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강옥희(상명대학교) pp.7-52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1910년대 이후 구활자로 출간된 , 근대적인 지향을 지닌 작품들을 딱지본 대중소설로 정의하고, 그동안 누락되었던 작품을 찾아 정리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딱지본 대중소설은 육전소설, 딱지본으로 불리며 저급한 문학작품으로 취급되어 문학사와 연구사에서 방치되었었다 . 그러나 딱지본 대중소설은 상업적 상품으로 기능했고 , 근대적인 대중독자를 형성했으며, 당대 대중들의 취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대중문학 텍스트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현재까지 기본적인 서지작업조차 이루어지지 못했다 .1920 년~30 년대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전성기였으며 세창서관 의 판본이 대표적이다. 세창서관 에서 발간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저렴한 가격에 엘리1)* 상명대학교 국문학과 강사8 대중서사연구 제15호트 대중독자가 아닌 일반적인 대중독자들의 흥미에 부합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시대 활발하게 간행되었고 1960년대까지도 명맥을 이어왔지만 대중독자들의 경험과 체험의 양상이 변화하면서 해방 이후에는 쇠퇴의 과정을 밟게 되었다.그러나 한때 당대를 풍미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평범하고 보편적인 대중독자들을 목표로 창작되고 유통되었기 때문에 작품 안에서 당대 대중들의 관심사 및 그들이 수용하고자 한 현실세계에 대한 모습을 살필 수 있고 , 대중들의 근대적 지향이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Abstrac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dakjibon Popular Novels Kang, Ok-Hee This article/essay/thesis will define the modern-inclined literary works published after 1910 in old print. Furthermore it will organize and categorize works that have been lo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novels will be examined. Ddakjibon Popular Novels have been referred to as youkjeon novels or ddakjibons and was regarded as inferior literary works. Thus they were neglected in the studies of literary history and research. Though Ddakjibon Novels suceeded commercially and formed a modern general multitude of readers, reacting sensitively to the taste of public and thus is very significant, even the most basic bibliography had not been compiled. 1920s and the 1930s were the zeniths/pinnacles of Ddakjibon Popular Novels, with 'sechangseokwan's xylographic books leading the way. Ddakjibon Popular Novels published by 'sechangseokwan' appealed not to the elite, but to the public with inexpensive prices and literary works that properly addressed the interests of readers. Though Ddakjibon Popular Novels where actively issued during the colonial times and remained in existence until the 1960s, the experiences and values of the public had changed and consequently its downfall commenced after the Independence. Since Ddakjibon Popular Novels were aimed, written and circulated to the common and general readers,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contemporary readers' interests and their desired realities. The significance can be placed at the various ways the preference of readers appeared throughout the novels.

이영미(한국예술종합학교) pp.53-8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ix-pence Pop Novel and Feature of Sin-pa Lee Young Mee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ix-pence pop novel(short and brief novels which were popular among the masses between 1920s and 1950s in Korea) in terms of feature of sin-pa and examine its status in the local pop art history. The six-pence pop novel are commonly called as 'sin-pa novels,' however most of them are not sin-pa at all. There are a whole range of such novels and they vary from those close to old-style novels to those similar to sin-pa. Some of them don't have a characteristic of old-style novels and that of melodramatic ones, either. Their main characters have a simple and formal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however, such a composition is not linked to medieval world view and in this regard, is different from old-style novels. And their main characters do not possess physical handicaps which are the prominent figure in sin-pa novels and do not explore into the characters' psyche to expose their sin-pa sentiments. But how their survival is described in specific and myriad ways. These six-pence pop novels are expected to be appreciated by classes which possessed relatively less culture capital of new culture. This proves that sin-pa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 low class were appreciated by classes with more culture capital of new culture compared to those who enjoyed six-pence pop novels.

김청강(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 Champaign) pp.89-11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opular Novel: the Confusion and Fantasy Kim Chung-Kang This essa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alled "cheap" popular novel and its historical condition, which has long been excluded in the study of South Korean modern literature. By using the concept of "confusion" and "fantasy," I analyze three popular novels, "Saving My Life"[Chŏlchŏpongsaeng], "The Tears of North Kanto"[Pukkanto ŭi nu], and "The Dream of Golddiggers"[Hwangkŭm ŭi mong] produced in 1910s and 1930s. In particular, despite each texts' different period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these three novels aptly delineates the confusion and practical difficulty that common people had, and speaks especially the desires of the male subjects including the generations of fathers and ruined aristocratic class who were not able to be "modern" subject, however, had they such desire. These three novels capture the moment of difficulty that these male characters are confronting and expresses "the sorrowness of males," which is differenciated from that of womans'. In addition, by adapting themselves in the fast-changing social atmosphere with their own favoritism, they regain their lost socio-cultural status. The use of "fantasy" becomes the literary strategy to overcome the narratives of "hardships of old male generation" and subverts their reality by dreaming the recovery of patriarch in the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cheap" popular novel provides the clear picture of common people's life which is not found in any other historical materials. Although these novels has been despised and neglected in the world of academia, due to it coarseness of narrative style and "lack of seriousness" in its thematic convention, they should be re-evaluated in that it reflects the "reality" of people's life and their taste.

