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60년대 소설의 연애전유 양상과 젠더

Love Appropriation and Gender in the 1960's Narrativ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19, pp.7-56
https://doi.org/10.18856/jpn.2008..19.001
김복순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Love Appropriation and Gender in the 1960's NarrativesKim, Bok-SoonLove is a conatus-social system.In 1960, gender was the most predominant category in narratives. The key words of love in male-gender point of view in 1960's was 'settlement, alienation, and body', and the female-gender was 'taste, deliverance, and virginal purity.' Male-centered petit-bourgeois and violent, sensual love was a comon factor in male-gender naratives, therefore, they never have romantic love.In female-gender naratives, love was a way to 'the liberty of women' and to 'the romantic love'. Womens' stories were focused on anxietyand frustration regarding to 'romantic love',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male-gender narratives.Such a 'romantic love' does work in god ways. Since they were against the modern patriarchy,preoccupied negative valuation on 1960'sfemale writers shouldbe withdrawn.Key WordsLove as conatus-social system, Love as settlement·alienation·and body, Love as taste, deliverance, and virginal purity, romantic love, swaping, militarism, anti communist enlightenment, reconstruction enlightenment, Seoul is full, Kim, Sueng-Ok, Man and Wife, Mrs. Mist, Barren Woman, Park Keoy-Hyong

keywords
코나투스- 사회체계로서의 연애, 정착·소외·육체로서의 연애, 취향·구원·순결로서의 연애, 낭만적 사랑, 스와핑, 제처권, 군사주의, 반공 계몽, 재건 계몽, 서울은 만원이다, 김승옥, 부부, 안개부인, 석녀, 박계형, Love as conatus-social system, Love as settlement·alienation·and body, Love as taste, deliverance, and virginal purity, romantic love, swapping, militarism, anti communist enlightenment, reconstruction enlightenment, Seoul is full, Kim, Sueng-Ok, Man and Wife, Mrs. Mist, Barren Woman, Park Keoy-Hyong

참고문헌

1.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1, 문학동네, 1995, 2004,

2.

김승옥, 「김승옥전집』1-5, 문학동네, 1995,

3.

박계형,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삼육출판사, 1965, 1992.

4.

손창섭, 「부부」, 「손창섭 대표작전집』2, 예문관, 1970.

5.

이호철, 「서울은 만원이다」, 「이호철전집』7, 청계, 1991,

6.

전병순, 「안개부인」, 자유문학사, 1978.

7.

정연희, 「석녀」, 문예사, 1968.

8.

김복순, 『해방후 대중소설의 서사방식 (상)』, 「인문과학논총』제 19집, 명지대인문과학연구소, 1999. 33-60쪽.

9.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제18호, 2007. 7-60쪽.

10.

김영찬, 『불안한 주체와 근대』, 「상허학보」, 12집, 39-65쪽

11.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 제45집 2호, 7-48쪽.

12.

오명석, 『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제4호, 1998, 121-152쪽.

13.

정지영, 『1970년대 ‘이조여인’의 탄생: 조국근대화와 ‘민족주체성의 타자들』, 「여성학논집』제24집 2호, 2007, 41-76쪽.

14.

하정일, 『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 「196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1998, 13-43쪽.

15.

황정미, 『개발국가의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1.

16.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17.

이호규 외, 「이호철 소설연구」, 새미, 2001.

18.

전경옥 외, 「한국여성문화사』2,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19.

천이두 외, 「이호철 소설의 일반론 및 작품론」, 새미, 2001.

20.

최미진, 「한국 대중소설의 틈새와 심층」, 푸른사상, 2006,

21.

최미진,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푸른사상, 2006,

22.

루만, 「사회체계이론 1, 2」, 한길사, 2007,

23.

리타 필스키, 「근대성과 페미니즘」,거름, 1998.

24.

알렉상드르 마트롱, 김문수·김은주 옮김,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 그린비, 2008.

25.

재크린 살스비, 「낭만적 사랑과 사회」, 민음사, 1985.

26.

캐럴 페이트만,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후, 2001.

27.

芝原宏治 외, 「都市と 故鄕の フィクション」, 淸文堂, 2007.

28.

小谷野敦, 「‘男の戀’の文學史」, 朝日新聞社, 1997.

29.

N. Luhmann, Love as Passion, Staford Univ. Press, 198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