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291
한상완(연세대학교) ; 김성수(청주대학교) 2002, Vol.2, No.2, pp.1-38 https://doi.org/10.14404/JKSARM.2002.2.2.001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is a record of the transitioning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o open access. To understand this process,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of the conflict over the copyright among commercial journal aggregators, scholarly societies and public sector aggregators.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s the declarations for open access transition in scholarly societies in the 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other humanities & social sciences in Korea. This paper records the practices and problems that the scholarly society as a publisher has faced in related to securing the journal publication cost, expanding the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reforming the regulation of the journal. This paper also attempts to understand this transition process as making a knowledge comm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학술 논문과 그 논문에 인용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 기록관리학의 학제성을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 학술지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선정하였고, 조사대상 기간은 2001년(창간호)부터 2011년(제11권 제2호)으로 하였다. 총 195편의 논문과 여기에 실린 참고문헌 4,869건 중에서 학술지 논문과 단행본, 규격/표준/지침, 법령/시행령/규정에 해당하는 2,997건의 직접 인용 분석을 수행하고 브릴로엔 인덱스(Brillouin Index) 지수를 중심으로 지난 11년간 국내 기록관리학의 학제성을 밝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disciplinary changes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isciplinary attributes of citing and cited reference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2001-2011. One hundred and ninty five research articles and two thousands nine hundreds ninty seven cited references were analyzed to find the degree of interdisciplinarity by using direct citation and Brillouin index. Finally, the interdisciplinary changes of source literature and cited references in Korean archival science during the period were suggested.

294
이을지(경기도립포천도서관) ; 이호신(한성대학교) 2016, Vol.16, No.3, pp.131-156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1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무를 분석하여, 그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와 운영규정 분석을 통해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를 5개 업무영역 24개 업무요소로 도출하였으며, 업무영역별, 업무요소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수행 빈도, 중요도와 난이도를 교차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업무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details of their work; analyz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tasks; and investigat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oblems of record management in office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related conditions, this study drew out 5 task domains and 24 detailed record management tasks in offices of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 drawn-out task domains and task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record managers working in offices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survey results using the IPA technique by crossing the level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performance frequen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improve the tasks of record managers in offices of education, and strengthen their task competency, a plan for improvement was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외 공공기록관에서의 민간기록물 수집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 캐나다 및 호주의 주립기록관을 대상으로 웹사이트에 공개된 민간기록물 수집 관련 정책과 안내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5개 주립기록관, 캐나다의 7개 주립기록관, 호주의 2개 주립기록관 등 모두 14개 주립기록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되는 민간기록물의 유형과 영역, 기증 또는 위탁 등 민간기록물 수집방법, 저작권 이전과 접근제한 부여 및 처분 등 고려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국내 공공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을 위한 시사점으로 첫째,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민간기록물의 수집영역을 정하고 이를 수집정책에 명문화할 것과 둘째, 기증 또는 위탁과 같은 민간기록물의 수집방식을 정하고 저작권, 접근제한 및 처분 관련 절차를 수립할 것, 셋째,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policies and guid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private records at state/provincial archives in the U.S., Canada, and Austral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ng private records in the governmental archives.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policies and guides from 14 state/provincial archives, including five in the US, seven in Canada, and two in Australia. From the analysis, the study examined collection areas, types of private records, and colleting methods, such as donation or deposit. It also studied the considerations on transferring copyright, placing access restrictions, and disposing of record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collecting private records at public archives in Korea: (1) define the collecting areas of private records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2) determine the acquisition methods, including donation or deposit, and establish a procedure to make an agreement for the transfer of ownership, including copyright, access restriction, and disposal of records; (3) develop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institutions within a region.

296
장현종(부산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2021, Vol.21, No.2, pp.115-134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115
초록보기
초록

2017년 국립대학자원관리시스템(KORUS)이 개통되면서 국립대학의 기록관리체계도 단위과제 중심의 기록관리기준표 분류체계로의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국립대학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행정시스템을 기반으로 업무처리 과정을 단위과제카드를 중심으로 기록물을 생산⋅관리하게 되었다. 특히, 협업과 정보공유를 위해 대학의 공통 업무에 일관된 관리기준을 부여하는 공통 단위과제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국립대학에서 사용하는 기록물 분류체계의 운영현황과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공통 단위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립대학 기록물의 특성과 분류체계 개발 경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기록관리기준표가 기록관리 도구로의 역할을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록분류 도구이자 평가와 검색도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the Korean University Resource United System (KORUS) opening in 2017, the national university’s record management system has been turning into a unit task-oriente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Based on the administration system operated in a standardized manner, national universities can produce and manage university records based on business transaction cards. In the process, the standard business transactions for universities’ common tasks were developed and operated for collabor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national un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s current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focusing on common unit task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recor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un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operating status were analyzed.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is suitable for use as a record management t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on the national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which can function as a record classification and appraisal tool.