이승윤(서경대학교) pp.121-160
진영복(연세대학교) pp.163-197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이태준의 역사소설인 왕자 호동 에 나타난 네이션 서사학과 대중미학을 주체 구성 방식과 타자 표상 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 그 결과 이 소설이 제국주의의 시선과 이에 저항하는 민족주의의 시선을 교묘하게 맞붙어 낭만적 아이러니와 낭만적 사랑이라는 대중미학적 원리를 통해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소설은 원시적 시원을 낭만적으로 동경하고 낭만적 사랑을 네이션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시키면서도 부정하는 아이러니적 방식을 이용해 , 내셔널리즘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자발적으로 순응하여 한 (韓)민족 의식과 일체감을 느끼는 동시에 일본의 군국주의에 저항 /순응하는 상상적 일체감을 갖도록 유도한다 . 즉 제국주의의 시선에서 스스로 공감할 수 있는 지점들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이고, 차선의 악을 선택한다는 원리에 의해 저항하면서 순응하는 식민지적 삶의 이중적 양태를 전형적으로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 요컨대 이 소설은 민족 /제국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네이션 의식을 통해 상상적 일체감을 제공해 주며 내셔널리즘으로 타협적 균형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Abstract

The Narrative of Nation and Romantic Character - concentrating on the prince Ho-Dong, written by Lee Tae-jun Jin, Young-Bok This study observes the system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Others that appeared in the historical novel the prince Ho-Dong, written by Lee Tae-jun, through examining narrative and popular aesthetic of Nation. As a result, I have noticed that this novel expresses both the delicately balanced gaze of imperialism and the resistance to it through popular aesthetic principals that include romantic irony and a romantic love. This novel leads the reader to spontaneously adapt to nationalism, then to realize both the sense of unity towards consciousness of the Korean race and the sense of imaginative unification through resistance /adaptation of the Japanese militarism. This is accomplished by yearning the primitive source and expanding romantic love to the love of the nation, ironically denying the process at the same time. Namely, this novel partially accepts the aspects of imperialism which could be sympathized, concurrently following the contrary principle of resistance /adaptation portrayed typically in colonial life by making the second best choice. In short this novel is offering a sense of imaginative unifi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Nation carrying both the meaning of nation/empire. At the same time, the novel is seeking for a compromised equilibrium by nationalism.

박상민(가톨릭대학교) pp.199-228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문학연구방법으로서의 악의 상징을 의미화하는 것이다 . 이는 문학 작품이 악의 부정적 현존을 납득시킬 수 있는 서사적이고 상징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훌륭한 수단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문학작품에 나타난 성과 관련된 금기의 훼손에 주목하였다 . 금기의 훼손은 폴 리꾀르가 악의 일차적 상징으로 본 부정(Stain)을 의미하는데, 그 배후에는 부정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 이는 고난을 피하기 위해 고난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당한 합리화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박경리의 토지 에 나타난 악의 상징을 분석하였다. 이는 토지 가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하여, 악의 상징에 대한 근대문학적 모범 서사를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성과 관련된 금기의 훼손을 대표하는 인물은 김환이다 . 그는 형수를 꾀어 도망간 근친적 패륜를 저질렀으며, 이로 인해 최참판가의 몰락이 본격화되었다는 점에서 작품 전체를 추동하는 악행의 주요 당사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환은 악인의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다. 오히려 작품 내내 김환은 고통을 이겨내려 몸부림치는 연민의 대상일 뿐이다. 김환은 아버지 김개주와 함께 명백하게 인쿠부스 (Incubus)적 악마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작품의 서술은 오히려 이들을 미화하는 쪽으로 모아진다. 불륜에 대한 낭만적 서술과 당사자들의 비극적 죽음. 바로 이 두 요소의 부조화는 금기의 부당한 합리화 기제를 깨뜨리는 것으로 토지 에 나타난 중요한 악의 상징이다.

