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이야기공학으로서 스토리텔링학의 체계화를 위한 고찰

Consideration for Systematization of Storytelling Studies as Story Engineering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2, v.0 no.28, pp.257-290
https://doi.org/10.18856/jpn.2012..28.009
안숭범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For field specialists or researchers working at cultural contents industries ‘storytelling’ is classed as the most important tactical term. Lately internal academia’s discourse map about storytelling is getting very subdivided. This study generally examines formation process of discourse about storytelling between Anglo-American researchers, and prospects related internal researcher’s results in relative contexts. Through these process the internal Storytelling Studies’ current address, developing into to Story Engineering, and remaining tasks are reviewed. Storytelling Studies has not a few tasks to acquire autonomy as one efficient Story Engineering. Efforts in various angles should be supported to make interdisciplinary research features, as Storytelling Studies is consilience study that treats technology amalgamative area.

keywords
Storytelling Studies, Story Engineering, digital storytelling, cultural contents, enjoyment, methodology, Storytelling Studies, Story Engineering, digital storytelling, cultural contents, enjoyment, methodology, 스토리텔링학, 이야기공학, 디지털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향유, 방법론

참고문헌

1.

김영순.정미강,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24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8.6, 167~192쪽.

2.

김영순,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 검단과 춘천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9호, 인문콘텐츠학회, 2010.12, 35~59쪽.

3.

김영순.허숙.응웬뚜언아잉, .결혼이주여성의 자기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표현교육 사례 연구., 비교문화연구 25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12, 695~721쪽.

4.

류은영,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인문콘텐츠 14호, 인문콘텐츠학회, 2009.3, 229~262쪽.

5.

류은영, .담화의 논리: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외국문학연구 39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8, 77~98쪽.

6.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 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38호, 세계문학비교학회, 2012.3, 345~384쪽.

7.

류철균, .한국 온라인 게임 스토리의 창작방법 연구: 개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8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3, 107~148쪽.

8.

류철균.박나영, .컨버전스시대 UCC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권 6호, 한국콘텐츠학회, 2007.6, 89~98쪽.

9.

류철균.윤현정, .디지털 영화의 극장 외 상영 플랫폼 활용연구.,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8권 3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07.9, 41~48쪽.

10.

류철균.서성은,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서사 알고리즘 연구- <드라마티카 프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8 117~152쪽.

11.

류철균.안보라, .MMORPG 캐릭터의 아이러니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한국게임학회 9권 6호, 2009.12 57~68쪽.

12.

박기수, .한국 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 한국언어문화 24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12, 223~256쪽.

13.

박기수,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교육 활용 방안 연구- 애니메이션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31집, 국제어문학회, 2004.8, 295~324쪽.

1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 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 32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7.4, 5~26쪽.

15.

박기수, .서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간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 36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8, 199-221쪽.

16.

박기수, 「픽사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39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9.8, 213~240쪽.

17.

박기수,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한국언어문화 44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1.4, 155~176쪽.

18.

박기수, 「<이웃의 토토로>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문학과 영상 12권 4호, 문학과영상학회, 2011.12, 951~979쪽.

19.

박동숙․전경란, 「상호작용 내러티브로서의 컴퓨터 게임 텍스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권 3호, 한국언론학회, 2001.6, 69~106쪽.

20.

백승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론」, 기호학 연구 1권 15호,한국기호학회, 2004.6, 101~145쪽.

21.

백승국, 「광고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국순당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텍스트언어학 20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6.6, 192~217쪽.

22.

백승국, 「게임콘텐츠 기획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59호, 한국프랑스학회, 2007.8, 267~284쪽.

23.

백승국․김화영․정지연, 「스토리텔링 기호학의 이론과 방법론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40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3, 27~49쪽.

24.

안숭범, 「FCB Grid 분석을 통한 유명인 출연 광고의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김연아출연 광고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3호, 대중서사학회, 2010.6, 245~275쪽.

25.

안숭범, 「자동차 TV광고의 스토리텔링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비판-2003~2010년 그랜저 TV광고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1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0.12, 113~178쪽.

26.

안숭범, 「'피파온라인 2'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한 온라인 스포츠게임의 놀이 유형화 전략 연구」, 인문콘텐츠 20호, 인문콘텐츠학회, 2011.3, 155~174쪽.

27.

안숭범,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사이트의 스토리텔링 연구- '최소 서사'론과 스크립트 이론의 적용을 통해」, 비교문화연구 23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6, 191~214쪽.

28.

