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김내성의 방계적 탐정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과 환상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antasy represented in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2, pp.71-107
https://doi.org/10.18856/jpn.2016.22.2.003
김영성 (한양대학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antasy represented in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In that it describes the story of crime,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are distinguished from classical detective story. Those properties was derived from artistic recognition. Kim Lae-sung wanted to show the romantic sensibility and grotesque in his detective novels. To achieve such goals, he was accomplished by a variety of narrative methods such as foregroundding ‘story of crime’ and narrative trick. Through the narrative strateg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detective story, Kim Lae-sung was to provide an aesthetic experience of grotesque fantasy to the reader. The grotesque fantasy is the literary orientation that distinguishes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and the classic detective stories. Also, it is a mark showing the limitations contained within the genre of detective story. Thus, it was born at the point of collision from mission as an artist to fate as a detective story writer.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was born between popularity as a detective story and artistic as a literary and artistic, grotesque fantasy was born between the reality that people living and the illusion that people dreaming. Therefor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fantasy represented in Kim Lae-sung’s collateral detective story is not a product of ignorance of the genre, but is the product of artistic recognition that overcome the genre conventions of classical detective story.

keywords
방계적 탐정소설, 고전적 탐정소설, 서술트릭, 범죄의 이야기, 그로테스크, 환상성, collateral detective story, classical detective story, narrative trick, story of crime, grotesque, fantasy

참고문헌

1.

김내성, 「탐정소설의 본질적 요건」(1936), 조성면 편저, 『한국 근대 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2.

김내성, 『비밀의 문』(1949), 명지사, 1994.

3.

김내성, 「탐정소설론」(1954), 조성면 편저, 『한국 근대 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4.

김영성, 「한국 현대소설의 추리소설적 서사구조 연구」, 한양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

김영욱, 「김내성의 ‘탐정소설가의 살인’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 분석」, 『한국학연구』24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337-378쪽.

6.

김지영, 「‘탐정’, 기괴‘ 개념을 통해 본 탐정소설의 형성과정」, 대중서사연구회 편,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3 추리물』, 이론과실천, 2011, 219-251쪽.

7.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실상과 김내성의 ‘마인’」,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161-200쪽.

8.

송덕호, 「추리소설의 유형」,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29-44쪽.

9.

안회남, 「탐정소설」, 『조선일보』, 1937.7.16.

10.

이건지, 「일본의 추리소설-反문학적 형식」,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115-138쪽.

11.

이영미, 「추리와 연애, 과학과 윤리: 김내성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1호, 대중서사학회, 2009, 7-50쪽.

12.

이정옥, 「대중소설의 시학적 연구」, 서강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13.

정혜영, 「근대를 향한 왜곡된 시선」, 『현대소설연구』 31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199-218쪽.

14.

정혜영, 「김내성과 탐정문학」, 『한국현대문학연구』 20집, 한국현대문학회, 2006, 405-433쪽.

15.

정혜영, 「식민지 조선과 ‘탐정소설’이라는 환상」, 『한국현대문학연구』 33집, 한국현대문학회, 2011, 307-344쪽.

16.

조성면, 「한국 근대 탐정소설 연구: 김내성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하대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9.

17.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본격 장편 탐정소설 ‘마인’이 형성되기까지」, 『대중서사연구』 21집, 대중서사학회, 2009, 51-86쪽.

18.

한용환, 『서사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19.

홍래성, 「추리소설쓰기의 모색과 전개」, 『어문연구』 43-3, 한국어문교육학회, 2015, 261-292쪽.

20.

홍윤표, 「탐정소설과 식민지적 아이덴티티: 김내성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3집,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191-220쪽.

21.

피에르 바야르, 『누가 로저 에크로이드를 죽였는가?』, 김병욱 옮김, 여름언덕, 2009.

22.

캐서린 벨지, 『비평적 실천:포스트구조주의적 문학이론의 적용』, 정형철 옮김, 지평, 1992.

23.

노드롭 프라이, 『비평의 해부』, 임철규 옮김, 한길사, 1982.

24.

캐서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한창엽 옮김, 푸른나무, 2000.

25.

H. R. F. 키팅, 「추리소설 창작 강좌」③, 이목우 옮김, 『추리문학』 1989년 여름호, 1989.

26.

윌러드 헌팅턴 라이트, 『위대한 탐정소설』, 송기철 옮김, 북스피어, 2011.

27.

게오르그 루카치, 『현대리얼리즘론』, 황석천 옮김, 열음사, 1985.

28.

에르네스트 만델, 『즐거운 살인: 범죄소설의 사회사』, 이동연 옮김, 이후, 2001

29.

토마 나르스작, 김중현 옮김, 「추리소설: 앵글로색슨 전통과 프랑스적 전통」, 대중문학연구회 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45-78쪽.

30.

토마 나르스작, 김중현 옮김, 『추리소설의 논리』, 예림기획, 2003.

31.

츠베탕 토도로프, 『산문의 시학』, 신동욱 옮김, 문예출판사, 1992.

32.

슬라보예 지젝, 『삐딱하게 보기』, 김소연『유재희 옮김, 시각과언어, 1995.

33.

가사이 기요시, 「해설」, 아비코 다케마루, 『살육에 이르는 병』, 권일영 옮김, 시공사, 2007.

34.

가사이 기요시(笠井 潔), 『物語のウロボロス-日本幻想作家論』, ちくま學藝文庫, 1999.

35.

J. Black, The Aesthetic Murder: A Study in Romantic Literature and Contemporary Culture,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91.

36.

J. Cawelti, Adventure, Mystery, and Romance: Formula Stories as Art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37.

Sari Kawana, Muder Most Modern: Detective Fiction and Japanese Culture, University of Minnsita Press, 20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