
Clauss, J. A., & Blackford, J. U. (2012). Behavioral inhibition and risk for developing social anxiety disorder: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1(10), 1066-1075.
Degnan, K. A., & Fox, N. A. (2007). Behavioral inhibition and anxiety disorders: Multiple levels of a resilience proces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9, 729-746.
Dykman, M. (1998). Integrating cognitive and motivational factors in depression: Initial tests of a goal-orientation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1), 139-158.
Eric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Flett, G. L., Besser, A., & Hewitt, P. L. (2014).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s in depression: An analysis of validation seek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a community sample of young adults.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77, 67-85.
Fox, N., Henderson, H, Marshall, P., Nichols, K., & Ghera, M. (2005). Behavioral inhibition: Linking biology and behavior within a developmental framework. Annual Reviews of Psychology, 56, 235-262.
Hardin, E. E., Varghese, F. P., Tran, U. V., & Carlson, A. Z. (2006). Anxiety and career explorat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role of self-construa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9(2), 346-358.
Hirshfeld-Becker, D. R., Miscco, J., Henin, A., Bloomfield, A., Biederman, J., & Rosenbaum, J. (2008a). Behavioral inhibition. Depression and Anxiety, 25, 357-367.
Hofmann, S. G. (2007). Cognitive factors that maintain social anxiety disorder. A comprehensive model and its treatment implications. Cognitive Behaviour Therapy, 36(4), 193-209.
Kagan, J. Reznick, J. S. & Snidman, N. (1988). Biological bases of childhood shyness. Science, 240, 117-256.
Lohr, J. M., Olatunji, B. O., & Sawchuk, C. N. (2007). A functional analysis of danger and safety signals in anxiety disorder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 114-126.
Martin, H, J. (1984). A revised measure of approval motiv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desir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8(5), 508-519.
Mick, M., & Telch, M. (1998). Social anxiety and history of behavioral inhibition in young adult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2, 1-20.
Nanda, M. M., Kotchick, B. A., & Grover, R. L. (2012).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hood anxiety: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lack of control.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4), 637-645.
Nelson, D. A., & Crick, N. R. (2002).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mplications for childhood physical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B.K. Barber(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ce(pp. 168-1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rrish, C. L., & Radomsky, A. S. (2006). An experimental analysis of responsibility and reassurance: Relationships with compulsive chec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Consultation and Therapy, 2, 174-191.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 717-731.
Preachers,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879-891.
Raftery, A. E. (1995). Bayesian modeal selection in social research. Sociological methodology, 25, 111-164.
Rapee, R. M., & Heimberg, R. G. (1997).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anxiety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6), 611-617.
Rector, A., Kamkar, K., Cassion, S. E., Ayearst, L. E., & Laposa, J. M. (2011). Assessing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in the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5(7), 911-917.
Rubin, K. H., Stewart, S. L., & Chen, X. (1995). Parents of aggressive and withdrawn children.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1. Children and parenting (pp. 225-284). Hillsdale, N.J.; LEA.
Schwartz, C., Snidman, N., & Kagan, J. (1996). Early temperamental predictors of stroop interference to threatening information at adolescence.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0(2), 89-96.
Schwartz, C., Snidman, N., & Kagan, J. (1999). Adolescent social anxiety as an outcome of inhibited temperament in child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8, 1008-1015.
Shrout, P. E., & Blo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
Stein M. B., & Kean Y. M. (2000).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ocial phobia: epidemiologic finding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 1606-1613.
Wei, M., Mallinckrodt, B., Larson, I. M.,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depressive symptoms, and validation from self versus othe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68-377.
Wittchen, H. U., Stein, M. B. & Kessler, R. C. (1999). Social fears and social phobia in a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morbidity. Psychiatrica Scandinavia, 96, 56-63.
Wu, T., & Wei, M. (2008). Perfectionism and negative mood: The moderating roles of validation from others versus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 276-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