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수필의 시대: 1960년대 수기, 수상, 에세이—김형석, 안병욱, 김태길의 수필을 중심으로

An Age of Essays: Memoirs, Philosophical essays and Essays of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0, v.26 no.3, pp.9-44
박숙자 (서강대학교)

초록

이 글에서는 ‘수필의 시대’로 평가되는 1960년대를 돌아보며 ‘수필’을 둘러싼 담론적 길항과 철학자의 글쓰기가 확장시켜낸 수필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조망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에 김형석, 안병욱, 김태길은 연세대, 숭실대, 서울대 철학 교수이자 다량의 수필집을 내는 작가로 활동했다. 그럼에도 이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일차적으로 수필 자체를 저평가하는 문학사 내부의 편견과 수필의 장르적 특성을 ‘문학적인 것’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관행이 연동한 결과이다. 1960년대 수필이 풍미하게 된 것은 전쟁과 4.19를 거치며 개인의 경험과 사유를 객관화하고자 하는 민주주의적 요구가 근간에 깔려 있다. 철학자의 언어는 시민교양과 국민도덕이 부재하던 당대 독자들에게 1인칭 글쓰기의 다양한 감각으로 수용되었다. 김형석은 역사적 체험에 근거한 위로와 극복의 서사로, 안병욱은 민족주의에 근거한 자기 수양과 소명의 논리로, 그리고 김태길은 소시민의 삶을 객관화하는 성찰과 유머로 1950-60년대 공론장의 결락을 메웠다. 다만, 철학자의 수필이 당대의 공적 담론과 연동하지 못하면서 1970년대 시민교양을 촉발, 매개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 수필이 역사적으로 부상하는 지점에서 드러나 ‘수필’ 장르의 특성과 이와 연동하며 풍미한 철학자의 언어가 지닌 문화사의 공과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했다.

keywords
Eessay, Memoirs, Philosopher, Civil culture, National morality, First person writing, Democratic affect, Literariness, 수필, 수기, 철학자, 시민교양, 국민도덕, 1인칭 글쓰기, 민주주의 정동, 문학적인 것

Abstract

This article aimed to looked back at the 1960s, which were assessed to be ‘the age of essays’, to survey denotations of essays, amplified by the discourse antagonism surrounding ‘essays’ and the writings of philosophers. Kim Hyeong Suk, Ahn Byeong Uk, and Kim Te Gil were philosophy professors of Yonsei University, Soongshil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writers of numerous essay collections of the 1960s.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m. This is because of old prejudices within literary history that primarily undervalue essays and practices that try to limit them as ‘Literariness’. Essays of the 1960s became the flavor of the times based on democratic demands that attempted to objectify individual experiences and grounds that passed through the war and the April 19 Revolution. The language of philosophers was expropriated through the various senses of first person writing to readers of the times, which lacked civil culture and national morality. Deficits in public spheres of the 1950s and 1960s were filled by Kim Hyeong Suk’s narrations of comfort and conquest based on historic experiences, Ahn Byeong Uk’s logic of self-discipline and knowledge based on democracy, and Kim Te Gil’s humor and introspection that objectified the lives of the petit bourgeois. However, as the essays of philosophers failed to connect with the public discourse of the age, they were unable to go as far as sparking or serving as a medium for civil culture in the 1970s. Regardless, as essays rose historically in the 1960s, thought was give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genre and in connection, to the merits and demerits of cultural history that possesses the language of philosophers.

keywords
Eessay, Memoirs, Philosopher, Civil culture, National morality, First person writing, Democratic affect, Literariness, 수필, 수기, 철학자, 시민교양, 국민도덕, 1인칭 글쓰기, 민주주의 정동, 문학적인 것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