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Authenticity)개념

“Authenticity” in Pop-Discours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1, pp.345-370
https://doi.org/10.18856/jpn.2009..21.010
송화숙 (배를린 홈볼트 대학)

초록

대중음악이 여타의 다른 음악카테고리들과 경계를 설정하고 스스로를 하나의 독립적인 장 (sphere)으로써 구성하기 시작하면서 주도적으로 떠오른 문제는, 대중음악에 관한 가치평가에 관한 것이었다.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다층적이면서도 분산적으로 작동되는 대중음악에 대해, 어떤 통일적인 미적판단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아직도 대중음악연구에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져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적 시각에 의거해 양적/질적으로 대중음악을 정의하거나 판단하는 기존의 방식들에 대한 비판적 검증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 이 글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은 대중음악 내에서의 ‘진정성 개념’이다. 진정성 개념은 이론적, 일상적 범주에서 흔히 대중음악에 관한 일종의 질적/미적 가치 판단 기준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자세히 고찰했을 때,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 개념은 예술음악이나 민속음악에서처럼 “진정하고 정통한 ’근원‘ ’원전‘ ’작가‘ ’연주가‘”를 보증하는 방식과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에 대한 역사적 형성 방식을 관찰함으로써, 이 글은 결론적으로, 대중음악 내에서 진정성개념이란, “주도적인 매체화의 방식이 다른 것으로 전이될 때 등장하는 일종의 상징적 가치에 관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고, 이 개념 역시 복합적인 역사적 과정을 통해 구성된 형성체이며, 이 개념의 상징적 가치들을 둘러싼 대립을 통해 실제로 작용되고 있는 것은, ‘진정성의 유무에 관한 차이’가 아니라 ‘대중음악의 매체화와 이를 통한 감각방식의 차이’임을 밝히고자 한다.

keywords
popular music, authenticity, musical medialization, sense, appropriation, 대중음악, 진정성, 매체화, 감각, 전유, popular music, authenticity, musical medialization, sense, appropriation

Abstract

One of the main discussions in popular music, which constructs as a cultural sphere its own characteristic and function, is the problem of value judgement since popular music has differentiated from artificial or folklore music categories. The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 whether a united canon of aesthetic could be applicable to complex and diverse popmusical practice remains incomplete.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fragmentary approach and definition to popular music should be critically examined, such a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pproximations to popular music. Based on this context this paper searches for the term "authenticity" in pop-discourse. The concept of authenticity usually used be in the theoretical and colloquial field, as if that were a 'qualitative and aesthetical criterion', but on closer inspection it operates differently from the "origin" "essence" "nature" of musical "author, player, work" in the use of artificial and folk musical ideas. This paper proves through the reflect on its historical configuration that the notion of authenticity in the popmusical discourse occurs from the change from the dominant way of medialization as some symbolic value, it is also constructed through a historical process. Conclusively it makes clear that the conflicts around the term of authenticity in the pop-discourse are not reference of the difference in real existence of authenticity but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medializations of popular music, and in its sensual perception and appropriation.

keywords
popular music, authenticity, musical medialization, sense, appropriation, 대중음악, 진정성, 매체화, 감각, 전유, popular music, authenticity, musical medialization, sense, appropriation

참고문헌

1.

강준만, ꡔ한국대중매체사ꡕ, 인물과 사상사, 2007.

2.

강태영/윤태진, ꡔ한국 TV 예능, 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ꡕ 한울아카데미, 2002.

3.

신현준, ꡔ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산업ꡕ, 한나래, 2002.

4.

신현준, 「K-Pop의 문화정치학」, ꡔ언론과 사회ꡕ2005년 여름호 13권 3호, 2005, 7-36쪽.

5.

신현준 외, ꡔ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한국 팝의 탄생과 혁명ꡕ, 한길아트, 2005.

6.

신현준 외, ꡔ한국 팝의 고고학 1970. 한국 포크와 록, 그 절정과 분화ꡕ, 한길아트, 2005.

7.

정순일/장한성, ꡔTV프로그램의 사회사: 한국 TV 40년의 발자취ꡕ, 방송문화진흥회, 2000.

8.

이영미, ꡔ한국대중가요사ꡕ, 시공사, 1999.

9.

조한혜정 외, ꡔ‘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ꡕ,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10.

최창봉/강현두, ꡔ우리방송 100년ꡕ, 현암사, 2001.

11.

한국방송공사, ꡔ한국방송 70년사ꡕ, 한국방송협회, 1997.

12.

Frith, Simon, Sound effects: youth, leisure, and the politics of rock'n'roll, London: Constable, 1981. 한국어 역, 사이먼 프리스, 사운드의 힘: 록음악의 사회학, 권영성/김공수 역, 한나래, 1995

13.

