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다이렉트 시네마의 ‘발견’과 ‘재구성’을 통한 매체 교육 연구

A study on media education through ‘discovery’ and ‘reconstruction’ of direct cine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3, v.29 no.3, pp.387-445
https://doi.org/10.18856/jpn.2023.29.3.012
홍인영 (육군사관학교)

초록

이 논문은 매체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로서 다이렉트 시네마에 주목하여 영화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매체교육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작품의 분석과 교육내용의 설계에는 프레더릭 와이즈먼 감독의 ‘발견’과 ‘재구성’이라는 창작론을 적용하였다. 작품 분석은 세 범주로 나뉜다. 첫째, ‘발견’이라는 형식을 사용해서 도서관의 생태계를 관찰한 양상은 강연 및 회의, 도서관 내부와 외부의 일상 풍경 등 각각의 성격을 지닌 시퀀스와 신이 제시되고 이들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역할이 관찰자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점으로 나타났다. 등장하는 인물이나 진행되는 행사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지 않고, 청중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비추며, 영화음악이 삽입되지 않는 점 등이 다이렉트 시네마가 지니는 ‘발견’의 특성을 보여준다. 둘째, 감독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한 ‘재구성’의 양상으로 도서관을 관객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긴 러닝 타임, 선형적 시간 구성, 앞서 언급한 세 종류의 시퀀스들의 교차 편집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구성’의 측면에서 이 영화가 드러내는 주제의식은 현대사회에서 도서관의 역할이다. 회의 장면과 각종 행사를 통해 도서관이 시민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디지털 허브의 기능을 하며 청소년, 노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무성을 지니고 있음을 드러낸다.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한 매체교육 방안은 관찰과 기록의 태도 함양, 영상언어 익히기와 다이렉트 시네마 창작, 주제의식의 도출이다. 관찰과 기록의 태도는 매체자료를 감상할 때와 창작할 때 모두 적용되며, 학습자는 영상 문법을 학습하여 다이렉트 시네마를 직접 창작하는 데 적용할 수 있고, 사회적 주제를 강조하는 다이렉트 시네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주제의식을 도출해볼 수 있다.

keywords
다이렉트 시네마, 발견, 재구성, 매체 교육,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데릭 와이즈먼, Direct Cinema, Discovery, Reconstruction, Media Education, <Ex Libris - The New York Public Library>, Frederick Wiseman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direct cinema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media education, analyzes the film <Ex Libris - The New York Public Library> and proposes a plan for media education based on it. Frederick Wiseman's creative theory of 'discovery' and 'reco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film and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analysis of the work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observation of the library ecosystem using the form of 'discovery' showed that sequences and scene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such as lectures and meetings, and daily scenes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are presented, and the camera's role in filming them fulfills the task of an observer. No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or events is presented, the audience is shown naturally, and no movie music is inserted,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very' in direct cinema. Second, in terms of 'reconstruction' to express the director's intention, the long running time, linear time organization, and cross-editing of the three aforementioned types of sequences show how the library is presented to the audience. Finally, in terms of 'reconstruction', the film's main theme is the role of librarie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meeting scenes and various events, the film reveals that libraries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itizens, function as digital hub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youth, homeless, and disabl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media education plan is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learn video language, create direct cinema, and derive a sense of theme. The attitude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is applied to both viewing and creating media materials, and learners can learn video grammar and apply it to creating direct cinema,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 cinema that emphasizes social themes and derive thematic awareness.

keywords
다이렉트 시네마, 발견, 재구성, 매체 교육,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데릭 와이즈먼, Direct Cinema, Discovery, Reconstruction, Media Education, <Ex Libris - The New York Public Library>, Frederick Wiseman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