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배경 색조 차단 목적의 불투명 복합 레진의 두께와 반투명도

Thickness and translucency of opaque shade composite resin for masking effect

Abstract

치아 수복의 심미적 인식과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수복 치료는 주위의 잔존 치질과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색조와 특질, 형태를 반영하여야 한다. 심미적 치료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색조의 조화 (shade matching)에 관한 것이다. 그 중 까다로운 상황은 심하게 변색된 치질과, 협-설측으로 개통되어있는 제 3급, 4급 와동의 수복에 대한 것인데, 이는 기본적인 치아 색조를 반영하거나 전달할 잔존 치질의 양이 부족하며, 구강 내의 검은 색조 등 부적절한 색조를 차단할 잔존 치질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구강 내의 검은 배경 효과는 수복 재료의 명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채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구강 내의 검은 색조나 변색 치질이 오히려 반투명도가 높은 재료에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적절한 고려가 되지 않은 복합 레진의 수복은 회색조를 나타내는 등 색조의 부조화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배경 색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양의 불투명 색조 복합레진(opaque shade composite resin)을 차단용으로 한 적층법 (layering technique)을 이용한다. 이러한 술식에서 여러 연구자들은 수복 재료 자체의 색조뿐만 아니라 복합 레진의 반투명도(translucency)를 중요한 물성으로 간주하였으며, 반투명도는 복합 레진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수복 색조의 조화와 심미적인 결과를 위하여, 기초가 되는 불투명 복합 레진의 적절한 두께와 반투명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할 것이다. 배경색을 차단하는 특성은 흡수와 산란 효과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 지는데, Ikeda 등(2004)은 불투명 복합 레진이 상아질 색조 복합 레진이나 법랑질 색조복합 레진보다 낮은 투명도를 가지며, 자연스러운 색조의 조화를 위해서는 1mm보다는 2mm 두께의 불투명 복합 레진의 적용이 바람직하다고 보고하였다. Kamishima 등(2005)은 적절한 두께를 반투명도지수(TP, translucency parameter)가 2.0이하가되는 값으로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불투명 도재의 경우에, Terada 등(1989)이 도재용 금이나 금속의 색조를 차단하기 위한 두께를 0.3mm 이상으로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보다 다양한 불투명 복합 레진과 색조를 대상으로 배경 색조 차단을 위해 다양한 두께에서의 반투명도를 평가하고, 구강 내의 검은 색조나 변색된 치질에서의 적절한 적용을 위한 두께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keywords
Opaque, Composite, Resin, Thickness, Translucency, Masking, Color

참고문헌

1.

1. Johnston WM, Reisbick MH. Color and translucency changes during and after curing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Dent Mater 1997;13:89-97.

2.

2. Miyagawa Y, Powers JM. Prediction of color of an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J Dent Res 1983;62:581-4.

3.

3. Ikeda T, Murata Y, Sano H. Translucency of opaque-shade resin composites. Am J Dent 2004;17:127-30.

4.

4. Lee YK, Powers JM. Color and optical properties of resin-based composites for bleached teeth after polymerization and accelerated aging. Am J Dent 2001;14:349-54.

5.

5. Paravina RD, Ontiveros JC, Powers JM. Curingdependent changes in color and translucency parameter of composite bleach shades. J Esthet Restor Dent 2002;14:158-66.

6.

6. Kamishima N, Ikeda T, Sano H. Color and translucency of resin composites for layering techniques. Dent Mater J 2005;24:428-3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