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골괴사증
황경균(한양대학교) pp.372-377 https://doi.org/10.22974/jkda.2011.49.7.001
초록보기
초록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는 골흡수억제제로서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파겟병(Paget’s Disease), 다발성 골수종, 악성종양의 전이예방, 고칼슐혈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골다공증환자에서 발생하는 골절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50%이상 처방되고, 그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03년 Marx가 미국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받는 36명의 환자에서 무혈성악골괴사(Avascular Necrosis of the Jaw)를 보고한 이후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작용으로 그 심각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악골괴사(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BRONJ)에 대한 보고는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07년, 2009년 미국구강악안면외과, 미국내분비내과에서도 그 위험성에 대한 Positional Paper를 발간하였고, 2009년 한국에서도 대한내분비학회와 구강악안면외과학회에서 그 위험성을 의사 및 치과의사들에게 환자의 치료에서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골다공증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제재와 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BRONJ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Bisphosphonates are widely used in the management of osteoporosis patients. Many reports and clinical studies have published a relationship between necrotic bone lesions localized to the jaw and the use of chronic bisphosphonate therapy. This osteonecrosis named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This article described the mechanism, chemical structure, indication, risk factor of the bisphosphonate

BRONJ(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jaw)의 진단과 치료
팽준영(삼성서울병원) pp.378-388 https://doi.org/10.22974/jkda.2011.49.7.002
초록보기
초록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연관된 악골괴사(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jaw, 이하 BRONJ)는 2003년 경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장기간 경구 혹은 주사로 투여받은 환자에서 국내외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증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발생을 예측하기 힘들고 일단 발생하고 나면 치료에 어려움이 있어 의사와 치과의사의 많은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많은 관련단체들이 예방과 진단, 그리고 치료법에 대한 지침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도에 대한내분비학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및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공동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악골(턱뼈)괴사에 대한 공동 지침(position statement)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지침서에서는 다양한 증례에서의 고려사항을 자세히 설명할 수 없고, 일반적으로 지켜야할 확립된 사항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의 치료과정에서는 치료와 관련된 의학적 근거에 대한 다양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BRONJ(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Jaws) is not easy to be managed because it responds less predictably to established surgical treatment algorithms for osteomyelitis or osteoradionecrosis. The guidelines recommend that any kind of surgery should be delayed if possible. In the latest stage-dependent recommendations of the AAOMS in 2009, a conservative regime with antibiotics, antibacterial mouthe rinses and pain control in stages 0 to II. Some investigators have described the benefits of early osteotomy with primary wound closure.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publications with a standardized surgical concepts. In this reviews, various aspects of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RONJ will be discussed.

Bisphosphonate를 복용하는 환자에게 임프란트 치료시 고려사항
박원서(연세대학교) ; 정원윤(연세대학교) ; 김형준(연세대학교) ; 김기덕(연세대학교) pp.389-397 https://doi.org/10.22974/jkda.2011.49.7.003
초록보기
초록

Bisphosphonate 약물은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다발성 골수종, 파젯씨 병, 악성종양의 전이로 인한 악성골 질환, 그리고 심한 골다공증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Bisphosphonate 약물의 제형이 다양화 되면서, 심한 골다공증의 치료 외에도 예방적인 목적으로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호르몬 치료등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 약물보다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었지만, 사용이 증가하면서 예상하지 못한 합병증이 보고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치과와 관련된 주제, 즉 악골괴사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이후 BRONJ)이다.

Abstract

Bisphosphonate inhibits the function of osteoclast, so they are widely used for multiple myeloma, Paget’s disease, metastatic malignant bone disease, and severe osteoporosis. This drug is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severe complication of osteoporosis,some unpredictable complication occurred such as esophageal malignancy, atypical fracture of femur, and osteonecrosis of the jaw.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is closely related with invasive, open bone surgery like tooth extraction. BRONJ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 is rare, however, as the use of bisphosphonate increase, BRONJ cases with dental implant are increasing.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considerations during dental implant treatment for patient under bisphosphonate therapy.

성인 전치부 부분교정을 위한 새로운 교정장치 MTA의 이용
황현식(전남대학교) ; 전현란(전남대학교) ; 김석필(전남대학교) ; 김왕식(전남대학교) ; 이계형(전남대학교) pp.398-409 https://doi.org/10.22974/jkda.2011.49.7.004
초록보기
초록

사회경제적 여건의 향상으로 일반인의 심미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어 치과진료실에서도 전치부 심미치료에 대한 관심 및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Spacing, crowding 등 전치부만의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심미치료로 교정치료가 고려되고 있으나 “치료가 복잡하다” “장치가 불편하다”그리고“치료가 오래 걸린다”등의 이유로 환자 또는 술자의 사정으로 교정치료가 아닌 라미네이트 등 보철치료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Abstract

With an increase of public's perception on “minimally invasive dentistry”, more patients are demanding orthodontic alignment of anterior teeth rather than restorative treatment which is more invasive. One draw back of orthodontic alignment has been that it takes long tim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new orthodontic device named Mini-Tube Appliance (MTA),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combined use of light NiTi wire and inter-proximal stripping, rapid anterior alignment can be obtained efficiently. This article presents the use of MTA for rapid alignment of anterior teeth and its clinical guidelines with typical case sampl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