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기록관리 환경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설명책임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의 기록관리 방향성을 재설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설명책임의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에서의 설명책임의 필요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외 대학의 사례를 통해 설명책임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황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언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의 범위가 재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의 업무관련 규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기록관리 주무기관으로서 대학기록관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대학의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재설계되어야 한다. 다섯째, 대학의 설명책임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대학 내부적 차원에서의 기록관리 정책과 방법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대학 외부에서 대학이 설명책임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이를 규제할 수 있는 제도적 절차가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resetting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ies' accountability introducing the notion of accountability which is a new paradigm in the setting of records management.. First, we analyze the notion and structure of accountability, and then demonstrate the need of accountability in the university. And we try to deduce factors for accountability through cases of foreign universities. Based on this, we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of domestic univers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roposals. First, university records need to be reset. Second, regulations related to tasks in the university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function of university archives should be strengthened. Forth, the process of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reset. Fifth, in order to settle down accountability of the university in a right way, proper systems and procedures to regulate it are necessary so that the university can perform accountability properly outside the university.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8년도 대학정보공시제 운영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 대학정보공시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09년 교육기본통계조사 결과 발표보고서. http://cesi.kedi.re.kr/index.jsp.
국가기록원. (2007). 기록관리표준 이행확산도구개발.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 2009년도 기록물관리 지침.
김옥선. (2007). 대학기록관 홍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손동유. (2004). 사립대 아카이브즈의 위상과 기능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9호), 143-163.
이영련. (2007). 세계 주요 국가들의 대학평가체제 비교와 한국의 대학평가 개선 방안. 사회과학연구, 46(1), 5-137.
이 해 영. (2008).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189-210.
임승희. (2008). 대학기록관의 운영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임진희. (2009). 정보공개 및 공시 대응을 위한 대학의 설명책임 메커니즘 고도화. 정보관리학회지, 26(1), 107-124.
조한상. (2009). 공공성이란 무엇인가:책세상.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5). 대학 기록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8). 대학정보공시제 시행에 따른 대학의 업무 및 정보관리 컨설팅 자료 개발. 한국국가기록연구원.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한국 대학기록관 설립 및 운영 지침(제1판).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2009). (-). 2009년 상반기 대학기록관리 콜로키움자료집.
한국사학진흥재단. (2008). 대학정보공시제 정착을 위한 과제와 활용방안. 한국사학진흥재단.
Bovens, Mark. Public Accountability: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and Assessment of Accountability Arrangements in the Public Domain. Democracy and Accountability in the EU Research Group 2. http://www.connex-network.org/eurogov/pdf/egp-connex-C-06-01.pdf.
Coy, David. (2001). Public Accountability: A New Paradigm for College and University Annual Reports. Critical Perspectives on Accounting, 12(1), 1-31.
IRMT. (2006). 현용기록: 생산과 관리:진리탐구.
Harvard University. Office of the General Counsel. http://www.ogc.harvard.edu/about/overview.php.
Miller, Laura. (2008). 공공부문의 기록관리: 원칙과 맥락:진리탐구.
NEASC. (2005). Standards for Accreditation. New England Association of Schools and Colleges.
Peters, B. Guy. Public Accountability of Autonomous Public Organizations. Restoring Accountability Research Studies, vol.3. http://www.cbc.ca/news/background/groupaction/v2fullreport/CISPAA_Vol3_6.pdf.
Samuels, H. W.. (2007). 대학 기록(Varsity Letters):한울아카데미.
Standards Australia. Recordkeeping Compliance.
US News. Best Colleges 2009: National Universities Rankings. http://college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colleges/nationaluniversities-rankings.