Frith, Simon, “Toward anaesthetic of popular music”, in: R. Leppert & S. McClary (eds.) Music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pp.133-149.

14.

Knaller, Susanne/Müller, Harro “authentisch/Authentizität“, in: Karlheinz Barck/ Martin Fontius et al. (hrsg.), Ästhetische Grundbegriffe. Historisches Wörterbuch in sieben Bänden, Bd. 7., Stuttgart/Weimar 2005, S. 40-65.

15.

Knaller, Susanne, Ein Wort aus der Fremde: Geschichte und Theorie des Begriffs Authentizität, Heidelberg 2007.

16.

강 헌, 「문제는 록 정신이다」, ꡔ계간 리뷰ꡕ 1994년 겨울호, 18-34쪽.

17.

강 헌, 「서태지-주류질서의 전복자」, ꡔ계간 리뷰ꡕ1994년 겨울호, 178-205쪽.

18.

강 헌, 「한국대중음악론」, ꡔ민족음악의 이해 6ꡕ1997, 32-58쪽.

19.

성기완, 「한국의 록: 어느 세계적 경험」, ꡔ음악과 문화ꡕ제 10호, 2004, 58-73쪽.

20.

송화숙, 「음악학적 대상으로서의 대중음악? : 대중음악에 대한 이론적, 분석적 접근가능성에 관한 소고」, 한국음악학학회, ꡔ음악학ꡕ11집, 2004, 249-336쪽.

21.

이윤진, ꡔ한국 텔레비전 문화의 형성과정: 구술매체와 구술문화의 근대적 결합ꡕ,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2.

22.

이윤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구술성: 텔레비전의 구술양식과 이야기」, ꡔ언론과 사회ꡕ2002년 여름 10권 3호, 117-152쪽.

23.

이정엽, ꡔ1990년대 대중가요의 문화적 형성에 관한 연구ꡕ,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석사논문, 1999.

24.

Andree, Martin, Archäologie der Medienwirkung, München 2005.

25.

Benjamin, Walter,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Frankfurt am Main 1963.

26.

Barker, Hugh/Taylor, Yubal, Faking it: The Quest for Authenticity in Popular Music, New York: Norton Publishers, 2007.

27.

Duerr, P. Hans (hrsg.), Authentizität und Betrug in der Ethnologie, Frankfurt am Main, 1987.

28.

Halenberg, Gerd (hrsg.), Live is Life: mediale Inszenierung des Authentischen, Baden-Baden 2005.

29.

Katz, Mark, Capturing Sound: How technology has changed music,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한국어 역, 마크 카츠, 허진 옮김 (2006), 소리를 잡아라, 도서출판 마티.

30.

Kivy, Peter, Authenticities: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usical performance, New York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31.

Klein, Gabriele/Friedrich, Malte, Is this real?: Die Kultur des HipHop, Frankfurt am Main 2003.

32.

Knaller, Susanne (hrsg.), Authentizität: Diskussion eines ästhetischen Begriffs, München 2006.

33.

Lindholm, Charles, Culture and Authenticity, Malden Mass, Oxford : Blackwell Publishers, 2008.

34.

Luhmann, Niklas, Soziale Systeme: Grundriss einer allgemeinen Theorie, 1. Aufl., Frankfurt am Main 1984.

35.

Luhmann, Niklas, Die Realität der Massenmedien, 2. erweiterte Aufl. Opladen 1996.

36.

Middleton, Richard, Voicing the Popular, On the Subjects of Popular Music, New York : Routledge, 2006.

37.

Poschardt, Ulf, DJ-Culture: Diskjockeys und Popkultur, 2. Aufl., Hamburg 2002.

38.

Shuker, Roy, Popular Music: The Key Concepts, New York : Routledge, 1998.

39.

Stauth, Georg, Authentizität und kulturelle Globalisierung: Paradoxien kulturübergreifender Gesellschaft, Bielefeld 1999.

40.

Wicke, Peter, "'Populäre Musik' als theoretische Konzept", in: PopScriptum, 1/92, Berlin 1992, S. 6-42.

41.

Wicke, Peter, Vom Mozart zu Madonna, Leipzig 1998.

42.

Wicke, Peter, "Sound-Technologien und Körper-Metamorphosen. Das Populäre in der Musik des 20. Jahrhunderts", in: ders. (hrsg.), Handbuch der Musik im 20. Jahrhundert Bd. 8 Rock- und Popmusik, Laaber 2001, S. 11-60.

43.

Wicke, Peter, "Über die diskursive Formation musikalischer Praxis: Diskurs- Strategien auf dem Feld der populären Musik", in: Aderhold Stephan (hrsg.), Festschrift Prof. Dr. Rienäcker zum 65. Geburtstag, Berlin 2004, S. 163-17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