Abstract

'The Symbol of Evil' as a Method of Literary Study Park Sang-Min This thesis deals with 'the Symbol of Evil' as a Method of Literary Study. The main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a literary works is a useful device to perceive the negative existence of evil by providing narrative and symbolic resources. In that sense, this thesis analyzes the destruction of sex-related taboo. Destroying taboo represents the 'Stain' that Paul Ricoeur saw as the first symbol of evil. His perspectiv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any stain will pay the price eventually. However, it is an unreasonable justification from examining the agony to avoid it. On the bases of this discuss, this thesis research for 'the symbol of Evil' in Park Kyung-Ni's Toji(土地). Because Toji(土地) shows a model of 'the symbol of Evil' on modern literary narrative. The main character that destroys sex-related taboo is Kim Hwan. He lured his sister-in-law and ran away, and the catastrophe of Choichampan Familly started from that incident. Kim Hwan is the center of obscene behaviors in this book, but he does not have any image of a villain. He is only a sympathetic character that struggles to overcome the pain. Even though he plays a role of diabolic incubus with his father, Kim Gae-Ju, the narrator embellishes him. The conflict between the romantic description of adultery and the tragic death is the most important symbol of evil in Toji(土地), which demolishes the erroneous justification of taboo.

곽승미(이화여자대학교) pp.229-256
초록보기
초록

근대성의 형성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여행문화가 일상에서 향유되는 실태와 서사화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여행은 일제에 의해 제도화됨으로써 일상화되었다. 일상의 영역에서 여행은 제국의 논리를 설득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고, 한편으로는 일종의 취향으로서 유행되어 현대적인 삶의 지표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1920년대부터 잡지에 대거 수록되는 서구 기행문은 근대적 주체의 시선을 통해 서구를 관찰하는 동시에 동양인이자 식민지주민으로서의 자기 확인 과정을 드러낸다. 여행은 서사화되230 대중서사연구 제15호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그리고 타자로서의 자기를 확인하는 계기로서 전유된다. 이것은 근대적 삶을 일상으로 하는 근대적 주체로서의 정체성과 제국 외부의 이방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부딪치며 빚어낸 균열이다. 이러한 균열은 통속적 서사 안에서 만주의 심상을 통해 상상적으로 봉합되는 국면을 맞는다. 이를 통해 볼 때 내부와 외부가 만나게 되는 여행은 식민지 조선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Abstract

The Enjoyment and Narrative Appropriation to the Travel Culture in the Colonial Period Kwag, Seung-Mi This eassy considers how the culture of travel, in Chosun under in colonial system, which mainly takes roles in process of the formation of modernity had been enjoyed in everyday life and appropriated in narratives. Be systemized for teaching the logic of a colonial policy by Japan, travel had been usual culture in Chosun. And the people in Chosun recognized tour as an index of modern life. The experience of travel in the Occidental, Abroad Travel Literature, was both interpreted by modern subject eye and the moment of taking their bearings not as modern subject but as an Oriental and people under colonial rule. For these factor, travel in the fictions functioned exotic interests and appropriated self-recognition as the other.

김용희(평택대학교) pp.257-286
김소연(도서출판 시각과언어) pp.287-318
박애경(연세대학교) pp.321-332
양세라(연세대학교) pp.335-359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은 1932 국극요람(國劇要覽) 을 자료로 소개한다. 이 책에서는 국가(國)의 범주 속에 일본과 조선 , 대만 외의 식민지 국가와 민족을 포함하고 있다 . 따라서 이 연극사는 근대화된 국민 -국가의식을 전제로 하지 않고 , 대동아전쟁을 획책한 제국주의 정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를 전제로 한 연극사임을 밝힌다 . 목하는 것은 국극요람 의 제국주의적 시각이 1930년대 식민지 조선 지식인의 정체성과 만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 그것은 국극(國劇)이라는 전체 (全體)개념 속에서 향토 민속 혹은 풍속의 대상으로 조선의 연극이 조선의 민족성이라는 관념아래 재배치되는 사정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 글은 이 자료가 우리의 연극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둔 글이다. 따라서 비슷한 시기 국민연극론에 대한 논문이나 저서와 일본의 국가주의에 대한 다른 논의들은 재인용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 또한 이 자료 자체동어반복을 피하고자 한다. 인용하는 연구논문들 역시 자료적인 의미들을 지닌 글에 한정함을 밝힌다.

Abstract

유춘동(한라대학교) pp.361-37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