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아버지의 세계에 소환된 환상성의 원리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을 중심으로-

Recalled principle of Fantasy in the Symbolic order - A study on <Bedevilled>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2, v.0 no.27, pp.109-137
https://doi.org/10.18856/jpn.2012..27.004
김아름 (동국대학교)

Abstract

A thrillers film should have a tight plot line to keep the audience in suspense. Verisimilitude is required to keep the audience in suspense. But <Bedevilled>(2010)embodies the Fantasy thoroughly even if <Bedevilled> doesn't depend on the verisimilitude. The matter is important to us. This thesis is focused on space and character of <Bedevilled> to review the Fantasy. Male characters were attackers in most of thrillers. Bok-nam who is main character as female in <Bedevilled> changed the attacker from the victim by herself in an instant. Also, 'Modo' which is the space of <Bedevilled> is full of the Symbolic order. But the Symbolic order of the Modo was subverted by Bok-nam as female characters. It is important that Bok-nam completed a near-impossible assignment. It is 'Fantasy'that impossibility can become possibility. The Fantasy not only lets Bok-nam get upsides with attacker but also gives a lot of creative appeal to narrative structure. So the Fantasy brings the house down and makes audience feel catharsis. However 'Fantasy' degenerated into 'the uncanny' while Bok-nam goes into police station of land as the Symbolic order. <Bedevilled> has lost much of the glamor at this point. That is one of the drawbacks of 'the uncanny' and limits of <Bedevilled>.

keywords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핍진성, 환상성, 스릴러 영화, 복수극, 상징계적 질서, 경이, 기괴, 전복성, 여성 인물, 서발턴, 공간), <Bedevilled>, Verisimilitude, Fantasy, Thrillers, Revenge, The Symbolic order, The marvelous, The uncanny, Subversiveness, Female characters, Subaltern, Space)

참고문헌

1.

장철수 감독,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2010.09.02.

2.

김성곤 외, 탈구조주의의 이해-데리다, 푸코, 사이드의 문학이론 , 민음사, 1990.

3.

로지 잭슨,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환상성- 전복의 문학 , 문학동네, 2001.

4.

박진, 「스릴러 장르의 사회성과 문학적 가능성」, 국제어문 제51집, 국제어문학회, 2011, 375-395쪽.

5.

신경숙, 바이올렛 , 문학동네, 2001.

6.

엘리자베스 그로츠, 임옥희 역, 뫼비우스 띠로서 몸 , 여이연, 2001.

7.

이은애, 「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독해」,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1집, 한국현대문학회, 2010, 337-380쪽.

8.

전용갑, 「사실주의적 환상성의 전략으로서의 추리소설기법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의 <또 다른 미로>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17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4, 325-350쪽.

9.

츠베탕 토도로프, 이기우 역, 환상문학서설 , 한국문화사, 1996.

10.

캐스린 흄, 한창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 푸른나무, 2000.

11.

황혜진, 「스릴러 영화의 남성 중심적 서사에 대한 비평적 접근: <아저씨>와 <악마를보았다>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22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65-80쪽.

12.

김상만 감독, <심야의 FM>, 2010.10.14.

13.

나홍진 감독, <추격자>, 2008.02.14.

14.

박찬욱 감독, <친절한 금자씨>, 2005.07.28.

15.

방은진 감독, <오로라 공주>, 2005.10.27.

16.

봉준호 감독, <살인의 추억>, 2003.04.25.

17.

원신연 감독, <세븐데이즈>, 2007.11.14.

18.

허문영, 「최종 승리자는 괴물이다」, 씨네21 , 2008.05.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