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별학(別學)의 탄생과 다원적 시민사회의 구상-『별건곤』을 중심으로

Establishment of Byul-Hak and the Plan of Plulalistic Civil Society : focusing on 『Byeolgeongon(別乾坤)』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1, pp.7-50
https://doi.org/10.18856/jpn.2014.20.1.001
김복순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Byeolgeongon』showedestablishmentofByul-Hakthatmeansabberational knowledge and academic system. Byul-Hak is a knowledge and discourse systems of a new perspective of keyword of people, popularity, citizenship, individuality, culture and private life. By thought of Byul-Hak, “national” subject of colonial Korea was converted to subject of “Homo-Tastekus”. Private life is a new “social” ares, was created by 『Byeolgeongon』. It means “birth of a new public sphere”, which was a great achievement of 『Byeolgeongon』. The way of 『Byeolgeongon』 to make “private life” was a way in which positioned in the category of knowledge as “private life”, and was located in the ‘new society’. Hybrid realities by borrowing the swapping of viewing were created by the thoughts of Byul-Hak. And the round-table discussion was a format that corresponds to this.

keywords
별학, 잡학, 취미인간, 사생활, 시선의 스와핑, 좌담회, 혼종적 리얼리티, 상호주체성, 파트너십, 천도교 청년당, Byul-Hak(別學), Jap-Hak(雜學), Homo-Tastekus, Private life, swapping of viewing, round-table discussion, hybrid reality, mutual subjectness, partnership, Youth Party of Cheondoism(天道敎 靑年黨)

참고문헌

1.

별건곤 1-14 (1926-1934), 역락(영인본), 2008.

2.

권채린, 「산책을 둘러싼 대중담화의 지형도-별건곤의 경우」, 어문연구 40권 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245~272쪽.

3.

김복순, 「만들어진 보편과 젠더화 된 근대미학」,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 소명출판, 2005, 15~25쪽.

4.

김복순, 「페미니즘 시학과 리얼리티의 문제」, 현대소설연구 32,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243~282쪽.

5.

김복순, 「근대초기 여성교양의 성립과 파트너십 문화론의 계보」, 여성문학연구 17,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117~223쪽.

6.

김수진, 「취미 기사와 신여성」, 사회와 역사 75집, 한국사회사학회, 2007, 115~150쪽.

7.

김용규, 혼종문화론 , 소명출판, 2013.

8.

김진량, 「근대잡지 별건곤 의 취미담론과 글쓰기의 특성」, 어문학 제88집, 한국어문학회, 2005, 331~352쪽.

9.

김현주, 사회의 발견 , 소명출판, 2014.

10.

문경연, 「식민지 근대와 취미 개념의 형성」, 개념과 소통 7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1, 35~71쪽.

11.

박숙자, 「1920년대 사생활의 공론화와 젠더화」, 한국근대문학연구 7권 1호, 한국근대문학회, 2006, 179~198쪽.

12.

소래섭, 에로 그로 넌센스 , 살림, 2005.

13.

소래섭,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 웅진 지식하우스, 2011.

14.

신지영, 부/재의 시대-근대계몽기 및 식민지기 조선의 연설・좌담회 , 소명출판, 2012.

15.

오선영, 「대중소설의 유행과 장르 분화」, 문창어문논집 46, 문창어문학회, 119~144쪽.

16.

이경돈, 「 별건곤 과 근대 취미독물」, 대동문화연구 제4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49~287쪽.

17.

이경옥, 「민족담론과 취미담론의 관계성 연구」, 광운대 석사논문, 2009, 1~73쪽

18.

이승윤, 「「근대 대중지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한국문학논총 제56집, 한국문학회, 2010, 5~35쪽.

19.

조남현, 「이돈화 사상의 형성과 전개」, 시대정신에 합일된 사람성주의 , 범우, 2007, 514~544쪽.

20.

조미희, 「 별건곤 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한국언어문화」 41집,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33~58쪽.

21.

채석진, 제국의 감각:에로 그로 넌센스 , 2005, 43~87쪽.

22.

천정환・이용남, 「근대적 대중문화의 발전과 취미」, 민족문학사연구 30집, 민족문학사학회, 2006, 227~265쪽.

23.

허수, 이돈화연구 , 역사비평사, 2011.

24.

홍준형, 「周作人의 ‘잡학’과 지식의 통섭」, 중국문화연구 18집, 중국문화연구학회, 2011, 197~224쪽.

25.

사이토 준이치, 윤대석 외 옮김,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26.

쑨위, 루쉰과 저우쭈어런 , 소명출판, 2005.

27.

진노 유키, 문경연 옮김, 취미의 탄생: 백화점이 만든 테이스트 , 소명출판, 2008.

28.

네스토르 가르시아, 혼종문화-근대성 넘나들기 전략」, 그린비, 2011.

29.

조르주 뒤비・필립 아리에스 편, 사생활의 역사 1-5 , 새물결, 2002-2006.

30.

존 브룸필드, 박영준 옮김, 지식의 다른 길 , 양문, 2002.

31.

荻野昌利, 視線の歷史 , 世界思想史, 2004.

32.

鶴見太郞, 「座談の 思想」, 新潮社, 2014.

33.

Harding S.・Hintikka M., Discovering Reality, D.Reidel P.C., 198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