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구강 전암병소 및 구강암 예방

Oral precancerous lesion and oral cancer prevention

Abstract

구강 전암병소(oral precancerous lesion)는 정상적인 구강 조직보다 구강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명백하게 높은 형태학적으로 변화된 조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여기에 해당하는 구강전암병소는 구강 백반증(oral leukoplakia), 홍반증(erythroplakia) 및 만성 과증식성 캔디다증(chronic hyperplastic candidiasis) 등이 있다2). 이러한 구강 전암병소는 일반적인 구강 검진이나 치과 치료 시 육안적으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과의사들의 무관심 속에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구강 전암 병소 중 가장 많은 비율(85%)을 차지하고 비교적 우리에게 잘 알려진 구강 백반증은 약 4~15%가 구강암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3). 구강 전암병소를 발견하고 적절하게 치료하면서 관리 하는 것은 결국 구강암으로 진행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구강암으로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조기에 발견할 가능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구강 전암병소의 치료에서 가장 어려운점은 어떤 병소가 구강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화학적 암예방(chemoprevention)에 관한 임상적인 연구가 두경부암, 폐암, 대장암 및 유방암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구강 백반증은 육안적으로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치료나 약물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어서 암예방 연구 모델로도 많이 이용된다4). 이에 구강 전암병소를 조기에 발견하고 추적 관찰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구강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임을 인식하여, 치과의사들이 구강암 예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강 전암병소에 대한 진단, 치료, 관리 및 구강암 예방법 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

참고문헌

1.

1. Pindborg JJ, Reichart P, Smith CJ, van der Waal I. World Health Organization : histological typing of cancer and precancer of the oral mucosa. Springer-Verlag. 1997.

2.

2. Langdon JD, Henk JM. Malignant tumours of the mouthy, jaws & salivary glands. Secons edition. Edward Arnold. 1995.

3.

3. Reibel J. Prognosis of oral pre-malignant lesions: significance of clinical,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Crit Rev Oral Biol Med 2003;14(1): 47-62.

4.

4. Lippman SM, Spitz MR. et al. Strateges for chemoprevention study of premalignancy and second primary tumors in the head and neck. Current Opinoin in Oncology 1995; 7:234-241.

5.

5. Papadimitrakopoulou V. Shin DM. Hong WK. Molecular and cellular biomarkers for field cancerization and multistep process in head and neck tumorigenesis. Cancer and Metastasis Reviews. 1996;15:53-76.

6.

6. 박광균. 구강생화학. 군자출판사. 1999.

7.

7. Samaranayake LP. MacFarlane JW.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recurrent chronic atrophic candidosi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1;52:150-3.

8.

8. Epstein JB, Gorsky M.et al. A survey of the current approaches to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ral premalignant lesions. JADA. 2007;138(12):1555-62.

9.

9. Silverman, S., Jr., Gorsky, M., Lozada, F. Oral leukoplakia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A follow-up study of 257 patients. Cancer 1984;53(3):563-568.

10.

10. 백지영, 윤정훈 등. 구강전암병소에서 암발생 위험도 예측을 위한 cyclin D1 발현 분석.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2001;25(1):1-15.

11.

11. 황진하, 윤정훈 등. 구강전암병소에서 암발생 예측을 위한 p53과 p63의 발현 분석.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2002;26(4):315-327.

12.

12. 길태준. 구강 백반증의 유전적 이상과 구강암 이행과의 연관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3.

13. Gullett NP, Ruhul Amin ARM. et al. Cancer prevention with natural compounds. Semin Oncol. 2010 ;37(3):258-8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