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s the violence of the modern nation depicted in Choi In-hun's novels The Plaza, The Gray Man, and Seoyugi, and analyzes the pattern and structure of the emotions, such as anxiety, fear, and shame experienced by the intellectual diaspora. I will look at the experience of the modern nation centered on the emotion in Choi In-hun's novels. By analyzing the processes of decontextualization and depoliticization of modern citizens, I reveal the diaspora's writing strategy. Political diaspora embody the de-nationalized subject. In the process, the emotion effectively structures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political performance. In The Plaza, Lee Myungjun wants to acquire the identity as a citizen of the modern nation. He experiences political violence and feels anxious and fearful. Against the power of the modern state, he desires to a free citizen of the modern nation. In The Gray Man, Dok Kogejun realizes that Korea is not modernized and that he should live as an imperial colonizer. He expresses fear created by a violent ideology appropriating the war experience. He changes the trauma of national violence with sexual sensitivity. In Seoyugi, the colonial discourse inherent in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modern citizens is exposed in the subversive rhetorical situation. Dok Kogejun maintains the aesthetics of colonial history, disillusioned with the fantasy of modernity and the political reality which appears contradictory. He turns disillusionment into "shame.“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recognize the spectrum of emotions that Choi Inhoon’s early novels had, and embodied the life of diaspora that lived as both political and existential life across the twentieth century.
최인훈, 『광장』, 문학과 지성사, 2011.
최인훈, 『회색인』, 문학과 지성사, 2001.
최인훈, 『서유기』, 문학과 지성사, 1996.
구재진,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억하기’와 탈식민성-<서유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15집, 한국현대문학학회, 2004, 386-417쪽.
권성우, 「근대문학과의 대화를 통한 망명과 말년의 양식-최인훈의 『화두』에 대해」, 『한민족문화연구』 45, 한민족문화학회, 2014, 61-88쪽.
김경미, 「감성의 정치학, 이광수 그리고 한국근대문학: 박헌호 편, 『센티멘탈 이광수-감성과 이데올로기』(소명출판, 2013)」, 『어문론총』 제59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3, 657-664쪽.
김미영, 「최인훈의 『서유기』 고찰-패러디와 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32집, 국제어문학회, 2004, 175-207쪽.
김정화, 『최인훈 소설의 탈식민적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2.
김행숙·서동욱·심보선·신형철 좌담, 「감각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사이에서-오늘날 시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문학동네』 2009 봄호, 문학동네, 2009.
김현, 「헤겔주의자의 고백」, 이태동 편, 『최인훈』, 서강대 출판부, 1999.
박명진, 『한국 전후희곡의 담론과 주체구성』, 월인, 1999.
박소희, 「최인훈 소설의 난민의식 연구」, 명지대 석사학위논문, 2011.
박헌호 편, 『센티멘탈 이광수-감성과 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3.
방민호, 「월남문학의 세 유형」, 『통일과 평화』 7집, 2015, 158-212쪽.
백현미, 「최인훈 희곡 <둥둥 낙랑둥>의 감성연구」, 『국어국문학』 157, 국어국문학회, 2011, 189-215쪽.
빌 애쉬크로프트 외,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이석호 옮김, 민음사, 1996.
서세림, 「월남문학의 유형-‘경계인’의 몇가지 가능성」, 『한국근대문학연구』 31, 한국근대문학회, 2015, 7-38쪽..
연남경, 「최인훈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현대문학이론연구』 62,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219-248쪽.
오윤호, 「『화두』와 20세기 식민지 지식인의 탈이데올로기적 저항」, 『국제어문』 46, 국제어문학회, 2009, 69-94쪽.
오윤호, 『한국근대소설의 식민지 경험과 서사전략 연구-염상섭과 최인훈을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2.
우찬제, 『텍스트의 수사학』, 서강대학교출판부, 2005.
이수형, 「근대문학연구에서 감정의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문과학연구논총』 36,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43-64쪽.
이안 와트, 『소설의 발생』, 전철민 역, 열린책들, 1988.
이재선, 「전쟁체험과 50년대 소설」, 김윤식·김우종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1995, 335면.
임정연, 「청춘의 표상과 감성의 정치」, 『한국문학이론과비평』 61,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323-345쪽.
정호웅, 「최인훈」의 <화두>와 일제강점기 한국문학-<낙동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45, 한중인문학회, 2014, 179-202쪽.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 그린비, 2014.
하정일, 『분단자본주의 시대의 민족문학사론』, 소명, 2002.
헬렌 티핀, 「탈식민주의 문학과 반언술행위」, 『외국문학』 1992년 여름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