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수면 장애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습관적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들 수 있다. 습관적 코골이는 흡기 시에 연구개와 인두부위의 주변 구조물이 진동함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로서 이 때 상기도가 좁아짐에 의해 공기 흐름이 일부 차단되는것으로, 현저한 저호흡이나 무호흡상태가 동반되지않으면서 상기도의 기도저항이 증가하여 코를 고는 것 이며 일반적으로 수면장애지수(무호흡-저호흡지수) 10이하로 나타난다. 단순코골이의 경우 주간의 졸림증이나 수면 중 잦은 각성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다. 역학조사에서 3, 40대 연령층의 인구 중 남자의 경우는 10% 이상이, 여자의 경우는 5%이상이 습관적 코골이 환자로 알려져 있다. 환자의 분포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더욱 많아져 5,60대의 경우 남자의 20%이상이, 여자의 15%이상이 코골이를 한다고 보고되었다.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경조직, 연조직의 형태 또는 설골 등의 위치 이상을 규명하는데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이 자주 이용되는데 수많은 보고를 통하여 수면무호흡 환자들에게서 하악골의 후 방위, 길고 늘어진 혀와 연구개, 짧은 상기도의 전후 경, 설골의 하방위치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을 비롯한 이차원적인 촬영은 직접적인 경조직의 지지가 없는 구인두나 하인두 부분을 잘 나타내지 못할 뿐 아니라 주로 정적인 개념의 기도 공간의 분석으로 기도 단면에 대하여 이차원적인 평가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요즘은 장치물 장착 전후의 기도 공간의 변화, 특히 연조직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자기 공명영상, acoustic reflection, 전산화 인두 내시경 등이 시행된다. 그러나 이차원, 삼차원적인 검사방법을 통하여 장치물 장착 후의 기도 면적과 용적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해부학적인 변화의 관점이지 직접적인 기류에 대한 연구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골이와 직접 관계되는 기류(air flow)에 대하여 공기역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sleep splint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1. Block AJ, Faulkner JA, Hughes AL, Remmers JE, Thach B ; Factors influencing upper airway closure. Chest,1984,6;14-122
2. Schmit-Nowara W., Lowe A., Wiegand L.,et al. : Oral appliance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Sleep, 1995, 18;501-510
3. Gislason T, Almqvist M, Erikson G, Taube A, Boman G : Prevalence of sleep apnea syndrome among Swedish men. An epidemiological study. J Clin Epide miol,1988,41:571-576
4. Young T, Palta M, Dempsey J et al :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1993,328:1230-1235
5. Rama AN, Tekwani SH, Kushida CA : Sites of obstruc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 2002,122;1139-1147
6. Kenzo N : Treatment of snoring and OSAS by dental method : by Sunashobo Publishers, Co. Ltd, 1999
7. Standards of Practice Committee, American Sleep Disorders Association : Practice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oral appliances. Sleep,1995,18;511-513
8. Marklund M., Franklin K. A., Sahlin C., Lundgren R.: The effect of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on apneas and sleep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1998,113;707-713
9. Lugaresi E, Cirignotta F, Coccagna G, and Montagna P : Clinical significance of snoring. In Saunders, N. and Sullivan, C.(eds.): Sleep and Breathing. New York : Dekker,1984,vol.21;283-298
10. Lugaresi E, Cirignotta F, Montagna P, and Zucconi M : Snoring :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consequences. Semin. Respir. Med.1988,9;577-585
11. Igor Fajdiga : Snoring imaging: Could Bernoulli explain it all? chest,2005,128;896-901
12. Masumi S., Nishigawa K., Williams A.J., et al. : Effect of jaw position and posture on forced inspiratory airflow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Chest,1996,109;1484-1489
13. Ivanhoe JR., Cibirka RM., Lefebvre CA., Parr JR. : Dental considerations in upper airway sleep disorder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rosthet Dent,1999, 82;685-698
14. Kil-Jung Jeong, Dae-Ho Leem, Jong-Seok Lee, Jin-A Baek, Seung-O Ko, Hyo-Keun Shin, Hyun-Ki Kim : Aerodynamic study with and without wearing sleep splint for snoring. KAMPRS,2007,29(4);321-328
15. Smith, SD: A three-dimensional airway assessment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or sleep apnea with jaw repositioning intraoral appliances : A case study. J. Craniomandib. Practice, 1996,14;332-343
16. Xiaoguang Zhao, Yuehua Liu, Yan Gao :Threedimensional upper-airway changes associated with various amounts of mandibular advancement in awake apnea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2008,133;661-8
17. J.W.De Backer, O.M.Vanderveken, W.G.Vos, A.Devolder, S.L.Verhulst, J.A.Verbraecken, P.M.Parizel, M.J.Braem, P.H.Van de Heyning, W.A. De Backer : Functional imagi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 predict treatment success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in sleepdisordered breathing. Journal of Biome chanics, 2007,40;3708-3714
18. Tero Aittokallio, Mats Gyllenberg, Olli Polo : A model of a snorer's upper airway. Mathematical Bioscience,2001,170;7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