안숭범, 「문학관 유형에 따른 공간 스토리텔링 활용 연구- '노작 홍사용문학관'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51호, 석당학술원, 2011.11, 57~90쪽.

29.

전경란, 「컴퓨터 게임의 이야기하기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권 4호, 한국언론학회, 2003.8, 320~345쪽.

30.

전경란, 「상호작용 텍스트의 구체화 과정 연구: 다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권 5호, 한국언론학회, 2004.10, 188~213쪽.

31.

전경란, .동영상 UCC의 텍스트적 특징과 문화적 함의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5권 2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6, 337~370쪽.

32.

전경란, .디지털 방송 콘텐츠의 매체미학적 특징과 개발 과제: 양방향 콘텐츠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5호, 인문콘텐츠학회, 2009.7, 55~77쪽.

33.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권 9호, 한국콘텐츠학회, 2010.9, 243~250쪽.

34.

최혜실, .게임의 서사구조., 현대소설연구 1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6, 365~383쪽.

35.

최혜실, .문화산업과 인문학, 순수예술의 소통 방안을 위한 일고찰., 국어국문학 130호, 국어국문학회, 2002.9, 395~415쪽.

36.

최혜실, .디지털 문화 환경과 서사의 새로운 양상., 구비문학연구 16호, 한국구비문학회, 2003.6, 27~48쪽.

37.

최혜실, .文學作品의 테마파크화 過程 연구- '소나기 마을'과 '만해마을'을 中心으로., 어문연구 32권 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12, 285~306쪽.

38.

최혜실, .동북아 문화산업 교류의 현황 연구- 조사 분석을 통한 교류의 문제점과 대안 제시를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1권 15호,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6, 55~72쪽.

39.

최혜실, .스토리텔링의 이론 정립을 위한 시론- 공간 스토리텔링으로서의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국어국문학 149호, 국어국문학회, 2008.9, 685~704쪽.

40.

최혜실,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한류의 지속 및 확장 방안 연구-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ative Korean Studies 16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08.12, 549~568쪽.

41.

최혜실, .몸중심적 사유로서의 서사와 서사중심 의학., 현대문학이론연구 44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3, 21~46쪽.

42.

한혜원,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현황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 32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7.4.

43.

한혜원, .신화 퀘스트에 기반한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연구., 탐라문화 34호, 탐라문화연구소, 2009.2, 135~160쪽.

44.

한혜원.정다희, .MMORPG의 안타고니스트 연구., 한국언어문학 68호, 한국언어문학회, 2009.3, 479~497쪽.

45.

한혜원.남승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로스트> 대체현실게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5호, 인문콘텐츠학회, 2009.7, 7~27쪽.

46.

한혜원, .전자문학에 나타난 역사의 재구성., 현대문학이론연구 48호, 현대문학이 론학회, 2012.3, 217~236쪽.

47.

Bernard R. Robin, "The Educational Uses of Digital Storytelling",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06, pp.709-716.

48.

Bernard R. Robin, "Digital Storytelling: A Powerful Technology Tool for the 21st Century Classroom", Theory Into Practice 47(3), Lawrence Erlbaum, 2008, pp.220-228.

49.

Ruth Sylvester&Wendy-lou Greenidge, "Digital Storytelling: Extending the Potential for Struggling Writers", The Reading Teacher 63(4),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9.December, pp.284-295.

50.

Erin A. Miller, "Digital Storytelling" Master, University of Nothern Iowa, 2009.

51.

이인화 외, 디지털 스토리텔링 , 황금가지, 2003.

52.

자넷 머레이, 한용환.변지연 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 안그라픽스, 2001.

53.

최혜실, 모든 견고한 것들은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사라진다 , 생각의 나무, 2000.

54.

최혜실,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 소명출판사, 2003.

55.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 삼성경제연구소, 2006.

56.

캐롤린 핸들러 밀러, 이연수 외 역, 디지털미디어 스토리텔링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7.

크리스티앙 살몽, 류은영 역, 스토리텔링 , 현실문화, 2010.

58.

폴 리쾨르, 김한식.이경래 역, 시간과 이야기 1 , 문학과지성사, 2012.

59.

한혜원,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 살림, 2005.

60.

H.포터 애벗, 우찬제 외 역, 서사학 강의 , 문학과지성사, 2010.

61.

Gerard Subsol(Ed), Virtual Storytell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for Storytelling, Springer, 2009.

62.

Ulrike Spierling, "Interactive Digital Storytelling: Towards a Hybrid Conceptual Approach", worlds in play, Peter Lang, 200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