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정감록’과 ‘행운의 편지’ - 두 개의 전후, 하나의 운명론

‘Jeonggamrok(鄭鑑錄)’ and ‘a Chain Letter’ - Two Following the War, One Fatalis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45-81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02
전지니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a meaning that ‘superstition(迷信)’ has as for the masses in the middle of the complicated international situation, with illuminating the two sights following the war that had been coexisted a fever of prophet ‘Jeonggamrok(鄭鑑錄)’ along with curiosity about science in the wake of the 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Following the liberation, the fearful power of atomic bomb was spread like a rumor through media. In a situation that the people are difficult to get access to the true nature of modern science, ‘Jeonggamrok’, which has hones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long life, was rather a logical and reliable source. In addition to this, following the Korean War, superstition was adhered more firmly to the people's daily life as entertainment. All of Choe Yo-han's <Village with No Doctor>(1950), Jang Yong-hak's <Sketch with Regret>(1952), and Ju Yo-seop's <Whether Clinging to or Dropping?>(1958), which were released under this background, have a common denominator in addressing the aspect that a modern male subject, who has a scientific belief, confronts the limitation of the people or him himself with failing to dispel superstition. These characters come to fall into confusion as saying that the superstition, which had been regarded as what is anti-modern and pre-modern, might be most rational. As examined, a series of the superstition act such as ‘Jeonggamrok’ and a ‘chain letter’ in two times following the war proceeded with having been increased through the people's anxiety and vague hope. The authorities intended to strongly eradicate this disturbing rumor. But it was impossible to eradicate this unless the fundamental anxiety is solved. That is to say, the media and the literary text following the war were capturing the moment that skepticism about modernity comes over and the moment that there was a crack in conviction of science. The superstition was also a coordinate available for confirming most correctly the malady in the times and the necessity of the masses in those days that had been crossed an anxiety about the war and a skepticism about the authorities.

keywords
Post-war Period, ‘Jeonggamrok(鄭鑑錄)’, ‘Chain Letter’, Science, Superstition, Modernity, Rumor, Taboo, 전후(戰後), ‘정감록’, ‘행운의 편지’, 과학, 미신, 근대성, 유언비어, 금기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민성』

4.

『민주증보』

5.

『백민』

6.

『신동아』

7.

『신천지』

8.

『조선일보』

9.

『희망』

10.

장용학, <미련소묘>, 『문예-전시판』, 1950.12.

11.

주요섭, <붙느냐 떨어지느냐?>, 『신한국문학전집』(6), 어문각, 1972.

12.

최요안, <의사없는 마을>, 『백민』, 1950.2.

13.

문교부, 『우리나라의 발달』 6-3, 1952.

14.

운정도인, 『비난정감록진본』, 세창서관, 1945.

15.

원달호, 「수소탄은 행복을 줄 것인가」, 『희망』 1954.6.

16.

유관자, 『경향싸롱』, 백조사, 1954.

17.

이민재, 「「태극나비」는 과연 길조인가?」, 『희망』, 1954.10.

18.

이상갑, 「각국 미신의 종별과 현황」, 『희망』, 1954.3.

19.

임경일, 「정감록에 대하야」, 『신천지』, 1946.7.

20.

장수철, 「행운의 편지」, 『신동아』, 1964.11.

21.

쪼나단 킬본, 「원자폭탄의 정체」, 소우생 역, 『민성』, 1945.12.

22.

최수정, 『정감록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해방서림, 1948.

23.

홍기문, 「정감록의 분석적 연구」, 『신천지』, 1946.7.-8.

24.

「여러분의 신수는?」, 『희망』 1954.1.

25.

「과학여화」, 『희망』, 1954.3.

26.

「꼭맞는 해몽법」, 『희망』, 1954.6.

27.

「수폭의 정체는 어떠하며 얼마나 무서운가」, 『희망』 1954.6.

28.

공서옥 외, 『근대에 맞서는 근대』, 현실문화, 2014.

29.

공임순, 「원자탄의 매개된 세계상과 재지역화의 균열들」, 『서강인문논총』 31,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5-43쪽.

30.

공임순, 「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민족문학사연구』 48, 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242-277쪽.

31.

김은경, 「1950년대 신생활운동 연구」, 『여성과 역사』 11, 한국여성사학회, 2009, 203-240쪽.

32.

김 탁, 『정감록 새 세상을 꿈꾸는 민중들의 예언서』, 살림, 2005.

33.

백승종,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2) 정감록에 미국이 나온다?」, 『경향신문』, 2005.1.13

34.

백승종,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9) 1923년 일본인들의 정감록 처형」, 『경향신문』, 2005.5.19.

35.

백지영, 「한국 소설에 나타난 무속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6.

변은진, 「유언비어를 통해 본 일제말 조선민중의 위기담론」, 『아시아문화연구』 22,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53-79쪽.

37.

오제연, 「1970년대 ‘유언비어’의 불온성」, 『역사문제연구』 32, 역사문제연구소, 2014, 187-226쪽.

38.

이미향, 「장용학 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39.

이방원, 「일제하 미신에 대한 통제와 일상생활의 변화」, 『동양고전연구』 24, 동양고전학회, 2006, 281-134쪽.

40.

이필렬, 「한반도에서 원자력이 지닌 해방자-구원자 이미지와 그 결과들」, 『동방학지』16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6, 23-45쪽.

41.

임미진, 「장용학 소설의 담론 연구: 식민지체험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2.

임종명, 「해방공간과 신생활운동」, 『역사문제연구』 21, 역사문제연구소, 2012, 219-265쪽.

43.

조경달, 『민중과 유토피아』, 허영란 역, 역사비평사, 2009.

44.

진영녕, 「주요섭 작품의 비판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1.

45.

차승기, 「자본, 기술, 생명-흥남 -미나마타[水吳] 또는 기업도시의 해방전후-」, 『사이』14,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419-452쪽.

46.

한만수, 「북촌과 남촌/흥남/동경 사이의 거리」, 『한국문학연구』 4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201-236쪽.

47.

<역사저널 그날 111회-‘한국인의 비결’ 제2편 정감록, 변혁을 꿈꾸다>, KBS, 2016.2.1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