297
이재나(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대학원) ;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2015, Vol.15, No.3, pp.87-11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087
초록보기
초록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록 및 대통령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하여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특수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관련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기록관의 현 과제는 보존과 관리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공유․활용․확산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들에게 대통령기록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홍보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에 천착하여,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스토리텔링 전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고, 유아 및 초등학생들의 단체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향후 기록물 수집정책이나 전시기획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residential Archives collects and manages both the presidential records and historical archives related to the president which it subsequent provides to the people. Regardless of these special duties that meet the people’s right to know, its awareness and study on the Presidential Archives has not been thoroughly satisfied. It is time to focus on providing service to share and utilize records and archives, as well a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xhibition methods through storytelling, which is well-known, as it pursu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various services for a more efficient usage and promotion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This helps raise awareness about the Presidential Archives, attract group visits of children, and provides a good example for collecting archives and planing exhibitions.

298
유완이(전남대학교) ; 이명규(전남대학교) 2013, Vol.13, No.2, pp.179-199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2.1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기록의 효율적 관리와 편리한 이용을 위해 구축되어 있는 기록관리체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전남대학교의 기록물 현황, 단위업무, 기능과 조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남대학교 단위업무는 127개 처리과에 1,625개의 단위업무로 이루어진다. 교육과 관련된 단위업무가 85.91%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단위업무 불균형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특정 분야에 단위업무가 너무 많거나 적은 것은 업무 분석 및 분류에 있어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학기능 분류가 불균형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대학에서 연구 분야에 대한 기능 분류는 적은 반면, 행정 분야에 대한 기능 분류가 세분화 되어 있다. 조직에 대한 기능과 업무가 적절하게 편성되어야 효율적인 기록물관리가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nalyzed by examining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s that are built to use comfortably and manage the records of universities efficiently.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cords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NU), unit task, function, and organization. As a result, CNU has 127 sections that treat 1,625 unit tasks. The unit task involved in education accounts for 85.91%. The problem is that unit tasks are not organized unequally. It can seem to include some problems i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work when unit tasks are even, more or less, in a particular area. Functional classification in universities are also unequally organized. In universities, functional classification i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is detailed, while functional classification in the field of research is small in quantity. A more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will be done if work and function about organization are formed appropriately.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평창올림픽 개최 전까지만 해도 경색 국면이었던 남북관계가 해빙무드로 전환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으나 한편으로 북한의 전통적인 화전양면(和戰兩面) 전술을 경계해야 한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공존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 드러난 대학생과 청소년층의 낮은 안보의식은 국민들의 확고한 안보의식과 국가관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의 핵심기관인 육군이 소장한 각종 기록(Army Records)을 온라인 콘텐츠로 재창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방국이자 기록관리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미 육군 아카이브즈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군 기록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Internatio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recently undergoing a sudden change. The South-North relations have been defined by severe tensions for many years; however, since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began to thaw, and expectations of unification have been rising. Nevertheless, some still warn tha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utilizing a “carrot and stick” tactic. With this, recent research revealed that there is a low sense of national securi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eenagers in Korea, which magnifi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trong sense of national security and having a national viewpoint. A way to achieve this is for the army, a core institution of national security, to release army records as online contents. This paper takes an in-depth look into the US Army’s online contents service, a leading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seeks to provide development plans for the Republic of Korea Army’s online contents service.

300
강주연(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배성중(전주교육대학교 기록연구사) ; 이승채(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9, Vol.19, No.2, pp.25-50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025
초록보기
초록

최근 기록관리학 분야를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 필요성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의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전공 지식이 실무에 미치는 영향과 그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교육과정을 정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직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본인이 이수한 교과목과 현장 필요도, 개정 필요도 등의 문항을 포함한 설문을 배포, 수거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설문 결과, 기록물의 전자적 관리와 실습에 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본 연구는 기록물의 전자적 관리 및 실습 영역의 교과목 운영 확대와 교과목의 표준화 및 필수이수 과목 지정, 교과과정 내실화, 교과목 다양성의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 실무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과목 정비 방안을 제안한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차후 기록관리학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Different environmental changes involving records management increased the ne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terms of practice. Given this, the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for the curriculum by analyzing its operation in domestic graduate schools and determining how the courses are necessary and useful in practice.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records managers in fields, who were asked about the subjects they took, the prerequisites, whether subjects are necessary to be reformed or not, and so on. Th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courses related to electronic management for records and practice of records management. Hence, the following insights and methods to improve the curriculum were proposed: (1) the operation of the extension of courses related to electronic management for records and practice of records management; (2) the standardization of courses and the designation of compulsory subjects; (3) the reinforcement of courses; and (4) the offering of diverse cour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gathering the perceptions of field records managers regarding the proposals of the improved curriculum and can serve as preliminary data to develop specific courses for records management.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