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의 모성 재현 양상 - ‘어머니와 딸’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Aspects of Motherhood in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 Focus o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3, v.29 no.3, pp.173-202
https://doi.org/10.18856/jpn.2023.29.3.006
박민아 (동국대학교)

초록

본고는 최근 한국 대중문화에서 모녀서사가 집중적으로 생산되고 있다는 사실과 그 재현 양상이 전통적인 모녀서사와 구별되는 지점에 주목하고 그 재현과 변화의 의미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김세인 감독의 영화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2021)에 드러난 ‘어머니와 딸’의 변화된 관계성에 집중해 기존의 ‘모성성’과 ‘모성 담론’ 내의 ‘어머니’ 재현과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내의 ‘어머니’ 재현이 변별되는 지점을 살펴본다. 사회적으로 구성된 신화와 역사에서 모성은 주로 ‘아들과 어머니’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어머니와 딸’의 관계성은 논의 대상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어머니-딸의 관계성에 집중한 기존의 영화에서 역시 ‘모성’은 대체로 실제적 어머니와는 유리된 병적이거나 과장된 기호로 소비되어 왔다.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는 사회적으로 제도화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어머니와 그런 어머니와의 애착 관계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있는 ‘딸’의 불안정한 모녀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기존 모녀서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어머니와 딸’의 복합적인 관계성을 부각한다. 따라서 본고는 영화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가 제시한 새로운 모녀서사의 재현 양상이 실재하는 어머니와 어떻게 조우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사회적 맥락과 의의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s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모성 담론, 모녀서사, 어머니-딸, 탈모성, 여성 섹슈얼리티, 정신분석학,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Motherhood discourse, Mother-daughter narratives, Mother-daughter, Postmotherhood, Female sexuality, Psychoanalysis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production and representation of mother-daughter narratives in Korean popular culture, highlighting the distinguishing aspects of these representations from traditional mother-daughter narratives and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representation and changes. To do so, this paper examines the altered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daughter" depicted in director Kim Se-in's film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2021), focusing on the distinctive portrayal of the "mother"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notions of "motherhood" and "motherhood discourse." And explores the points of differenti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in the film and the traditional constructs of "motherhood." Traditionally, within social constructs, discussions of maternity have primarily revolv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and mother," with less attention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n previous films that centered on the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motherhood" has often been consumed as a distorted symbol, either pathologized or exaggerated, detached from the actuality of maternal figures.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highlights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mother and daughter" that were previously unexplored in conventional mother-daughter narratives, showcasing the unstabl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where the daughter remains entangled with a mother who does not fulfill the socially institutionalized role of a mot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new representation of mother-daughter narratives presented in the film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intersects with the reality of motherhood and discuss its social context and significance.

keywords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모성 담론, 모녀서사, 어머니-딸, 탈모성, 여성 섹슈얼리티, 정신분석학,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Motherhood discourse, Mother-daughter narratives, Mother-daughter, Postmotherhood, Female sexuality, Psychoanalysis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