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인물 연구 방법의 모색-현진건의 <무영탑>을 예로-

A Study of the Methodology of Character - with the case of the novel Mooyoungtop by Hyun, Jin-geu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147-174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6
최시한 (숙명여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is to make an alternative for a rational methodology of character clarifying the reason that there is no such one. To do so, I developed a methodology by newly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character, characteristic, trait, or characteristic element and tested its validity by analyzing the novel Mooyoungtop(無影塔) by Hyun, Jin-geun. Character is the traits as whole. Trait, the property or nature of character in the structure of work, is the very basic unit of character analysis. The medium providing traits, namely relevant narration, factor or material involved in it is characteristic element. When traits come together and are synthesized, they constitute characteristic, a complex of interest, desire or morals, and this characteristic is understood mainly in internal, social, and functional aspects. Mooyoungtop uses many techniques which show a character's traits through scenes, however also takes on a contradictory aspect by the fact that the narrator exhibits the sovereign attitude based on a good-or-evil dichotomy. Therefore the traits of a character are superficial and fixed, and characteristic elements fail to possess or form a variety of traits. This has a very close connection with the work's lack of structural unity. Since the suggestion of internal traits of characters is poor and the social traits are not motivated well enough to the development of actions and events, the causal development of events integrated with the emotional and ideological conflict does not happen.

keywords
character, characteristic, trait, characteristic element, characterization, internal characteristic, social characteristic, functional characteristic, internality, sociality, 인물, 성격, 특질, 성격소, 인물형상화 방식, 내면적 성격, 사회적 성격, 기능적 성격, 내면성, 사회성

참고문헌

1.

이강언 외 3인 편, 현진건문학전집 3 , 국학자료원, 2004.

2.

강영주, 한국 한국 한의 재인식 , 창작과비평사, 1991.

3.

공임순,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 책세상, 2000.

4.

김정하, 「1920년대 소설의 작중인물 연구」, 서강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5.

박동규, 현대 한국소설의 성격 연구 , 문학세계사, 1981.

6.

박혜숙, 소설의 등장인물 ,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7.

송백헌,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 삼지원, 1985.

8.

송하춘, 1920년대 단편소설연구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5.

9.

신동욱, 「현진건의 무영탑 」, 김치수 외 12인 지음, 식민지 시대의 문학 연구 , 깊은샘, 1980. 253-273쪽.

10.

이재선, 「역사소설의 전개와 양상」 현대소설의 서사시학 , 학연사, 2002, 224-256쪽.

11.

이정옥,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 국학자료원, 2000.

12.

이 호, 「인물 및 인물형상화에 대한 이론적 개관」, 현대소설학회 편, 현대소설 인물의 시학 , 태학사, 2000, 7-30쪽.

13.

정호웅, 한국의 역사소설 , 역락, 2006.

14.

최시한, 「가련한 여인 이야기 연구 시론 - 직녀성 순정해협 탁류 를 예로」, 한국소설학회 편, 현대소설 인물의 시학 , 태학사. 2000. 49-70쪽.

15.

최시한, 소설의 해석과 교육 , 문학과지성사, 2005.

16.

최시한, 「현진건의 현실의식과 기법- 「타락자」론」, 현대소설의 이야기학 , 역락, 2008. 99-112쪽.

17.

한상무, 한국 근대소설과 이데올로기 , 푸른사상, 2004.

18.

현길언, 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현진건 연구 , 태학사, 2000.

19.

홍태식, 한국 근대단편소설의 인물 연구 , 한샘, 1998.

20.

Chatman, S.,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 민음사, 1999.

21.

Toolan, Michael J., 김병욱ㆍ오연희 공역, 서사론 , 형설출판사, 199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